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알베르 카뮈 전집 2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8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머니가 사망했다는 전보를 받은 뫼르소는 어머니의 죽음에 눈물 한 방울 보이지 않는다.

만사에 심드렁하던 뫼르소는 레몽이라는 포주와 친구(?)가 되어

여행을 갔다가 아랍인들과 시비에 휘말려 살인을 저지르는데...



카뮈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이 책은 그야말로 우리가 사는 세상의

이방인과 같은 존재인 뫼르소라는 인물을 그리고 있다.

1부와 2부로 나눠진 이 책은 1부에선 살인을 저지르기 전 뫼르소라는 인물의 일상적인 모습을,

2부에서는 살인을 저지르고 재판을 받는 뫼르소를 통해

세상이 뫼르소에게 내리는 단죄(?)와 그에 대한 뫼르소의 담담한(?) 반응을 그리고 있다.



뫼르소라는 인물은 그야말로 무색 무취의 인물이다.

어머니의 죽음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고 매사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 그는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새로운(?) 인간의 전형이다.

제목처럼 모든 사람들에게는 낯선 이방인이었다.

흔히 인간적이라는 감정이 결여된 뫼르소의 모습은 그럼에도 왠지 미워할 수 없는 느낌이 든다.

어딘가 모르게 나 자신과, 아니 우리들과 닮은 그의 모습을 발견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세상에 시달리며 모든 일에 무관심해지고 싶을 때,

인간관계라는 굴레(?)에 의해 내키지 않지만 해야할 때

뫼르소의 솔직(?)하고 담담한 그의 모습이 오히려 부러웠다.



한편 2부에서 그리고 있는 뫼르소에 대한 재판은

오히려 뫼르소를 심판한다기보다는 뫼르소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반응과 사법제도를 심판하는 것 같았다.

살인범인 뫼르소는 처벌받아 마땅하지만

그가 과연 사형을 당할 죄를 지었는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검사는 뫼르소가 자기 어머니 죽음에도 눈물조차 보이지 않은

냉혹한이라 비난하지만 그건 그에 대한 도덕적(?) 비난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법의 심판의 대상은 분명 아니다.

그럼에도 마녀사냥식 여론몰이는 배심원들을 자극하기 충분해

그에게는 부당한(?) 사형선고가 내려진다.

그리고 그에게 용서를 구하라고, 회개하라고 강요한다.

뫼르소는 자신을 소외시킨 채 사람들이 벌이는 이 황당한 이벤트(?)가 낯설 뿐이다.

하지만 뫼르소는 이를 담담히 받아들이고

오히려 자신의 사형장에 많은 사람들이 오길 기대한다.

그는 그 자신에 대해서도 이방인이었는지 모르겠다.



이 책은 카뮈의 이방인과 그에 대한 해설이 각각 반을 차지한다.

특히 세 명의 이방인에 대한 해설은 어찌 보면 이방인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다른 한편으론 불필요한 군더더기를 붙여다 놓은 느낌이 든다.

해설 내지 비평은 그야말로 작품에 대한 또 다른 시선에 불과한

작품 이해의 한가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지 정답은 아닌 것이다.

난해한 그들의 해설이 작품을 더 미궁 속으로 밀어넣는 것 같았다.



그 당시엔 정말 이방인이었던 뫼르소같은 인물들이 요즘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방인을 통해 카뮈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할 순 없지만

점차 인간미를 잃어가고 삭막해져 가는 세상에

이방인이 된다는 건 오히려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르겠다.

이방인 뫼르소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과 우리 자신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치기 SE (2disc)
이즈츠 카즈유키 감독, 시오야 슈운 외 출연 / 아인스엠앤엠(구 태원)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1968년 교토. 만나기만 하면 치고 받고 싸우는 조총련계 조선고 학생들과 히가시고 학생들

그들 사이의 평화(?)를 위해 친선축구시합도 주선해 보지만 평화는 쉽게 찾아오지 않는다.

한편 히가시고의 쿄스케는 조선고의 경자(사와지리 에리카)에게 반해

'임진강'이라는 금지곡을 연습하며 한국어를 배우는데...

