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1 - 우리 역사의 새벽이 열리다 (45억 년 전~300년) ㅣ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1
오강원 지음, 김종민.서영아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역사는 내가 가장 관심이 있는 분야 중 하나이자 학창시절에는 가장 좋아하는 과목 중 하나였다.
물론 학교에서의 수업 자체가 재밌거나 하진 않았다.
학교에선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내용을 가르쳐야 하는 관계로
일명 암기과목으로서의 역할 밖에 하지 못했다.
역사를 좋아하게 된 건 순전히 어릴 때부터 역사책을 즐겨 읽었기 때문일 것이다.
과거 사람들이 살아온 이야기, 그들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듣는 것이야말로
할머니가 들려주는 옛날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흥미진진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사실 대상 독자층이 초등학생이다.
초등학생용 국가책이라면 그 내용이 좀 유치하지 않을까 싶기도 했지만 결코 만만한 내용이 아니었다.
우리 나라 역사의 시초에서부터 삼국시대의 초기까지 다루고 있는데
초등학생 눈높이에 맞추면서도 중요한 내용들을 빼놓지 않고 담고 있다.
한편으론 초등학생이 이 정도의 내용을 배운다니 놀랍기도 했다.
물론 대부분 아는 내용이라 새로운 내용은 거의 없었지만
초등학생이 익히기엔 쉽지 않은 내용이라 생각되었다.
무엇보다 돋보이는 점은 여러 유물 사진과 삽화 등을 담아
그 당시 사람들의 삶을 재현해내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학교 다닐 때는 어느 시대에 어떤 도구를 사용했느냐 하는 사실을 무작정 암기하곤 했는데
이 책에선 유적지와 그곳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추론하는 형식으로
학습시킨다.
마치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듯이 편안한 구어체의 글도
초등학생들이 책을 읽기 쉽게 해 줄 것 같다.
내가 학교 다닐 때는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호모 사피엔스사피엔스'로만
사용했던 용어들을 '손쓴 사람', '곧선 사람', '슬기 사람', '슬기슬기 사람'이라는 우리말 표현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점도 달라진 사실인 것 같다.
역사 공부는 결국 우리의 과거를 알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초등학생용이지만 과거를 알아가는 과정을 제대로 밟고 있다.
유적, 유물, 기록 등을 통해 논리적으로 그 당시의 생활을 추론하는,
제대로 된 역사 교육을 위한 이 책의 시도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