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사랑 - 언젠가 너로 인해 울게 될 것을 알지만
정현주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 참 어렵다.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이 있듯이 사람의 마음의 어려움과 사람 사이의 관계의 어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사랑이란 참으로 어렵고 난해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60억명이 있으면 60억명의 사랑법이 있고, 한 사람에게도 각기 다른 사랑이 존재한다. 그래서 사랑이란 참 일반화 하기도 어렵고 책에 나오는 사랑에 관한 조언들이 때로는 수긍이 가지만 때로는 부족하게 느껴진다.

 

 사랑에 관한 책들을 읽으며 사랑에 대한 답을 찾아보지만 여전히 뿌연 안개 속을 헤메이는 느낌이다. 책들을 읽기보다 스스로의 마음을 다시 들여다 보는 게 더 좋지 않을까 한다. 하지만 스스로의 마음을 더 잘 들여다 볼려면 결국 책을 '거울' 삼아 보는게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큰 기대는 안했는데 제법 괜찮은 책이었다. 저자의 따뜻하고 위로가 되는 문체가 마음을 편안하게 해줬다. 그리고 책, 영화, 음악을 인용해줘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월의 어느 맑은 아침에 100퍼센트의 여자를 만나는 것에 대하여 -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라카미 하루키책에 별3개라니 오해가 있을 지 모르겠지만, 이 별점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들 중에 별3개라는 뜻이다. 더 정확히 하자면 별 3.5개 정도가 되겠다.

 

 단편소설 모음집인데, 괜찮은 단편 소설도 있었지만 너무 짧아서 감질 맛나는 아쉬운 소설들도 꽤 있었다.

 

 최근에 본 무라카미 하루키의 책들 중에서 가장 기대치에 못미쳐서 별점 3.5개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 고전 콘서트 고전 콘서트 시리즈 1
강신주 외 지음 / 꿈결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이 요즘 정말 끌린다. 특히 이런 책을 볼 때나 보고 난 후엔 더욱 더 끌린다.

 

 책 제목은 십대를 위한 책이라고 되어있지만 고전과 인문학과 철학에 흥미가 있는 사람이라면 나이 상관없이 누구에게라도 권하고 싶은 책이다. 이렇게 고전에 대해 쉽게 설명해주고 강의해 주는 사람이 있으면 정말 편하게 고전을 접하고 읽을 수 있을텐데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혹자(이지성작가님)는 해석과 해설을 보지 말고 직접 고전에 부딫쳐보라고 권하지만 내 생각에는 역시 저자에 대해 알고, 저자가 살았던 시대에 대해서 알고, 사상의 전후관계를 알고, 쉽게 이야기해서 배경지식이 어느정도 있어야지 않는 가 싶다. 이 책은 그런 배경지식을 기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책이다.

 

 여기 소개되어 있는 고전들 모두 읽어보고 싶다. 고전은 아직 겁이 난다. 어렵고 읽기 힘들다. 쉽고 재미있고 유용한 책들에 손이 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고전의 독파없이는 머리 속의 구조를 바꾸고 생각의 크기를 키울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 책으로 고전에 대해 조금 친숙해졌고 이 책에 소개된 책들은 어렴풋이 나마 배경지식을 가지게 되었으니까 "이 책에 소개된 고전들은 읽기에 어렵지 않지 않을까?" 하고 희망적인 생각을 가져본다.

 

 "고전을 읽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총 균 쇠 (양장)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퓰리처 상을 받은 훌륭한 책이다. 너무 두꺼운 책이다. 서론과 에필로그, 그리고 앞 부분만 읽어도 전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이렇게 읽는 것을 추천한다.

 

 나의 궁금증을 하나 해결해 주는 정말 좋은 책이었다. 왜 세계 각 국의 문명의 발달에 차이가 났는가? 어째서 미국, 유럽이 부유해지고 문명이 발전해서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에 까지 식민지를 건설하게 되었는가? 문명 발달을 결정짓는 요소는 무엇이었는가? 이러한 궁금증에 대해서 속 시원하고 명쾌하게 답변해준다.

 

 책을 읽고 싶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문명의 발달 차이는 대륙 간의 환경적 요소들의 차이점에서 기인했다.

첫 번째 차이는 가축화. 작물화의 재료인 야생 동식물의 대륙 간 차이다. 식량 생산에 이은 정착사회, 인구 증가, 잉여 식량에 이은 사회적 계층화와 중앙 집권적 정치화, 전문 계층 발생, 전쟁과 그로 인한 과학 발전.

두 번째 차이는 바로 확산과 이동의 속도의 차이. 유라시아의 동서 축과 남북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남북 축의 지리적 장애물과 기후의 차이에 이은 확산 속도의 차이.

세 번째 차이들은 바로 각 대륙 사이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유라시아로부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의 확산이 가장 쉬웠고,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로의 확산은 어려웠다.

네 번째 차이는 각 대륙의 면적 및 전체 인구 규모의 차이.

