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청소년을 위한 인터넷 사이트 글틴에 추리 작가 권경희님이 쓰신글을 갈무리하여 올리는 글입니다.

추리문학의 세계 <1>

“입시 공부 중에 추리소설 가장 많이 읽었죠.”
수능 점수 발표가 나면 언론에는 으레 전국 1등의 인터뷰 기사가 나온다. 얄미울 정도로 높은 점수를 받은 1등 수험자, 인터뷰 내용은 더욱 얄밉다.
“과외 공부는 전혀 안 했어요. 오직 학교 공부만 충실히 했어요.”
정말일까? 그럴 리가....... 이런 질문을 던지는 내가 미련할 게야, 하면서 혼자 상상의 나래를 펴보곤 한다.
내가 만약 수능 전국 1등이 돼서 고3 때 어떻게 공부했냐는 질문을 받는다면 뭐라고 대답할까?
“과외 공부는 수학 단과반 한 번 들어봤고요, 주로 혼자 공부했어요. 공부하다 지치면 추리소설 보면서 머리를 식혔죠.”
가슴에 손을 얹고 말하는데, 이건 사실이다. 고3이 어떻게 추리소설 읽을 여유가 있었느냐고 묻는다면, 여유가 없었기에 추리소설을 읽으면서 여유를 찾았다고 답하겠다. 긴장과 불안의 연속인 고3 시절, 나는 어느 때보다 추리소설을 많이 읽었다. 추리소설의 합리적인 논리 체계, 그 안에서 벌어지는 날카로운 두뇌 싸움, 통쾌한 반전은 수험생으로서 겪고 있는 불안과 긴장감을 말끔히 씻어 주었다. 그래서 공부를 열심히 할수록 추리소설도 더 많이 읽게 되었다. 덕분에 고3 때 추리소설을 가장 많이 읽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수학 문제를 푸는데 도무지 답이 나오지 않았다. 풀어가는 과정에서 뭔가 문제가 있는 듯했다. 공부 진도는 안 나가고, 머리는 지끈지끈 아프고....... 에라, 하는 심정으로 코난 도일의 단편 하나를 읽고 잠이 들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 꿈에 그 수학 문제가 나타나고, 꿈속에서 해결법을 찾은 것이다. 바로 잠에서 깨어 꿈에서 푼 대로 공식을 대입해 보았더니 정말로 맞는 답이 나왔다.
그때의 신기한 경험 덕분일까? 내 첫 추리소설(저린 손끝, 1996)의 주인공인 박민기 순경 역시 수사가 미궁에 빠져 머리가 아플 때마다 수학 문제를 푼다. 취미로^^.

