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제이 굴드의 <풀하우스>는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의 자매편이라고 합니다.
<경이로운 생명>은 진화에서 일어난 모든 사건의 예측 불가능성과 우연성을 주장하며, 따라서 호모 사피엔스의 출현은 예정된 결과가 아니라 다시는 반복될 수 없는 특별한 사건으로 봐야 함을 강조한다. <풀하우스>는 진보가 생명의 역사를 규정한다든지, 진화에 보편적 경향이 있다든지 하는 견해를 부정하는 일반 이론을 제시한다. -p14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너무 보고 싶은데 중고책 가격이 45000원 이네요ㅠㅠ
내가 올바른 분석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통계학 교육과 자연사에 대한 지식 덕분이었다. 나는 변이를 자연의 기본 속성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 평균이라는 것은 조심해야 하며 그것이 개체에는 적용될 수 없는 추상적인 숫자일 뿐 아니라 대체로 각 개체의 상황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다시 말해 이 책의 주제, 즉 평균이나 중심 경향성과 같은 추상적인 값이 아니라 <풀하우스> 또는 <전체 시스템의 변이>에 초점을 맞출 필요성은 내가 가장 큰 위안을 필요로 할 때 상당한 위로가 되어 주었다. -p75
스티븐 제이 굴드는 암진단을 받습니다. 그 암은 불치병이며 진단 후 중간값 생존율이 8개월 이하였습니다. 진단받은 사람의 절반은 8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한다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중간값, 평균값은 개체의 상황과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예를 들어 8개월을 넘기지 못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8-90대의 노인일 수도 있습니다. 젊어서 진단 받은 사람들은 몇십년을 살 수도 있습니다. 중간값은 추상적인 숫자일 뿐입니다.
실제로 스티븐 제이 굴드는 마흔 살에 진단 받아서 20년 후에 사망했습니다.
나는 고생물학회의 모토를 사랑한다. 프랑고 우트 파테파치움(발견을 위한 파괴). 이것은 수사적인 의미와 실제적 의미를 다 갖고 있는 모토다. 고생물학자들의 주요 연장이 망치이기 때문이다. -p297
멋진 모토와 멋진 글입니다.
정해진 중력의 법칙을 따라 이 행성이 끝없이 회전하는 동안, 아주 단순한 시작으로부터 너무나 아름답고 너무나 경이로운 무한한 생물종들이 진화해 왔고, 진화하고 있고, 진화해 갈 것이다.
그는 이 마지막 구절을 최고의 요약으로 시작했다.
이러한 생명관에는 장엄함이 깃들어 있다. -p323
스티븐 제이 굴드는 이 책의 마지막을 <종의 기원>의 마지막 문장으로 마무리합니다. 언제봐도 멋진 구절입니다.
스티븐 제이 굴드에 대한 글을 쓰니 그의 책이 읽고 싶어 견딜 수가 없네요. 그의 책을 중고로 2권 구입했습니다.
그의 글에는 기품이 깃들여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