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의 기본
오카모토 유이치로 지음, 이정미 옮김 / 로북 / 2025년 4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기본(基本)은 사물이나 현상, 이론, 시설 따위를 이루는 바탕을 말한다.
그렇다면 철학의 기본은 무엇일까?
철학은 학문이 아닌 '지혜를 향한 사랑' 이라는 뜨슬 가진 그리스어 Philosophia를 이름한다.
그러한 철학이 지혜를 향상 사랑이라니 사람, 사물, 사건이나 상황을 깊게 이해하고 깨달아서 자신의 행동과 인식, 판단을 이에 맞출 수 있는 것을 뜻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위해서는 이성과 지식이 이성적으로 행동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한 과정을 위해 우리는 삶과 생활에 있어서의 수 많은 의문들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그저 그렇게 되어 있으니 한다는 식의 맹종수준이 아니라 왜 이렇게 그렇게 해야 하지? 라는 스스로의 반문을 통해 생각하고 사유하는 과정을 우리는 철학으로 명명할 수 있는 것이다.
철학의 기본은 바로 그러한 과정을 우리 스스로가 가질 수 있도록 세상을 보는 관점으로의 새로운 안경을 씌워 주는 역할을 한다.
철학의 기본에 대하 독자들에게 설명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철학의 기본" 은 동, 서양사의 계보 가운데 가장 깊이 있고 여전히 뜨거운 감자처럼 논란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는 철학에 대해 조망하며 2500년간 철학이 제안한 세상을 바라보는 사고의 기술을 쉽고도 재미있게 설명해 주는 책이다.
철학은 무엇인가, 인간이란 무엇인가,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 무엇을 원해야 바람직한가, 무엇을 얻어야 할까, 세계는 수수께끼로 가득차 있다, 자연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정답 없는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타인과 어떻게 공생하고 인간의 역사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하는 등의 결코 쉽지 않는 질문들을 마주하면 간단히 대답할 수 없는 답답함을 마주하게 된다.
그러한 답답함이 바로 우리 삶의 가운데 자리하고 있기에 우리는 아무런 생각없이 살아가서는 안된다.
스스로가 생각하는 질문에 대한 답들을 명확히 내릴 수 있다면 오늘을 사는 나, 우리는 자신의 정체성을 명징하게 구분하고 삶에 대한 방향성과 과정으로의 행동에 결정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함이 누구나 같다고 말할 수 없는 상황이고 보면 철학을 개똥철학으로 부르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이해할 수 있을것도 같다.
인간의 오랜 역사를 생각하면 과거 인간 조상들의 삶은 철학적 사유의 창으로 투영해 보았을 때 어떠했을까 하는 궁금증이 일어나기도 한다.
쉽지는 않지만 그러한 그들의 삶을 바로 당시의 철학자들의 삶에서 찾아볼 수 있음이고 보면 오늘 우리가 철학의 기본을 통해 만나게 되는 철학 이야기는 철학사 전반의 이야기임과 동시에 세상을 바라보는 또다른 안경을 하나 얻는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안경이 나와 맞을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사유하는 과정을 통해 나에게 맞는 안경으로 맞추면 그만일 뿐이다.
철학서들을 읽다보면 난해하고 어려운 문구들을 마주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저자는 그러한 문제를 독자들의 생각을 유의미 하게 하기 위해 중요 문장에 대해 풀어 쓰며 밑줄을 그어 강조함으로써 한 번 더 생각할 빌미를 만들어 준다.
또한 하나의 주제에 대한 설명을 마무리 하며 써머리 형식으로의 column을 제시해 보충적 설명으로 주제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마치 철학이 무엇인지를 먼저 이해하고 그에 따른 철학사를 스토리텔링 식으로 설명해 주고 있어 크게 어렵지 않게 술술 넘기며 철학에 대한 생각을 가다듬을 수 있다.
철학은 우리에게 교양으로 인식된다.
교양은 나를 둘러싼 환경을 분석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얻게 되는 지식들 이라고 볼 수 있기에 철학은 늘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일상의 철학적 인식을 위해 이 책을 다독해도 아깝지 않을 시간들이 될 것으로 판단해 보며 다독을 권유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