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짧고 굵게 큰 임팩트를 남긴 전설적인 투자자 피터 린치의 책이다. 반드시 읽어야할 투자 고전
어떤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올라가는 주식을 팔고
내려가는 주식을 갖고 있곤 하지만, 이는
꽃을 뽑아내고 잡초에 물을 주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
"주가가 25% 떨어지면 주식을 사야한다" 라는 확신이 없다면,
그리고 "25% 떨어지면 팔아야 한다" 라는 치명적인 생각을
영원히 몰아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주식에서 결코 이렇다할 이익을 얻지 못할 것이다. -p344
가장 뼈때리는 조언이 아닐까 싶다.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피터 린치의 위 조언과 반대로 행동한다. 주식이 오르면 습관적으로 판다. 그리고 손실이 난 주식은 팔지 못하고 물려서 강제적으로 장기투자를 하게 된다. 내 과거의 모습이기도 하다.
"꽃을 뽑아내고 잡초에 물을 주는 것이나 다를 바 없다." 라는 표현은 워런 버핏이 이 문구를 좋아해서 피터 린치에게 인용해도 되겠냐고 전화를 걸었다고 한다. 당연히 피터 린치는 흔쾌히 응했다.
주가가 25% 떨어졌을 때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손절을 한다. 이렇게 손절매 구간을 정해놓고 투자하다 보면 결국 손해만 보기 일쑤다. 25% 떨어졌다 반등해서 쭉쭉 오를 수도 있는 주식인데도 그런 생각을 하지 못한다. 가치투자를 하지 않고 그저 등락에 따라 매매하기 때문이다.
정말 훌륭한 주식이 25% 떨어졌다면 어떨까? 오히려 감사해하며 추가매수에 나서야 한다. 만약 이런 확신이 없다면 그 주식은 애초에 매수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좋은 거래가 이루어지기 쉬운 두 차례의 특정 시기가 있다.
그 첫번째는 연말로서 투자손실을 일부나마 세금공제로 보상받으려는 기간이다. 가장 큰 폭의 하락이 10월과 12월 사이에 일어난다는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중략)
두번째는 주식시장에서 몇 년에 한번씩 보게 되는 주가대폭락 현상 발생시기다. 만약 당신이 내심 '팔자' 분위기가 우세한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주식을 살 용기를 낸다면, 예전에 결코 생각치 못했던 좋은 기회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p358
나는 항상 대폭락을 기다린다.
결과적으로, 당신이 애당초 어떤 주식을 산 이유를 알고 있다면, 당신은 그것과 결별할 때가 언제인지 저절로 알게 된다. -p368
대형우량 종목을 팔 시기
-지난 2년간 시판된 신제품들은 엇갈리는 결과를 보여왔으며, 시험단계에 있는 다른 제품들을 시장에 내놓으려면 아직도 1년은 더 있어야 한다.
경기변동형종목의 팔 시기
한 가지 명백한 매도신호는 재고가 축적되고 있으며 업체가 그것들을 처분하지 못하고 있을 때이다. 그 사실은 상품가격 인하 및 수익성 하락을 뜻하기 때문이다. (중략)
상품가격의 하락은 또 다른 전조이다. 보통 유가 및 1차 금속 등의 가격은 수익상의 문제가 나타나기 여러 달 전에 하락세로 돌아선다. 다른 유익한 신호는 상품의 선물가격이 현물, 즉 현장인도 가격보다 낮을 때이다. -p371
반성하게 되는 문구다.
10달러까지 회복되면 팔겠다
이런 유혹에 빠질 때마다, 나는 그 주식의 보유량을 늘릴 만큼 그 업체에 대해 자신이 없으면 즉시로 팔아야 한다는 원칙을 스스로 다짐하고 한다. -p391
본전만 회복되면 팔겠다. 얼마까지 오면 손절하겠다. 주식하면서 이런 유혹에 안 빠져보신 분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 주식의 보유량을 늘릴 만큼 자신이 없으면 즉시 팔고 다른 주식으로 갈아타는 게 현명하다.
워렌 부페는 주식 선물 및 옵션 거래를 불법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나도 그 의견에 동의한다. -p405
피터 린치는 주식 선물 및 옵션 거래에 대해 비판한다. 통계에 따르면 아마추어 투자자들의 80-95%가 손해를 본다고 한다. 선물 및 옵션 거래는 절대 생각도 하지 말아야겠다.
오늘 이 책 독서모임이 있다. 그래서 재독을 하게 되었다. 피터 린치의 다른 책도 이어서 읽어야겠다. 읽어야할 투자책이 수두룩하다. 최대한 많이 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