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의 식탁 - 논쟁으로 맛보는 현대 진화론의 진수 다윈 삼부작 2
장대익 지음 / 바다출판사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화학자 장대익교수가 쓴 진화생물학계의 논쟁들을 다룬 책이다. 픽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킨스 팀과 굴드 팀이 나뉘어서 가상의 논쟁을 벌인다. 다 읽고 나니 각 인물들의 주장을 잘 정리한 부분이 새삼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과학은 빠르게 변화하고 발전한다. 이 책은 거의 10년 전에 쓰인 책이다. 최근의 진화생물학계의 화두와 과거 논쟁들이 어떻게 전개되었을지 궁금하다. 


 나는 학창시절에 생물학을 가장 싫어했다. 단순 암기해야할 것들이 많아서였다. 아이러니하게 전공도 생물학과 가장 관련이 많고 현재 가장 좋아하는 과학 분야는 단연 생물학이다. 그중에서도 진화론이 가장 재밌다. 진화론은 아마 과학분야 중에 일반인이 가장 이해하기 쉬운 그리고 가장 흥미를 느낄만한 분야가 아닌가 싶다. 생물과 인간에 대한 흥미는 어느 정도 보편적이리라 생각한다. 


 최근에 <종의 기원>을 읽고 다시금 진화론에 대한 흥미가 불 붙었다. 동시에 읽은 장대익 교수의 <다윈의 식탁>과 <다윈의 서재>가 그 불을 더 활활 지폈다.


 장대익 교수가 쓴 <다윈의 정원>도 마저 읽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화학자 장대익 교수의 책이다. 진화론 내의 논쟁을 다룬 책이다. 


 

 














 

 데이비드 윌슨, 엘리엇 소버의 <타인에게로>는 이타 행동의 진화와 심리학에 대한 책이다. 이타주의를 과학적으로 풀어 낸 최고의 책이라 한다. <이타적 유전자>를 재밌게 읽었는데 이 책도 읽어보고 싶다. 자연선택이 유전자 수준에서 작용한다는 이기적유전자론에 대한 반론인 집단선택론이 담겨 있다고 한다.


 


 













 생물철학자 킴 스티렐리가 쓴 <유전자와 생명의 역사>는 리처드 도킨스와 스티븐 제이 굴드의 진화생물학계에서 벌어진 논쟁을 다룬다. 장대익 교수가 <다윈의 식탁>을 기획하는 데 큰 영감을 줬다고 한다. 일반 독자들에게는 어렵다고 한다. 그래도 한 번 읽어보고 싶다.



 에드워드 윌슨도 집단 선택론으로 다시 회귀했다. 그가 쓴 <지구의 정복자> 읽어보고 싶다.  



  


 












 <다윈의 식탁> 앞부분에서는 피상적이라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뒤로 갈수록 좋았다. 읽어볼만한 교양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의 기원 드디어 다윈 1
찰스 로버트 다윈 지음, 장대익 옮김, 최재천 감수,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드디어 <종의 기원>을 읽었다. 나는 과학과 진화론을 좋아한다. 다윈과 진화론에 관련된 책들을 꽤 읽었다. 리처드 도킨스로 진화론을 접해서 스티븐 제이 굴드의 우아한 글들까지 만나게 됐다. 그래봐야 일반인 수준에서 좋아하고 많이 읽은 정도이다. 


 다윈의 <종의 기원> 원본을 읽고 싶었다. 책을 사놓았지만 좀처럼 손이 가지 않았다. 동서문화동판 본을 샀었는데 표지가 너무 고전틱해서 그런가 손이 더 안 갔다. 그렇게 몇 년을 읽어야지 생각만했다. 


 올 해가 가기 전에 꼭 <종의 기원>을 읽기로 결심했다. 이렇게 미루다 보면 언제 읽을지 기약이 없었다. 독서모임에 이 책을 선정하고 읽기 시작했다. 최근에 나오고 표지도 이쁘고 번역도 더 좋다는 사이언스북스 판을 구입해서 읽었다.


