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쓸모 있는 사고를 위한 최소한의 철학 - 철학의 문을 여는 생각의 단어들
이충녕 지음 / 쌤앤파커스 / 2025년 6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쓸모, 사고, 철학은 대체 어떤 관계가 있을까?
분명 우리 일상의 생활과 삶이라는 측면에서 그것들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판단해 보면 한 번쯤은 그것들이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유익한 시간이 될 것 같다.
우리 인간의 마음은 인간 존재 자체를 쓸모 즉 유용성에 맞추고 있다.
세상에 쓸모 없는 인간이 어디 있을까만 심심치 않게 악행을 저지르거나 하는 인간을 볼 때 우리는 '쓸모 없는 인간'이라 지칭하곤 한다. 올바르고 착하게 사는것으로의 유용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고(思考)는 '생각하고 궁리함'을 뜻한다.
이제 저자가 어떤 의미로 책의 제목을 저렇게 지었는지를 조금 이해할 수 있을것 같다.
즉 쓸모 있는 존재가 되기 위한 생각을 궁리하기 위해 필요한 철학이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철학은 머리아픈 이야기라 생각할 수 있지만 하나 하나 뜯어보고 마음으로 의미를 곱씹어 보면 저자의 의도를 십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쓸모 있는 사고를 위한 최소한의 철학" 은 인간이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파악하며 생각하고자 하는지를 철학이라는 도구를 통해 들려준다.
세상의 모든 것들을 우리는 알고 싶어 하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설명하고 싶어하기도 한다.
그만큼 우리 인간은 이해하기 불가한 존재이며 그런 나, 우리가 과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오랜 시간을 두고 철학자들은 고민해 왔다.
결과적으로 나, 우리라는 존재의 정체성에 대한 진실을 스스로 의심하고 확인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의 다양한 것들을 철학적 사유로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들을 만나볼 수 있다.
생각하는 존재인 우리는 다양한 철학적 사유들을 통해 인간 삶의 지속가능성에 방점을 찍고 어떠한 연유라도 극복해 내며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욕을 불태운다.
그 이야기들을 좀더 철학적으로 풀어내 설명하는 바가 저자가 구성해 놓은 내용들이다.
철학적 화두 하나와 철학자를 연결시켜 각 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해 놓은 저자만의 독특한 방식은 워낙 방대한 철학사를 간편화 해 대중적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한 단어 하나와 철학자의 연결은 저자가 보여주고자 하는 철학의 핵심으로의 모습임을 깨닫게 되면 우리는 어디서 부터 어떻게 철학을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막막함을 넘어 첩첩산중에서 길을 만난것 처럼 즐거운 마음으로 철학산책을 떠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삶의 이유를 찾아 철학을 공부했지만 이제는 이유 없이도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탐구하고 있다 한다.
그렇다. 우리 삶이 꼭 철학적이어야 할 필요성은 없겠지만 의미를 둔다면 삶은 우리가 철학적으로 탐구하려 하지 않아도 이미 철학적이라는 사실이 진실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삶의 이유에 대한 철학적 의미를 찾거나 부여하기 보다 이유 없는 삶에도 나름 의미가 있고 그것이 오히려 지금까지의 강제적 철학에의 수용됨 보다는 자연스런 우러남의 철학임을 깨우쳐 주는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든다.
대중적 철학을 도모하는 저자이기에 철학적 사유만으로 살아 온 지난 시간들이 아마도 그의 사유의 체계를 바꿔 진정 삶을 철학적으로 바라보는 존재가 되지 않았나 하는 느낌을 갖게 된다.
삶이라는 길, 그 길을 그 누구의 사유와 통찰에 빛나는 길로 갈 수도 있지만 삶에 있어서의 철학은 나, 우리의 삶의 길을 스스로 생각하고 걸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주고자 하는 목적을 분명히 갖고 있다고 하겠다.
그 목적적 지향으로의 길이 나, 우리의 삶이 나아가야 할 길임을 생각해 보면 쓸모 있는 사고를 위한 철학의 선정은 매우 흡족한 선정으로 생각할 수 있을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