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슨 고프닉의 책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요람 속의 과학자>와 <아기들은 어떻게 배울까?>는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책입니다. 출판사도 책제목도 달라서 혼란을 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목차를 보면 같은 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아기들은 어떻게 배울까?>를 재밌게 읽었습니다. 앨리슨 고프닉은 아동학습과 인지발달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권위자 입니다. 아이들을 둔 부모나 아이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둘 다 아니지만 아이들에 대해 알 수 있는 아주 좋은 교양과학도서였습니다. 


 <정원사 부모와 목수 부모>는 올바른 양육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책입니다. 조카가 태어나서 이 책을 보게 되었고 누나에게 선물해줬습니다.


 <우리 아이의 머릿속>은 아직 보지 못한 책입니다. 아는 내용이 많을 거 같지만 복습을 위해 읽으면 좋을 거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원사 부모와 목수 부모 - 양육에서 벗어나 세상을 탐색할 기회를 주는 부모 되기
앨리슨 고프닉 지음, 송길연.이지연 옮김 / 시그마북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전에 읽은 책이라 책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습니다. 그래도 몇 가지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써보려 합니다.


 이 책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쓰인 책입니다. 자녀를 둔 부모가 읽으면 좋은 책입니다.


 아이들이 어떻게 배우고 성장하는지를 알려줍니다. 부모가 해야할 역할에 대해 알려줍니다.


 우리는 아이들을 우리가 원하는 대로 양육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우리가 원하는 대로 절대 크지 않습니다. 부모가 해야할 일은 목수가 아니라 정원사 처럼 행동해야 합니다. 아이가 잘 자랄 수 있게 지켜봐주고 도와줘야 합니다. 아이를 위한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합니다. 


 아래는 출반사 제공 책소개 내용입니다. 좋은 내용이고 이 책의 핵심이라 소개합니다. 


 세상에는 두 가지 부류의 부모가 있습니다. 목수형 부모와 정원사형 부모입니다. 목수형 부모는 목표에 맞게 계획한 대로 목재를 깎는 목수처럼, 목표지향적인 양육 모델을 갖고 아이를 키웁니다. 반면 정원사형 부모는 다양한 식물이 각각 특성에 맞게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정원사처럼, 아이들이 각자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목수형 부모는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성공'과 '결과'에 중점을 둡니다. 반면, 정원사형 부모는 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랑'을 베풀고 그 성장 과정 자체에 중점을 둡니다.


 정원사형 부모의 보살핌 아래,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며 성장한 아이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세상에서 더 큰 적응력을 갖게 됩니다. 여러분은 목수 부모가 되시겠습니까, 정원사 부모가 되시겠습니까?


 아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이가 자라는 동네라고 합니다. 맹모삼천지교는 진리입니다. 



 아래는 책에서 좋았던 구절들입니다. 


 종합하면, 이 모든 실험은 아주 어린 아이들도 실용적이고 유용한 측면에 더해, 다른 사람들 행동의 보다 상징적이고 의식적인 측면들을 알고 있음을 시사한다. -p148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모방을 합니다. 단순한 모방이 아니고 굉장히 실용적이고 유용하게 모방합니다. 예를 들면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서 모방의 정도도 달라집니다. 



 내 행동을 모방하지 말고 내 말을 따르라는 오래된 명령은 어린아이들에게 먹히지 않을 것이다. -p151 


 그래서 부모는 아이들의 모범이 되어야 하고 솔선수범해야 합니다. 절대 말로는 아이들을 가르칠 수 없습니다. 

 


 앨리슨 고프닉이 쓴 다른 책 <요람 속의 과학자>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 - 당신의 모든 선택에서 진짜 원하는 것을 얻는 법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지음, 안진이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치(이름 어렵다, 이하 세스)의 전작 <모두 거짓말을 한다>를 재밌게 읽었다. 이 작가 책은 무조건 봐야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책을 알게 되었다. 바로 도서관에서 빌려보았다.


 대만족이었다. 빅데이터를 근거로 인생의 주요한 결정을 내릴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지침, 조언을 주는 책이다. 일부는 직관에 반하기도 하고 일부는 직관에 반하는 것에 반하기도 한다. 직관에 반하는 것에 반한다는 말의 뜻은 이렇다. 직관에 반하는 사례나 주장들은 우리에게 솔깃하다. 대학을 중퇴하고 19세에서 21세에 창업한 스티브 잡스, 빌게이츠, 마크 저커버그의 사례는 직관에 반하는 사례이다. 성공하려면 역시 어린 나이에 빨리 창업을 해야할까 싶다. 하지만 빅데이터는 다시 직관에 반하는 것에 반한다. 미국 창업자의 평균 연령은 41.9세이며 나이가 높을 수록 성공할 확률은 60세까지 높아진다. 당신이 스티브 잡스, 빌게이츠, 마크 저커버그가 아니라면 해당 분야에서 오래 경험과 인맥을 쌓고 창업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다.


