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밀밭의 파수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를 전전하던 홀든 콜필드는 낙제로 또 한 번의 퇴학을 눈 앞에 두고 퇴학 소식이 집에 전해지기 전에
지긋지긋했던 학교를 스스로 떠나 뉴욕을 헤매고 다니기 시작하는데...
예전에 읽다가 말았던 책을 드디어 다시 읽게 되었다.
존 레논의 암살범의 탐독서이며 영화 '컨스피러시' 등에서 언급하는 시대의 문제작이라는 이 책은
사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문제 청소년의 가출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구제불능인 문제아의 가출기로 보기엔 공감하는 면이 상당히 많았다.
주인공 홀든 콜필드는 한 마디로 전형적인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는 청춘의 반항아였다.
모든 것이 불만투성이고, 기존의 질서와 제도가 모두 맘에 안 든다.
이런 가식적인 학교교육을 받아야 하는 것도, 멍청한 속물들과 함께 공부해야 하는 것도 불만이었다.
마침 또다시 낙제로 인해 퇴학을 당하자 과감하게 세상으로 나간다.
그가 경험하는 세상은 학교에서 느끼던 것과 별다를 바 없었다.
얼떨결에 창녀와도 지내보고, 미성년자임을 속이고 술집에도 가고, 친구를 불러내서 만나도,
여자 친구와 데이트도 해보지만 그 어느 것도 그의 텅빈 맘을 채워줄 수 없었다.
좋아하던 선생님 집에서는 하룻밤 묵으려다 봉변(?)을 당하기까지 한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정말 아끼는 동생 피비만 만나고 서부로 가서
자유로운 삶을 살려고 하지만 차마 피비를 두고 떠나지 못한다.
이 책이 매력적인 이유는 무엇보다 주인공 홀든 콜필드가 내뱉는 직설화법의 대사와 독백일 것이다.
좀 적나라한 면도 없진 않지만 그의 말투와 사고는 정말 귀여울 정도로 공감이 갔다.
한편으론 내가 하지 못하던 말들을 시원하게 해줘서 통쾌하기까지했다.
반면에 좀 지나친 구석도 없진 않았다. 늘 진지하지 못하고 되는 대로 사는 듯한 홀든 콜필드의 모습은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겪을 성장통이기는 하지만 거기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면 일생을 망치기 쉽다.
다행히도 어린 동생 피비 덕분에 다시 한번 정상(?)궤도로 돌아오게 된다.
물론 그게 정답이라고 할 순 없지만 어린 시절의 혈기로 무작정 다른 삶을 사는 것은
그다지 옳은 해법이 아닌 것 같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하고 많은 경험이 훗날 소중한 재산이 될 수도 있지만
그만큼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는 고통도 만만치 않다.
아이들이 뛰어 노는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고 싶다는 홀든 콜필드는
자신의 꿈을 이루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짧지만 굵은 방황을 통해 인생이 뭔지에 대해 조금이나마 배웠지 않을까 싶다.
청소년기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끼고 겪어봤을 그런 순간들을
홀든 콜필드라는 인물을 통해 대리체험하는 기회를 주는 이 책은
성장통을 통해 분명 보다 성숙한 사람이 되는 밑거름이 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