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시, 가슴 뛰는 삶을 살아라 - ‘지금 이 순간의 나’를 깨우는 바샤르의 메시지
다릴 앙카 지음, 전경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7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컬처블룸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는 흔히 묻곤 한다. 우리의 아이들에게든 자신에게든 어떤 삶을 살고 싶으냐고?
하지만 그에 대한 대답은 쉽게 얻을 수 없고 말하지 못한다는 점이 우리를 안타깝게 한다.
살아 보지 않은 터에 어떤 삶을 살고 싶냐고 물어 본들 입력 없는 출력을 원하는 것과 마찬가지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입력이 없다면 당연히 출력인 결과물이 없을 수 밖에 없다는 원리를 우리는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물음에 대답이 될 수 있는 정답이 있을 수 있다.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길들을 따라가는 오늘날의 수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 하지 않고 피곤하며 스트레스에 불안을 느끼며 사는 모습들을 보면 정말 그들이 원해서 이러한 삶을 사는것인가 하는 의문을 품게도 된다.
우리는 모두 스스로의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존재들이다.
그런 행복 추구가 언제부터 인지 모를 타인이 만들어 놓은 길을 가는것으로 얻을 수 있는 행복인가 하는 물음에 스스로 그렇다고 답할 수 있다면 지금의 삶이 최적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생각이나 판단을 한다면 우리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추구해야 한다.
바로 그 새로운 삶의 방식을 이끌어 줄 정답이 가슴 뛰는 삶을 사는것이다.
그 이야기를 전해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다시, 가슴 뛰는 삶을 살아라" 는 인간이 삶을 살아 온 이래 행복한 삶을 꿈꾸는 가운데 정녕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근원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접근해 지금의 삶을 되돌아 보고 우리 자신의 삶의 방향성과 목표에 대한 방법론을 새롭게 부각시키고자 하는 책이다.
그렇다. 가슴 뛰는 삶이라야 비로소 나, 우리는 살아 있음을 느낀다.
누군가 만들어 놓은 삶의 길도 안락하고 편한 길이 될 수 있으나 나, 우리에게는 마뜩치 않는 길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 말에 '평양 감사도 제 하기 싫으면 그만' 이라는 말이 있듯이 제 아무리 행복하게 보이는 삶의 모습들이라 해도 가슴 뛰지 않는 삶이라면 이미 그 삶은 퇴색된 삶으로 치부될 뿐이다.
가슴이 뛴다는 말은 어떤 일을 함에 있어 설렘과 흥분 상태가 지속되어 나, 우리 자신을 몰입의 순간으로 만들어 주는 상태를 말한다.
그런 상태가 우리의 삶에 지속되어야 하며 그 과정을 즐길 줄 아는 나, 우리가 된다면 진정 우리 삶은 가슴 뛰는 삶이 만들어 주는 흥분의 도가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바샤르는 외계적 존재, 혹은 신비의 영성체라 할 수 있다.
수 많은 외계 생명체와 교류하고 지구의 인간 사회에서 조화를 이루어 우주의 진실을 깨닫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존재로 인식할 수 있다.
인간이 아닌 바샤르가 전하는 우주의 메시지를 통해 진정한 나, 우리의 가슴 뛰는 삶을 향한 여정의 서사를 만나볼 수 있다.
저자는 바샤르의 '가슴 설레는 유도론', '독특한 인지론',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론 등에 이르기 까지 지구상의 인간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들을 제시하고 있다.
어쩌면 바샤르는 나,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면서 나, 우리를 기존의 고답적이고 보수적인 모습에서 탈피해 새로운 세상을 향해 할 걸음 내 딛을 수 있는 변화를 꾀하고자 하는 이미지로 인식할 수도 있다.
어떤 의미로든 바샤르가 전하는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삶이라는 지속가능한 시간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행복한 삶으로 만들어 갈 수 있게 다독여 준다.
'행복하지 않아~" 라고 말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고 나, 우리는 그런 그들을 보며 나, 우리 자신과 비교하며 배부른 소리라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삶의 과정은 모두가 같을 수 없고 조금씩을 달라질 수 밖에 없는 것이 원론이라 할 수 있다.
그 원론적인 삶을 무덤덤하게 맞이하고 하기 싫은데 억지로 하니 행복하지 않을 수 밖에 없는 일이다.
진짜 나, 우리가 원하고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사는 삶이 된다면 행복은 늘 지속되리라 판단해 본다.
그런 행복한 삶의 근원이 바로 가슴 뛰는 삶을 사는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이니 바샤르의 가르침을 가슴에 새겨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