 

조총련계 재일동포 학생들의 애환을 그린 영화

그들의 할아버지, 부모 세대가 일본에 강제로 끌려 와 고통을 겪은 후

본토는 해방이 되지만 그들은 여전히 일본에서는 국민으로서의 자격도 없는 이방인이고

그들의 조국으로 돌아가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 가운데 늘 일본 학생들과 갈등을 빚으며 싸움을 벌인다.

이 두 집단의 갈등을 해결할 로미오와 줄리엣, 경자와 쿄스케

마지막 한판 대결을 벌이는 가운데 쿄스케가 '임진강' 을

라디오 방송에 나가 부르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조총련계 재일동포들이라 아무래도 좀 거리감이 있긴 하지만

그들이 일본에서 겪었을 애환은 공감이 가고도 남았다.

어설픈(?) 한국말이 난무하는 가운데 일본 배우들이 하는

한국말 대사는 좀 귀여웠다고나 할까...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 책읽기 - 김현의 일기 1986~1989
김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6월
구판절판


진정한 의미에서의 친구란 아무 말 없이 오랫동안 같이 앉아 있어도
불편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싶다.-54쪽

파시즘이란 가만있게 내버려두지 않는 강요이다.
무엇을 말해야 한다는 것에서 더 나아가 무엇에 대해 가만히 있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말하는 것이 파시즘의 본질이다.
권위주의의 특징은, 자기는 옳고 다른 사람은 그르다라는 '믿음'에서
연유하는 오만과 뻔뻔함에 있다. 나는 옳으니까 너는 내 말을 들어야 한다는 뻔뻔함과 나는 옳으니까 내가 틀릴 리가 없다는 오만함은 동어반복에 기초하고 있다. 권위주의는 동어반복이다. 나는 권위 있으니까 권위 있다! -17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레이] 레인 오버 미 - 아웃케이스 없음
마이크 바인더 감독, 돈 치들 외 출연 / 소니픽쳐스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가정과 직장에서 모두 원만한(?) 삶을 사는 치과의사 앨런(돈 치틀)

하지만 그는 삶에 늘 뭔가가 결핍됨을 느낀다.

그러던 어느날 대학 동창인 찰리(아담 샌들러)를 우연히 만나지만

그의 상태는 완전히 폐인(?)이고 앨런을 알아보지 못하는데...

 

겉으로 보면 멀쩡한 삶을 살지만 어딘가 허전한 남자와

9ㆍ11사태로 가족을 잃고 마음의 문을 닫은 남자의 이야기

이 영화에선 아담 샌들러의 연기 변신이 돋보인다.

코믹의 대명사인 그가 너무 진지한 모습으로 변신해

외상 후 정신장애를 겪으며 사회에 적응 못하고 고통스러워하는

찰리의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해냈다.

그리고 '호텔 르완다'를 통해 발견한 돈 치틀의 매끄러운 연기도 인상적임 

 

9ㆍ11사태와 같은 끔찍한 비극을 겪은 사람들은

거기서 쉽게 헤어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영화 속 찰리같은 극단적인 경우는 드물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처를 안은 채 힘겹게 살아간다.

그들에겐 그 무엇도 위로가 될 순 없을 것이다.

그들에게 일어난 비극은 스스로 받아들이고 극복할 수밖에 없다.

그들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그들이 고통을 이겨내도록

묵묵히 곁에서 지켜봐 주는 것, 그리고 그들이 우리를 필요로 하고

도움의 손을 내밀 때 언제든 그들의 손을 잡아주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펄스(1disc) - 아웃케이스 없음
짐 손제로 감독, 크리스틴 벨 외 출연 / 에스엠픽쳐스(비트윈)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남친인 조쉬가 의문의 자살을 한 후

매티는 조쉬가 보낸 '도와달라'는 메시지를 발견하고

연이어 친구들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는데...

 

인터넷, 휴대폰 등 각종 통신장비로 촘촘한 거미줄같은

그물망을 만든 현대사회의 새로운 공포의 근원을 보여준 영화

일본영화 '회로'를 리메이크했다는데 원작은 보지 못했다.

죽음의 바이러스가 통신망을 통해 전파된다는 스토리는

현대사회에선 결코 이 바이러스를 피할 수 없다는 결과가 된다.

우리는 하루도 인터넷과 휴대폰 등이 없는 삶을 살 수 없으니깐...

설정은 나름 재밌고 공포스러울 것 같았는데

순간순간의 섬뜩함만 선사할 뿐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