왜 추리소설인가?
영국의 저명한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도 자신이 가장 즐겨 읽는 책은 추리 소설이라고 했다. 추리 소설의 마니아급 독자인 그는 마침내 추리 소설을 직접 쓰기도 했지만 자기 말대로 재능이 없어서인지 별로 주목을 끌지는 못했다. 그가 왜 추리소설을 좋아하는가에 대해 간명하게 답하고 있다. ‘지적인 논리성의 재미’ 때문이라고 했다.
많은 추리 소설 평론가들은 다른 장르의 소설과 구분되는 추리 소설의 특징으로서 ‘지적 논리성’을 들고 있다. 소설이란 인간사를 다루면서도 논리성보다는 휴머니즘이나 감성적인 요소를 더 중시하기 때문에 그에 대칭시킨 이론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한 예로 추리소설을 탐독하거나 몰입한 나머지 자신이 직접 쓰겠다고 나선 사람들을 살펴보면 이러한 지적 수준을 갖추고 충분히 자기 논리를 표현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다.
역대 미국 대통령들 중에도 추리소설을 탐독한 사람들이 많았다. 링컨, 루스벨트, 클린턴 등이 대표적이다. 링컨은 변호사 시절의 경험을 토대로 추리소설을 쓰기도 했다. 루스벨트도 직접 추리소설을 쓴 대통령중의 한 사람이다. 클린턴은 미국 추리소설 독자상까지 받았다. 이들이 한결같이 추리 소설을 좋아하는 이유는 추리소설이 지니고 있는 지적인 흥미와 논리성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추리소설의 장르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지적(知的)’이라고 하는 것과 ‘흥미’와 ‘논리성’이라고 하는 것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이 3요소는 서로 이율배반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논리성에 치중하다 보면 딱딱해져서 소설로서의 재미를 잃어버리게 되고 지적인 요소에 너무 치중해도 지루해진다.
이 세 가지의 모순된 요소를 어떻게 조화롭게 할 것인가가 추리소설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요소가 되며, 추리소설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하는 비법이 된다.
대개의 순수 문학은 독자들에게 어느 정도의 고민을 요구한다. 그러나 독자를 고민에 빠트리거나 골치 아프게 한다면 그것은 이미 추리 소설이 아니다. 추리 소설은 무엇보다 재미있고 편안한 이야기여야 한다.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료 도서관이란 인터넷 서핑도중 발견한 쟝르 소설이나 기타 여러 내용중 읽을 만한 것들을 내 PC에 그간 갈무리한 것들중에서 일부를 올리는 것입니다.글쓴이에게 일일히 허락을 받지는 못했으나 출처가 확인되는 것은 밝혀둘 예정입니다.많은 참조 바랍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들의 사회 행복한책읽기 SF 총서 3
로저 젤라즈니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신들의 사회는 명석하고 유려한 문체, 뛰어난 인물 조형, 간결함과 화려함이 절묘하게 결합된 아름다운 산문, 강렬한 신화적 상징성으로 SF/판타지 소설이 도달할 수 있는 극점을 제시했다고 평가받는 미국의 SF/판타지 소설작가라는 로저 젤라즈니가 쓴 책이다.

사실 이 책은 약 10년전에 정신 세계사에서 이미 출간한바 있다.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정신 세계사는 명상,정신 세계,한국 고대사(단, 한단고기등)등과 관련된 책을 주로 간행했던 출판사로 90년대를 풍미했던 대표적인 출판사다.내 기억에 아마 95년쯤 출간되었는데 이때는 나경 문화,새와 물고기,서울 창작등에서 나름대로 sf 소설들을 출간하던 시기였다.그래서인지 정신 세계사에서도 자신들의 철학과 비슷한 sf 소설을 출간하고자 했는지 로저 젤라즈니의 작품을 쓰~~으~~욱 하고 내 놓았던 것 같다.
사실 sf를 잘 모르는 분이라면 신들의 사회를 보게 되면 아 무슨 인도철학(힌두교)이나 불교의 교리를 우화적으로 표현한 책이라고 생각하기 똑 알맞다.우리가 sf라면 떠오르는 과학적인 것보다는 주로 신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젤라즈니는 하드sf나 스페이스 오페라류의 sf에 반발해서 인문 sf라는 쟝르를 개척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주로 신화에서 내용을 차용하여 sf소설화 시키는게 장기인데-일부에서는 신화도 현 sf시대 이전의 sf라고 평가하기도 한다-,그의 또 다른 대표작 내 이름은 콘라드를 보면 알 수 있다.이 작품은 60년대에 쓰여진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시기는 미국에서는 반전운동, 히피 ,선을 알기등으로 동양 문화에 심취해 있던 시기라서 동양 사상을 차용했을 것이다.

