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가 []

요약
법치주의를 제창한 중국의 정치 사상가.

 

본문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한 유파로 그 계통을 이은 일군()의 정치 사상가에 대한 총칭이다. 특히 유가() 사상과의 대립 ·항쟁 과정에서 발달하였으며, 전국시대의 전제적 지배를 지향한 군주에게 채용되어, 진() ·한()나라의 통일제국 성립을 뒷받침한 중요한 사상이 되었다. 《한서()》 <예문지()>에 의하면, 신상필벌()의 질서 있는 정치를 주장한 장점이 있고, 오로지 형법()에 의거하여 때로는 육친의 정까지도 저버린 것이 단점이라는 평도 있다. 위()나라의 문후()를 받들어 부국강병의 실적을 올린 이회(悝:BC 455?∼BC 395?), 진()나라의 재상으로 국내개혁을 달성한 상앙(鞅:?∼BC 338), 저서를 통하여 진시황()을 감탄시킨 한비자(:?∼BC 233), 진() 통일제국의 기초를 구축한 이사(:?∼BC 210), 전한()의 중앙집권화에 힘쓴 조조(鼂:?∼BC 154), 무제() 때의 유능한 경제관료 상홍양(:?∼ BC 80) 등이 법가의 대표자들이다. 현대에 와서 중국은 유가들이 노예주인 귀족층의 세습적 권리를 옹호한 것에 대하여, 법가들은 새로운 봉건 지주계급을 대표하여 국내통일에 공헌하였다는 평가를 한다.

출처-네이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자 [, BC 298?~BC 238?]

요약
중국 전국시대 말기의 사상가. 50세(일설에는 15세) 무렵에 제()나라에 유학()하고, 진()나라와 조나라에 유세()하였다. 제나라의 왕건 때 다시 제나라로 돌아가 직하()의 학사() 중 최장로()로 존경 받았다고 전해진다.
본명 순황
별칭 순경·손경자
국적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
활동분야 철학
주요저서 《순자》

 

본문

성은 순(), 이름은 황()이다. 조()나라 사람이다 . 순경()·손경자() 등으로 존칭된다. 《사기()》에 전하는 그의 전기는 정확성이 없으나, 50세(일설에는 15세) 무렵에 제()나라에 유학()하고, 진()나라와 조나라에 유세()하였다. 제나라의 왕건(:재위 BC 264∼BC 221) 때 다시 제나라로 돌아가 직하()의 학사() 중 최장로()로 존경받았다.

그러나 훗날 그곳을 떠나 초()나라의 재상 춘신군()의 천거로 난릉(:)의 수령이 되었다. 춘신군이 암살되자(BC 238), 벼슬 자리에서 물러나 그 고장에서 문인교육과 저술에 전념하며 여생을 마쳤다.

출처-네이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장바구니담기


고전에 대한 우리의 관점이 중요합니다.
역사는 다시 쓰는 현대사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고전 독법 역시 과거의 재조명이 생명이라고 생각합니다.-21쪽

유럽 근대사의 구성 원리가 근본에 있어서 '존재론'임에 비하여
동양의 사회 구성 원리는 '관계론'이라는 것이 요지입니다.
존재론적 구성 원리는 개별적 존재를 세계의 기본 단위로 인식하고
그 개별적 존재에 실체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23쪽

관계론적 구성 원리는 개별적 존재가 존재의 궁극적 형식이 아니라는
세계관을 승인합니다.
세계의 모든 존재는 관계망으로 존재한다는 것이지요.-24쪽

서양 문화의 기본적 구도는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의 종합 명제라는 것이
통설입니다. 흄과 칸트의 견해입니다.
서양 근대 문명은 유럽 고대의 과학 정신과 기독교의 결합이라는 것이지요.
과학과 종교라는 두 개의 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학은 진리를 추구하고 기독교 신앙은 선을 추구합니다.
과학 정신은 외부 세계를 탐구하고 사회 발전의 동력이 됩니다.
그리고 종교적 신앙은 인간의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의 갈등을 조정합니다.

서양 문명은 이 두개의 축이 서로 모순되고 있다는 사실이
결정적 결함이라는 것입니다.-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뜬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7년 3월
품절


희망은 소금 같은 거야. 영양분은 안 들어 있지만, 그래도 빵에 맛을 내주거든.-58쪽

인간은 보편적으로 거짓말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이 가끔 두려움 때문에 또 가끔 자신의 이익 때문에 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또 가끔씩은 거짓말이 진실을 방어할 유일한 수단임을 적시에
깨닫는 바람에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61쪽

완벽한 순간, 특히 숭고함에 다가선 순간의 심각한 약점은
그것이 아주 짧다는 것이다.
사실 이것은 너무나 분명하기 때문에, 그보다 더 큰 약점이 없다면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더 큰 약점이란 그 순간이 끝났을 때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른다는 것이다.-233쪽

사람을 분류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어리석은 자와 영리한 자로 나누는 게 아니야.
영리한 자와 지나치게 영리한 자로 나누는 거지.
어리석은 자는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있어.
영리한 자는 우리 편으로 끌어들이는 게 좋지.
하지만 지나치게 영리한 자는 우리 편에 있어도 여전히 기본적으로 위험해.

예방이 최선의 치료라고.-250쪽

우리는 태어나는 그 순간 평생 지킬 협정에 서명을 한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렇게 자문할 날이 온다.
누가 여기에 나 대신 서명을 했는가.-37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2disc)
박찬욱 감독, 임수정 외 출연 / CJ 엔터테인먼트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자신이 사이보그라 생각하는 영군(임수정)과

남의 특징을 훔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순(정지훈)이 정신병원에서 벌이는 로맨스(?)

 

영군은 자신이 사이보그이기 때문에 밥을 먹으면 안 되어서

나날이 말라가고 있고 이런 영군을 좋아하는 일순은

밥을 동력(?)으로 전환시키는 장치를 영군의 몸에 주입(?)시켜 영군이 밥을 먹게 만드는데...

 

복수 3부작으로 세계적인 감독이 된 박찬욱 감독의 외도(?)는 그야말로 환상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비장미 넘치는 복수극에서 정신병자들의 환상적인(?) 로맨스로의

급격한 변신은 정말 박찬욱 감독의 영화가 맞나 싶었다.

 

귀여운 임수정이 눈썹까지 염색(?)하며 망가지고

세계적인 가수가 된 비의 능청스런(?) 연기도 괜찮았다.

 

영군이 충전완료되는 상태를 표현하는 발가락에 불 들어오기

얼마 전 있었던 충격적인 총기난사 사건을 연상시키는 영군의 로보캅(?)으로의 변신 등

기발한 상상력의 나래를 펴는 이 영화는 보는 사람을

잠시나마 세상의 시름을 잊고 환상의 세계로 보내 주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보면 황당 그 자체이므로 주의할 것. 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