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궁궐로 떠나는 문양여행 - 궁궐 건축에 숨겨진 전통 문양의 미학 ㅣ 인문여행 시리즈 17
이향우 지음 / 인문산책 / 2021년 11월
평점 :
그동안 조선의 4대 궁궐인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을 관람했었는데 여러 건물들을 보면서 과거
왕실이 어떤 공간에서 생활을 했는지를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었다. 대부분 특별한 설명 없이 혼자서
관람을 하다 보니 각 건물 앞에 있는 안내판의 내용 정도만 보았고,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6'
(경복궁), '9(창덕궁, 창경궁)', '10(덕수궁)'권과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등의 책을 통해
부족한 부분들을 보충하곤 했다. 아무래도 독학으로는 아쉬운 부분이 없지 않던 차에 그동안 궁궐을
갈 때마다 무심코 지나쳤던 여러 문양에 담긴 의미들을 제대로 알려줄 이 책을 만나게 되면서 몰랐던
여러 문양들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다.
총 6장에 걸쳐 궁궐 건축에 숨겨진 전통 문양의 미학을 살펴보는데 먼저 고대 백제와 신라의 미의식으로
시작한다. 얼마 전에 새로 개편된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에서 여러 무늬벽돌을 보았지만 그 시절에
사용된 무늬들이 조선시대까지 이어져왔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에선 궁궐 건축의 전통 문양을 크게
식물, 동물, 자연 형태의 사물을 형상화한 형상 무늬, 직선이나 곡선의 교차로 이루어진 추상적인 무늬인
기하 무늬, 장수나 행복의 좋은 일을 상징하는 길상문자문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경복궁 아미산 굴뚝을
예로 드는데 그냥 아름다운 무늬의 굴뚝이라고만 생각했던 아미산 굴뚝에는 형상 무늬, 기하 무늬,
길상문자문이 총망라되어 있었다. 지붕 추녀마루를 장식하는 잡상에는 우리가 서유기로 너무 친근한
현장(삼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이 차례로 등장했다. 광화문 여장이 팔괘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는 것이나 경복궁 근정전 천장 어칸에 칠조룡이 있다는 것은 이 책으로 새로 알게 되었는데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는 점을 새삼 실감했다. 용과 더불어 왕을 상징하는 봉황은 창경궁 명전전 보개천장
등을 장식했고 어좌 뒤에 설치하는 삼곡병과 일월오봉병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 수 있었다. 그 밖에
구름문, 태극문, 방승문, 오얏꽃문 등 각종 문양이 어디에 사용되었고 무슨 의미인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궁궐의 서수조각과 장식을 다루는데 현재 광화문 앞에 있는 해태상은 원래 세종문화회관과
정부청사 중간쯤에 있어 하마비의 역할을 했고,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도 자세히 다뤘던
경복궁 영제교의 천록도 등에 구멍이 난 천록의 위치가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제기를 했다.
경희궁 숭정전의 상월대 답도도 원래 봉황이 조각되었었는데 공작으로 잘못 복원했다고 하니 궁궐
복원 과정에 있어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 같다. 4장에선 궁궐 꽃담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는데 경복궁 교태전 아미산 굴뚝과 자경전 서쪽 꽃담 등에 있는 여러 문양들을 정확하게 가르쳐준다.
이렇게 다양한 문양들이 사용되어 다채로운 의미를 담아냈음을 잘 알 수 있었는데 단청과 편액까지
다뤄 궁궐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문양들에 대해 자세히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다음에 궁궐에
갈 기회가 생기면 이 책에서 배운 문양들을 찾아보는 재미를 만끽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