책 내용은 “식민 우주선을 타고 우주를 방랑하다가 인류에게 최적의 환경을 갖춘 행성을 발견한 '제1세대'는 그곳에 고대 인도를 방불케 하는 유토피아를 건설한다. 그들은 모든 과학기술을 독점한 뒤, 힌두 신화에 입각한 신권주의와 카스트 제도를 지배 이념으로 채택, 무지한 민중 위에서 불사(不死)의 신으로 군림한다.바로 그 '신'들이 세계의 지붕 위에 건설한 천상도시에서 쾌락에 탐닉하고 있을 때, 지상에 파종된 그들의 자손은 엄격한 카스트 제도 하에 고통받는다. 제1세대들이 카르마(業)의 개념을 도입해 체제에 순응한 자들만을 선택적으로 전생시키는 방법으로 수십 세기 동안 민중들을 억압해온 것. 그러나 제1세대 중에서 과학기술의 도입과 카스트 제도의 철폐를 주장하는 '촉진주의자'가 나타나는데...”이다.
사실 내용은 신화와 인도의 신들이 난무 해서 별로 sf라는 느낌을 받지 못하는데 신들의 사회에서 야마라는 죽음의 신이 신들에게 무기를 만들어 주는데 이 무기에서 sf라는 느낌을 겨우 받는다.
따라서 신들의 사회을 읽으신 많은 분들은 책속에 있듯이 동양적 사상인 윤회 사상과 기독교 사상,그리스 신화등을 연상하며 무언가 철학적인 내용을 sf와 잘 접목시켰구나 그리고 작가가 신들의 무기도 잘도 상상해서 그려냈구나 하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책을 읽고난 내 소감은 고대 인도의 무기를 젤라즈니가 제대로 묘사하지 못했구나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고대 인도의 문학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무기들은 현대의 눈으로 보더라도 상상을 초월하는 무기가 등장한다.이외에도 여러 문헌들에서 수많은 무기와 사용방법, 만드는 방법등이 나오는데 현대의 미사일이나 비행기등이 등장한다.그래서 19세기에 고대 인도문헌을 연구했던 서구의 학자들은 도저히 이해 할 수 없는 고대 인도인의 상상이라고 단순히 치부 했었다고 한다.하지만 19세기에는 도저히 이해 할수 없던 내용들이 21세기에는 현실로 다가 왔는데도 아직까지 서양의 학자들(과학자는 아님)은 아직도 자연 현상을 상징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그러나 인도에서는 진지하게 과학적 방법으로 고대 문헌들을 연구 하고 있다고 하니 언젠가 진실이 밝혀지지 않을까
신들의 사회는 sf의 고정 관념을 깨트리는 작품으로 다소 난해한 작품이다.만약 에니메이션이나 영화로 만들어 진다면 좀더 많은 사람들이 즐길수 있는 작품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헌책방과 쟝르소설

내가 다시 헌 책방을 찾았던 이유는 예전에 모아 두었던 동서 추리 문고 중 없는 책들을 찾고자 함이었다.그런데 헌 책방을 다니다 보면서 한가지 느낀점은 쟝르 소설(추리,sf,등)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는 점이다.
아시다시피 우리가 알고 있는 헌 책방의 경우 매장이 협소한 경우가 대다수이다.특히 동대문 일대에 포진한 헌 책방들이 대표적인 예이다.물론 동대문이야 워낙 방문하는 사람이 많다 보니 책의 회전이 빠르고 나름대로 고전,아동,외국 책 전문,소설,참고서 등 전문적인 분야가 있어 매장이 크지 않아도 되지만,여타 동네에 포진한 헌 책방의 경우에도 찾는 손님이 많지 않기 때문에 매장이 클 수가 없다.게다가 어느 특정 분야에만 집중하다가는 망하기 쉽상인지라 백화점식으로 여러 가지 많은 책들을 취급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동네 헌 책방이야 아동용이나 참고서가 주 종목이고 대학가에서는 인문 사회계통이등이 주력이다보니 헌책방에서 소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에 1/2~1/3에 불과한 편이다.게다가 소설의 경우에도 베스트 셀러 나 일반 소설 등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추리나 sf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추리나 sf는 비 주류다 보니(특히 sf는 비 주류중의 비주류다) 초판 발행 부수가 적고 그 나마 판매가 안되어서 절판 되는 경우 가 많은데다 쟝르 소설 팬들은 한번 소장하면 잘 내놓지 않는 습관 때문에 원하는 책을 헌 책방에서 찾기란 말 그대로 하늘의 별 따기다.게다가 추리나 sf의 독자들도 많지 않다 보니 헌 책방에서 많이 취급하지 않는 편이니 많이 아쉬울 따름이다.
헌 책방 서가에 나름대로 추리/sf소설들이 한 코너를 차지 하고 있는 매장들이다.책 구하실 적에 참고가 되시길……………