 쉽지 않았다. 읽히 알고는 있었지만 올해 독서 중 가장 힘겨운 독서가 아니었나 싶다. 배경지식이 있어서 망정이지 아니었으면 무슨 이야기인지 이해 못하고 훨씬 헤맸을 거 같다. 사례들이 많다. 전문용어가 많다. 이 책이 진정 일반인을 대상으로 쓰인 책이 맞는 건지 의심스러웠다. 아무튼 어려웠다. 그래도 오아시스처럼 좋은 부분, 다윈의 통찰이 엿보이는 부분들이 있었다. 그런 부분에서는 감탄을 하면서 봤다. 다윈 천재. 역시 님 최고.


 다윈은 자신의 이론을 20년간 스스로 검증했다. 자신의 이론의 객관성을 위해 반론들에 대해 고심하고 그에 대한 답변들을 준비했다. 대단하다. 그의 객관성의 100분의 1, 1000분의 1이라도 닮고 싶다. 


 최근에 나온 좋은 진화론 책들이 많다. 추천드리고 싶은 책들이 많다. 하지만 아마 진화론 책들을 계속 읽다보면 어쩔 수 없이 근본에 대한 갈망이 생길 것이다. 모든 것의 시작을 가능하게 한 한 인물에 대해, 그 인물이 쓴 책에 대해 궁금할 것이다. 그 때는 부디 이 책을 꼭 만나보시길. 올 해 가장 뿌듯한 독서였다. 그만큼 힘들었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날개 달린 고양이들 봄나무 문학선
어슐러 K. 르귄 지음, S.D. 쉰들러 그림, 김정아 옮김 / 봄나무 / 2020년 10월
평점 :
절판



 사회학자 기시 마사히코의 <단편적인 사회학>이란 책을 재밌게 봤다. 사람 냄새나는 책이었다.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인상깊었다. 


 그 책에 소개된 데즈카 오사무의 <불새>와 <날개 달린 고양이들>을 봤다.


 <날개 달린 고양이들>은 판타지의 여왕 어슐러 K. 르 귄의 동화책이다. 날개 달린 고양이들의 이야기다. 이 책은 기시 마사히코에게 소중한 이야기라 한다. 내게는 크게 와닿지 않았지만 기시 마사히코에겐 확실히 닿았나 보다. 어쩌면 그는 이 책을 어렸을 때 읽었을지도 모르겠다.


 초등학생들이 보면 좋을 동화이다. 귀여운 고양이들의 그림과 이야기들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새 박스 10~16 세트 2 (불새10~16 + 소녀편) 데츠카 오사무 걸작선
데즈카 오사무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권 리뷰를 한 번에 쓸까 하다가 세트 1이 세트 2보다 좋아서 별점을 다르게 주고 싶어서 리뷰를 따로 쓰게 되었다. 따로 세트 2에 대해서 할 말이 없다.


 <불새>는 옴니버스 구성의 작품이다. 과거, 미래 이야기가 지구, 우주를 배경으로 펼쳐진다. 현대에 해당하는 이야기는 없었던 거 같다. 


 작가는 일본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다. <우주소년 아톰>, <블랙 잭> 등으로 유명한 분이다. 만화를 주문해야 하나 손가락이 근질거린다. <우주소년 아톰은 23권>이나 된다. <블랙 잭>도 22권이나 된다. 뭐 만화라 읽는 데 크게 부담되는 건 아니니. <불새>도 17권인데 틈틈이 한 권, 한 권 읽다보니 어느새 다 읽었다. 


 그래도 요즘 읽고 싶은 책들이 한 가득이니 조금 참았다가 심심해질 때 구매해서 봐야겠다.


 데즈카 오사무의 작품도 전작을 보고 싶다. 그의 에세이도 재밌었는데 다른 책도 더 구해서 보고 싶다. <불새>를 계기로 데즈카 오사무는 확실히 나의 신뢰를 얻었다. 



 p.s 데즈카 오사무의 에세이 <아톰의 슬픔>은 중고책이니 미리 좋은 가격에 주문하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