 연애, 결혼부터 아이를 잘 키우는 비결, 스포츠에서 재능의 중요성, 부자들에 대한 데이터, 성공에 대한 조언, 행운에 대한 조언, 외모, 행복, 불행에 대한 조언들도 좋다. 


 육아는 모든 부모에게 어려운 일일 것이다. 자신의 행동 하나하나가 아이에게 나쁜 영향을 끼칠까 노심초사할 것이다. 하지만 빅데이터는 쌍둥이 연구를 통해 부모의 역할이 그렇게 크지 않다고 말해준다.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아이를 키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빅데이터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사는 동네라고 말한다. 어쩌면 인과관계가 아닌 상관관계일 수도 있지만 맹모삼천지교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이가 관계를 맺고 롤모델로 삼을 수 있는 어른들이 많은 환경이 중요하다. 


 꼭 읽어보길 추천드리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전 블랙모어의 <밈>이다.


 

  인지과학적 연구에서는 모방에 방대한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 그런 처리를 위한 전문적 메커니즘이 인간에게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져야 한다. 뇌 스캔에서는 모방에 막대한 에너지가 추가로 쓰인다는 것, 그런 뇌 활동이 진화적으로 뒤늦게 형성된 영역들에 몰려서 발생한다는 것이 밝혀져야 한다. 사람과 다른 종을 구분하는 특징적 영역들에서 말이다. 모방의 기초 작업을 담당하는 뉴런, 가령 남의 표정이나 행동에 대한 관찰을 자신의 표정이나 행동으로 연결 짓는 일을 담당하는 특수한 뉴런이 발견된다고 해도 나는 놀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우선 모방의 작동 방식을 더 잘 이해해야만 어떤 것을 찾아보아야 할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p167


 빨간색 강조는 내가 했다. 저 문구는 거울 뉴런이 발견되기 전에 쓰인 문구다. 그녀의 선견지명에 이 글을 쓰면서 전율이 느껴졌다. 


  

 유전자와 비슷한 복제자 밈에 대한 책이다. 약간 억지스럽다고 느껴지지만 흥미로운 부분도 있어서 끝까지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의 기원 드디어 다윈 1
찰스 로버트 다윈 지음, 장대익 옮김, 최재천 감수,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드디어 <종의 기원>을 읽었다. 나는 과학과 진화론을 좋아한다. 다윈과 진화론에 관련된 책들을 꽤 읽었다. 리처드 도킨스로 진화론을 접해서 스티븐 제이 굴드의 우아한 글들까지 만나게 됐다. 그래봐야 일반인 수준에서 좋아하고 많이 읽은 정도이다. 


 다윈의 <종의 기원> 원본을 읽고 싶었다. 책을 사놓았지만 좀처럼 손이 가지 않았다. 동서문화동판 본을 샀었는데 표지가 너무 고전틱해서 그런가 손이 더 안 갔다. 그렇게 몇 년을 읽어야지 생각만했다. 


 올 해가 가기 전에 꼭 <종의 기원>을 읽기로 결심했다. 이렇게 미루다 보면 언제 읽을지 기약이 없었다. 독서모임에 이 책을 선정하고 읽기 시작했다. 최근에 나오고 표지도 이쁘고 번역도 더 좋다는 사이언스북스 판을 구입해서 읽었다.


 쉽지 않았다. 읽히 알고는 있었지만 올해 독서 중 가장 힘겨운 독서가 아니었나 싶다. 배경지식이 있어서 망정이지 아니었으면 무슨 이야기인지 이해 못하고 훨씬 헤맸을 거 같다. 사례들이 많다. 전문용어가 많다. 이 책이 진정 일반인을 대상으로 쓰인 책이 맞는 건지 의심스러웠다. 아무튼 어려웠다. 그래도 오아시스처럼 좋은 부분, 다윈의 통찰이 엿보이는 부분들이 있었다. 그런 부분에서는 감탄을 하면서 봤다. 다윈 천재. 역시 님 최고.


 다윈은 자신의 이론을 20년간 스스로 검증했다. 자신의 이론의 객관성을 위해 반론들에 대해 고심하고 그에 대한 답변들을 준비했다. 대단하다. 그의 객관성의 100분의 1, 1000분의 1이라도 닮고 싶다. 


 최근에 나온 좋은 진화론 책들이 많다. 추천드리고 싶은 책들이 많다. 하지만 아마 진화론 책들을 계속 읽다보면 어쩔 수 없이 근본에 대한 갈망이 생길 것이다. 모든 것의 시작을 가능하게 한 한 인물에 대해, 그 인물이 쓴 책에 대해 궁금할 것이다. 그 때는 부디 이 책을 꼭 만나보시길. 올 해 가장 뿌듯한 독서였다. 그만큼 힘들었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