 

 다시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바로 수렵, 채집사회에서 농업에 의한 정착 사회로의 전환이다. 농업에 필요한 조건은 일단 기후적 조건도 있겠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작물화, 가축화 할 수 있는 야생 동식물이 얼마 풍푸한가 이다. 유라시아 대륙이 아프리카, 아메키라, 오스트레일리아에 비해 풍부한 야생 동식물이 있었기 때문에 농업의 시작과 발달에서 큰 이점이 있었다.

 이 이점에 의해서 인구증가, 중앙집권화, 전쟁으로 인한 무기 발달, 전문직의 발달, 발명가들의 발명 등등 수많은 농업사회의 이점에 의해서 다른 수렵, 채집 사회의 원주민들과 뒤늦게 농업이 시작된 수많은 민족들을 앞지를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유라시아 대륙은 동서를 축으로 하는 대륙이라서, 남북 축으로 하는 아프리카, 아메리카보다 문명의 확산이 유리했으며(동서는 기후가 비슷해서 농작물의 전파가 쉬웠으나 남북으로는 기후가 달라서 농작물의 전파가 어려웠다.) 또한 면적도 넓고 인구도 많았다. 그리고 유라시아에서 아프리카로의 확산이 가장 쉬웠고,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로의 확산은 어려웠다.

 

 세부적인 사항도 충분히 재미있기 때문에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좀머 씨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장 자끄 상뻬 그림 / 열린책들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름은 많이 들어봤었지만 이제서야 읽게 되었다. 매력적인 작가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어렵다. 이해가 안되는 점들이 많다. 주제와 작가의 의도 모두 잘 모르겠다. 이 작가의 책을 다 읽어보고 다시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일단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을 이야기 해 보자면, '작가가 이 책을 쓴 의도는 무엇인가?' 이다.

 일단은 "제발 나를 좀 내버려둬요." 라고 말하는 좀머 씨는 작가 자신인 것 같다. 작가도 상이나 인터뷰 사진 등을 모두 거부하며 은둔자 생활을 하고 있다. 자신에 대한 정보를 누설하는 친구나 가족과도 절연을 할 정도라고 한다. 그렇다면... 좀머 씨는 왜 그토록 불행했던 걸까? 그리고 왜 끊임없이 걷지 않으면 안됐던 걸까? 그리고 또 왜 거침없이 죽음을 향해 돌진했어야 했는가?

 

 여기서 부터는 모두 나의 추측이며 가설일 뿐이다. 좀머씨처럼 작가 또한 세상에게 제발 나를 좀 내버려두라고 소리치고 싶었던 것 같다. 세상을 피해서 은둔자 생활을 하지만 끊임없이 책을 읽고 책을 쓰는 작품활동을 한다. 이것은 좀머 씨가 사람들과의 소통은 일체하지 않지만 끊임없이 걷는 행위를 하는 것과 일치하는 것 같다. 그런데 여기서 드는 하나의 의문점은 "왜 좀머 씨는 행복해 하지 않는가?" 이다. 걷는 것도 좋아서 하는 행위가 아닌 것 같다. 어쩔 수 없어서 하는 행위 같다. 사람들을 추측을 한다. 폐쇄공포증이라서 전쟁 후 휴우증이라고, 그렇다면 작가의 작품활동 또한 어쩔 수 없어서 하는 행위가 아닐까? 글을 쓰는 게 좋고 행복해서가 아니라 무언가 글을 쓰지 않으면 안되는 내적인 이유가 있는 게 아닐까? 무라카미 하루키는 달리기를 통해서 자기자신에 대해서 작품활동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소설을 쓰는 것은 육체적 노동" 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처럼 파트리크 쥐스킨트라는 작가도 좀머 씨가 끊임없이 걷는 것처럼 끊임없이 글을 쓰고 있는 게 아닐까? 글을 쓰는 게 좋고 행복해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는 내적 이유 때문에 글을 토해내고 있는게 아닐까? 대부분은 작가들을 이야기 한다. 글을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어서 글을 쓰게 되었다고.

 작가가 끊임없이 글을 쓰는 이유는 모른다. 전쟁 휴우증 일 수도 있고 아무튼 글을 쓰지 않고는 못 배기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글을 쓰고 있는 게 아닐까 하고 추측해 본다.

 그렇다면 마지막에 좀머 씨는 왜 거침없이 죽음을 향해서 걸어갔던 걸까?" 어떤 상징적인 메시지가 있을까? 좀머 씨는 죽음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다. 너무도 담담하게 당당하게 죽음을 향해 걸어들어 갔다. 작가도 삶과 죽음에 대해 초탈한 게 아닐까? 죽을 때 까지 끊임없이 글을 쓰겠다는 의지의 표명이 아닌가 싶다.

 

 두서없고 근거없는 추측 글이다. 부끄럽다. 하지만 이 글을 읽고 누군가 알려줬으면 줬겠다.

작가의 의도와 이 책의 주제를...

 

  좀머 씨는 이 책의 주인공이 관찰하는 대상일 뿐인데 온통 좀머 씨 생각밖에 안나고 책 제목도 좀머 씨 이야기다. 임팩트가 정말 강한 캐릭터인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