-신촌 숨책
-연세대부근 정은 서점
-상계동 헌책 백화점
-안양 경기서점

원하는 책을 구하는 것은 부지런한 발품과 독수리 같은 눈,그리고 그날의 운 이다.불가능에 가깝지만 쟝르 소설 전문 헌책방이 생겨나길 기대해 본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헌책방 전화번호

여기 헌책방 전화번호는 내가 2002년에 서울에 있는 헌책방을 다니기 위해 최종규님의 사이트에 갈무리한 자료이다.지금 확인해 보니 그때이후 업데이트가 없는 모양이다.
내가 알고 있는 매장중 폐점한 곳과 혹 너무 안가서 폐점인지 아닌지 잘모르는 곳은 색깔로 표시했으니 혹 참고하시길……….
붉은색은 폐점, 녹색은 페점여부를 잘 모르는 곳

그나저나 요 몇년사이에 참 많은 헌책방들이 폐점되었다.헌책방을 자주 찾는 나로서는 참 안타까운 일이다.
- 서울 시내 헌책방 전화번호부 -

가람서점(수유리) 02-902-9391,011-302-4523
간판없는헌책방(성북구청) 02-923-9960
간판없는헌책방(방화동-방신시장)
간판없는헌책방(송파네거리 일신여상옆) 02-421-6961
간판없는헌책방(응암동-명지전문대) 02-302-4537
강동 헌책방(천호역) 02-471-0272, 02-485-8660
강전서림(대치동) 02-557-1694, 011-9860-1762
경북서점(장위동) 02-918-1625
경훈서점(사가정)
고구마(금호동) 02-2232-0406,011-222-7281
고려서점(우장산역) 02-663-3181
골목책방(독립문) 02-313-5066,011-713-5066
공동서점(불광동 동명여고) 02-355-7158
공씨책방(신촌) 02-336-3058,011-9914-3058
광서당(삼선교) 02-742-6155, 011-792-6155
광주서점(광진-자양네거리) 02-444-8726
교양서점(미아세거리) 02-981-1005
굴다리서점(공덕동) 02-706-2338
글천지(암사동) 02-487-1377
길바닥 헌책방(노점-목동역) 011-762-9501
그린북스(성신여대역) 02-921-0592
남영서점(중앙대)
대명서점(성남 중동) 031-731-7020
대성서점(잠실대교-구의역) 02-453-9850
대양서점(홍제동) 02-394-2511,011-9993-7901
대흥서점(미아역) 02-981-3214, 019-259-6009
동양서점(봉천동) 02-888-6263,018-215-1054
들머리헌책방(서교동-망원역) 02-324-6353
리화도서(중화역) 02-433-1929
마포서점(애오개) 02-312-3165

명문서점(중화동-중랑교) 02-435-0162
문우당(명지대) 02-372-9145,017-229-5745
문화당서점(연신내) 02-384-3038,011-9756-3038
문화당서점(장승백이) 02-823-5204
문화서점(길음역) 02-917-6874
문화서점(모래내) 02-374-3383, 011-665-3383
문화책방(애오개) 02-392-4641
미림서적
북스토어(이태원) 02-793-8249
뿌리서점(용산) 02-797-4459
사당문고(사당역) 02-3472-5555
삼선서림(한성대입구) 02-747-3444, 016-9292-3698
삼우서적(봉천동) 02-889-8823
상계책문고(노원역) 02-931-9453
상문서점(태릉입구역) 02-977-3857
새한서점(고려대) 02-929-0648,922-3793
서대문도서(서대문역) 02-392-8180
서문서점(강서도서관)
서울북마트(서울역) 02-701-8327,017-365-3432
서울서점(미아역) 02-983-4501

