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로 늙어간다는 것 - 80대 독일 국민 작가의 무심한 듯 다정한 문장들
엘케 하이덴라이히 지음, 유영미 옮김 / 북라이프 / 2025년 5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피 끓는 청춘의 시기에는 나이들어 간다는 것에 대해 그리 심각하게 생각해 보지 않았다.
아마도 오늘의 청춘들에게도 그러한 생각은 아마 거의 없을지도 모른다.
단정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젊은 청춘들의 의식 속에서는 그러한 의미를 쉽게 찾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자신의 부모님이나 가족, 친지 등이 나이들어 가는 모습을 보면서 나이들어 가는 것에 대한 이해를 조금은 해 보려 노력하는 이들도 있을 수 있다.
나이들어 가는 나, 우리를 나,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역시 우리 자신에게 묻고 답해야 하는 일이지만 그리 쉽지 않다.
더구나 외적 환경으로의 나이듦이 필연적인 나, 우리의 모습을 보면서 나, 우리는 스스로인 나로 늙어 간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 옛날의 진시황 처럼 오랜 장수를 위해 불로초를 찾는 일을 벌이지 않아도 온전히 자연적인 노화를 받아들이며 나로 늙어가는 것에 대한 진실을 마주하는 나, 우리의 진솔한 마음을 돞아보게 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나로 늙어간다는 것" 은 독일의 대표적 작가이자 오펜바흐 문학상 수상자인 까칠한? 성정의 느낌을 가진 엘케 하이덴라이의 그 자신으로 늙어감에 대한 진정성 있는 글들을 마주하고 지금의 나, 우리의 늙어감에 대한 사유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흔히 우리는 나이듦과 늙음으로 인한 불편함과 외로움, 불안함 등에 대해 토로하지만 꼭 그러함만이 늙음을 말하는 단어는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세상 모든 일에는 상대적인 부분들이 존재한다.
외로움을 느끼는가 하면 자유로움을 느낄 수도 있는 일이고 불편함 등을 느끼는가 하면 새롭게 바라 보고 행동을 변화 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화를 일상적으로 만들 수 있다.
젊은 청춘들의 피끓는 열정은 이제 느끼거나 가질 수 없지만 나로 늙어가는 일에서는 그러한 일들을 은근과 끈기를 가지고 더욱 현명한 방법으로 바꿔 나갈 수 있음을 아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삶이 누구의 삶이고 생활인가?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나, 우리의 삶이자 생활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나로 늙어가는 것에 불만을 토로한다 한들, 거꾸로 돌릴 수 없는 시간을 탓한들 스스로의 심리적 불안을 가중시키고 타인에게 우리 자신을 미덥지 못한 인물로 각인시킬 가능성이 크다.
자연스럽게 나이들어 가는 삶을 받아들이는 나, 우리가 되어야 한다.
더하여 그러한 존재들이 나로 늙어가는 모습을 깊이 있게 살피고 애착을 갖는 일은 여전히 나, 우리의 삶이 지속가능한 삶 속에 놓여 있음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나이들었다 해도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살아간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공적인 기술에 의해 나의 존재가 아닌 모습으로 바꿔 살 수도 있지만 오롯이 나만이 나의 존재의 진정성을 이해할 수 있고 확인할 수 있고 보면 그러한 인공적 존재로의 나, 우리가 아닌 진짜 나로의 늙음에 대해 깊이 있게 주시해야 한다.
작가여서 그러한지 매우 다양한 문학작품들의 문장과 저자들이 전하는 말들을 통해 우리의 삶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수들을 재단하고 우리의 삶에 알맞는 아니 어쩌면 나에게 꼭맞는 진단을 내리듯 지혜로운 조언들을 마주할 수 있다.
저자의 글들을 통해 까칠함을 느낄 수 있는가 하면 무심한듯 상황과 현상에 대한 이해를 무덤덤하게 던지지만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를 읽어내며 우리 자신의 생각과 행동에 대한 준비를 가다듬게 한다.
바로 나로 늙어가고자 하는 우리의 마음을 드러내게 하며 말이다.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우리 사회의 많은 이들에게 나로 늙어가는 것의 의미를 돞아볼 수 있게 해 준다.
격조 높게 나로 늙어가는 것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멋진 글들이 빼곡히 우리를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