<기타노 다케시의 위험한 일본학>을 리뷰해주세요.
-
-
기타노 다케시의 위험한 일본학
기타노 다케시 지음, 김영희 옮김 / 씨네21북스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기타노 다케시. 일본 영화를 좋아하고 많이 본 편인데 그의 영화는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그의 영화가 그다지 대중적이지도 않고 몇 편은 볼 생각이 있었는데 기회가 닿지 않았다.
일본 문화계에서는 이단아(?)로 통하는 것 같은 기타노 다케시 감독이 선정한 20세기를 대표하는
100인과 일본이 불행한 이유 9가지를 담고 있는 이 책은 현재의 일본사회에 대한 독설과 엽기적인(?)
해법을 담고 있다.
먼저 일본을 불행하게 만든 원인으로 저자는 외교가 없는 불행, 제대로 된 국회의원이 없는 불행,
정상회담이 열리는 불행, 아버지가 있는 불행, 아이에게 자기 방이 있는 불행, 멍청한 어머니의
자식으로 태어난 불행, 악몽이 현실이 되는 불행, 얼굴이 못 생긴 불행, 스포츠 후진국이라는
불행의 9가지를 들고 있다.
외교가 없는 불행과 관련해선 우리와도 관련된 내용이 등장했다.
기본적으로 기타노 다케시의 주장은 일본의 외교정책이 너무 저자세라는 것이다.
하지만 일본에 대해 그다지 좋지 않은 감정이 있는 우리 입장에서 보면 그의 주장은
일본 극우파들의 주장과 그리 다를 게 없는 것 같다.
교과서 문제에 대해서도 그는 우리나 중국이 뭐라 하면 아예 외교 관계를 끊어버리면 된다고 하질 않나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강하게 나가거나 아예 관계를 끊어버리라고 한다.
일본인의 입장에선 이런 태도가 통쾌하게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정말 어처구니 없고 불쾌하기 짝이 없는 짓이다.
자신들의 잘못을 제대로 인정하거나 반성한 적도 없으면서
자신들의 정부의 외교정책이 저자세라고 비판하니 정말 할 말이 없다.
더 큰 문제는 일본인 대다수의 태도가 이렇다는 것이다.
전혀 무관심 하거나 자기들은 할 만큼 했는데 아직도 다른 나라들이 생떼를 쓰는 거라는 태도.
기타노 다케시는 일본의 나약한 태도를 비판했겠지만
우리가 보기엔 일본은 과거사와 관련해선 여전히 구제불능의 국가라는 점이다.
제대로 된 국회의원이 없는 국가라는 점에선 우리도 마찬가지여서 공감이 가는 면이 있었다.
국회의원도 자격시험을 실시하자는 등의 주장은 공감이 갔지만 이시하라 도쿄 도지사 같은 사람을
옹호하는 태도는 역시 그가 일본 극우세력과 비슷한(?) 입장임을 보여주어
일본의 극우화를 부르짖는 느낌도 들었다.
가정편에선 친구 같은 아버지의 존재와 각자 자기 방이 있어 자기 밖에 모르는 아이들,
전혀 엄마 같지 않은 엄마들을 비판하고 있는데 가정의 해체 문제가 심각한 일본 사회의 단면을
나름 적나라게 비판하고 있었다. 권위를 갖춘 아버지를 요구하는 주장은 좀 시대에 뒤떨어진
가부장적인 면을 드러냈지만 각종 끔찍한 범죄를 저지르는 아이들을 어른과 똑같이 대해 처벌한다는
등의 역소년법 제정 주장은 조금 위험한 측면도 있지만 사회방위의 측면에서 볼 때는 공감이 갔다.
단지 나이가 어리다가 아무런 처벌을 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사회가 범죄자를 키우는 것이나 다름 없기 때문이다.
그 밖에 사람들의 개성이 사라지고 천편일률적인 '얼굴 없는 사회'가 되어가는 것에 대한 비판이나
스포츠 후진국(?)에서 벗어나기 위해 야구나 축구만 하게 만들자는 등의 그의 주장은 황당한 면이
없지 않았지만 일면 수긍이 가는 부분도 없지 않았다.
일본인의 입장에서는 이 책을 봤다면 통쾌한 면이 있을 것 같다
일본의 정치인들을 비롯해 여러 맘에 안 드는 부분들에게 대한 적나라한 비판을 해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냥 야유와 조롱에 영화감독다운 비현실적인 대안들을 쏟아내고 있어
현실에 대한 풍자 수준에 그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 책에 열거된 일본이 불행한 이유는 우리에게도 대부분 해당하는 것 같다.
남의 나라에 대한 비판은 쉽지만 우리 나라에 대한 비판은 귀에 거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자신들의 치부를 적나라하게 드러난 기타노 다케시의 용기는 높이 사 줄 수 있을 것
같다.
그래도 좀 극우적인 스타일이라서 반감이 드는 점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일본의 불행한 이유와 대책이 좀 황당하면서도 재밌게 펼쳐진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일본 사회의 문제를 알고 싶은 사람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불행이라는 건 그 순간순간에 느끼는 거다. 그래서 괴로운 법이다. 반면 행복은 시간이 지난 뒤에야 알게 된다. 행복은 회상하는 것이라서, 그 당시에는 행복하다는 생각을 거의 하지 못한다. – 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