서적백화점(개포동-도곡역) 02-577-9876
송가책방(돌곶이역) 02-965-5965
송천헌책방(미아세거리역) 02-982-0886, 011-272-7471
송파도서(석촌역) 02-421-6961,016-313-4402
수현헌책방(목동역) 02-2607-5223, 019-209-5223
숨어있는 책(노고산동) 02-333-1041
신고서점(외국어대) 02-960-6423
신동아서점(대림역) 02-864-7729, 011-0449-7729
신영서점(개농역) 02-404-3375, 016-299-3374
신일서점(수유역-화계사) 02-908-9552
신진서점(종로6가) 02-2275-1831
안흥책서점(미아삼거리) 02-911-8211
알뜰서점(신림역-신림고 네거리,신대방역) 02-865-2442
애비북스(이태원역) 02-795-4253
연구서원(서대문) 02-738-0174, 019-694-0602
연남서점(북가좌동) 02-302-8407
영광서점(망원역) 02-337-6064
영지서점(태평백화점) 02-595-1471
오거서(홍익대 뒤) 02-333-3282, 011-9946-3282
온고당(홍익대) 02-335-4414,322-9313
우리글방(숭인동) 02-923-4129
우리서점(중곡동)
우일서점(등촌동-발산역) 02-691-4491
원천서점(신촌) 02-715-9151
이오서점(성신여대) 02-926-6368
작은우리(불광동) 02-383-6263
정은서점(연세대) 02-323-3085
조은책방(왕십리-한양여고) 02-2296-8185, 017-290-0886
중앙서점(신길-대신시장) 02-847-8434, 016-327-8434
중앙서점(외국어대)
진양서점(방학동) 02-3491-4865
진호서점(노량진) 02-815-9363
쪽 책방(인사동-비어플러스 술집 들어가는 들머리에)
창동서점(수유역) 02-906-2286

책나라(경희대) 02-960-7484,011-304-6048
책방 책사랑(애오개) 02-365-5842
책백화점(상계역) 02-932-8233
책벌레(암사역) 02-428-6781,019-227-1377
책상은책상이다 (서울대) 02-886-1958
책의향기(미아삼거리역) 02-919-3583,016-761-2982
책읽는마을(증산동) 02-373-6564,7803
책창고(대치동) 02-557-1616
책창고(분당-초림역) 031-719-2939
책창고(서울대) 02-886-3737
천지서점(성수역) 02-469-2107, 011-702-2407
충남서점(방화동) 02-664-1475
통문관(인사동-옛책방) 02-734-4092,011-709-7761
평화서점(전농동) 02-2243-3684
한고서점(배명고-석촌역) 02-419-6802, 019-224-3700
한솔서점(대치동 도곡시장) 02-5625-234
합서점(가회동-중앙고 옆)
헌책방(방배역) 02-584-1480
헌책백화점(구산역) 02-355-7158
헌책백화점(상계동)
헌책백화점(연신내-옛 글방) 02-355-7158
헌책백화점(청구역) 02-2252-3554
헌책음반사고팔고(보라매역) 02-824-8033
현대서점(신림동) 02-877-7561
형제서점(개화산역) 02-663-4385
혜림문고(미아역)
혜성서점(혜화여고) 02-741-0143, 011-253-0143
홍문관(청계천) 02-2265-3356
황룡서점(대청역-대청공원) 02-2226-9414,018-321-0587
흙서점(낙성대) 02-884-8454

by caspi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용갑 2009-12-27 0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문을 닫은 서점 :강전서점/광서당/그린북스/삼우서적<주인께서 몇년전에 운명하심>/사당문고/: '문우당'서점은 명지대 부근에서책방을 했으나 가끔 '문우당'이란 서점이 올라오길래 동일인 인지?/이오서점 <쥔장이 몇년 전에 운명하심>/간판없는 헌책방(성북구청옆)`~다시 '성북구청'부근에서'신광서점'이란 상호로 운영 중/숨어있는 헌책(파주 출판단지 부근에 분점을 냄)장승배기 우리은행 뒷편에 "달마서점"이 생김. 차후 변동사항이 있으면 아려드리겠슴.---영지서점 쥔장~~02-586-1471/핸드폰;011-9948-7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