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여자의 해방을 성의 해방의 문제로 제기한다.
미래에 인간 해방의 핵심을 구성할 것으로서 성 해방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것은 성기 중심적인 성의 해방=프리섹스와 같은 것이 결코 아니다. 작금의 프리섹스란 남자가 갖고 있는 여자에 대한 차별 의식이 그 뿌리에 있는것으로 자기 눈앞의 성욕만 해결한다면 나중 일이야 내 알 바 아니지 하는 식의 추잡한 표현에 불과하다.
현재 여자에게 성의 해방이 무엇인지 보면, 성을 부정하는 의식 구조에서 자기 해방으로 권력 투쟁을 벌이고, 남자와 만나며 실천적으로 획득하는것이 성의 해방이다. - P306

그래서 전체와 부분의 긴장 관계를 기존 좌파의 개념만으로는 파악할수 없는 것이다. ‘여자라는 것‘에서 비롯된 모순을 회피하지 않고, 즉 스스로의 성과 생식을 따지고 밝히는 가운데, 어떻게 남자와 만날지, 어떻게 권력투쟁을 할지 그 길이 나온다는 것이다. 우리의 투쟁은 마르크스 용어로 만든 식으로 혁명을 하는 ‘세상 어디에도 없을 여자로부터 출발하는 게 아니다. 이성과 모순하는 것을 가득 떠안은 여자인 ‘지금 여기 있는 나‘로부터 출발해 그 모순을 드러내며 남자와 권력을 향해 ‘여자의 원한과 설움‘을 내동댕이치며 반격하는 가운데 자기 자신의 해방 논리, 여자가 여자로 해방하기 위한 논리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여자가 살아간다는 것은 무엇인가? 대체 나는 어떠한 여자인가? 이렇게 묻고 또 묻는 가운데 우리의 해방 논리는 깊이를 더할 것이다.
‘여자를 껴안는 남자, 남자한테 안기는 여자‘와 같은 구도가 아니라 ‘여자를 껴안는 남자, 남자를 안는 여자, 즉 안느냐 안기느냐가 아니라 서로 껴안는 ‘껴안다껴안다‘ 관계로 여자와 남자가 만나는 길을 향해 갈 것이다. 그 길은 이성과 욕망이 충돌하는 가운데 엉망으로 있는 여자가 엉망인 채로펼쳐 가야 한다! - P3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위일체를 하나의 존재 안에 내포하는 그
무한한 길을 인간의 이성이 가로지를 수 있기를
바라는 자는 미친 것이다.

인간들이여, 있는 그대로에 만족하라!
그대들이 모든 것을 볼 수 있었다면
마리아께서 아이를 낳을 필요도 없었겠지.

만족할 수도 있었을 사람들이
헛되이 바라는 것을 그대들은 보았으니,
그들은 영원히 통곡할 자들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다른 많은 이들을
두고 하는 말이다." 말을 마친 선생님은 고개를 숙이고
침묵에 잠겼다. 마음이 혼란스러워 보였다. - P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 들판을 걷다
클레어 키건 지음, 허진 옮김 / 다산책방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 단편 <작별 선물>이 가장 강렬했다. 예상치 못하게 훅 들어와 사람을 놀래킨다. 마치 별일 아니라는 듯. 그렇게 믿어야 견딜 수 있는 삶. 황량한 아일랜드의 바람과 바다와 들판이 그려지는 듯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에게서 여자들로‘ 향하는 길은 먼저 스스로 자신의 자궁과 만나는 것에서 시작한다. 먼저 나와 만나야 한다. 남자의 문화, 즉 다른 경쟁자들과 경쟁하는 가운데서 자아를 찾을 수밖에 없게끔 하는 그런 문화를 뛰어넘어야 한다. 이것이 가장 첫째 조건이다. 나의 자궁에 깃든자연, 그 생명력과 자신을 하나가 되게 한다는 것은 풀 한 포기와 내 목숨을 걸고서 마주했던 옛 선조들의 그 모습 그대로 한다는 것이다. 내가 품고 있는 모든 것을 걸고 즉 나의 서랍을 모두 다 열어 놓은 채로, 내가 있는 상황이나 자연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이다. 그런 중에 자신을 확실히 찾을 수 있다.
"여성해방운동을 하려면 아픈 사연이 있어야 하죠?" 같은 물음은먼저 스스로의 자궁을 향해 던져야 한다. 그러고 나서 당연히 부정해야 한다. "자식을 죽인 여자들을 두고 우리는 무엇을 볼 수 있을 것인가?" 바로 이 물음에 우리의 가능성이 달려 있다. - P2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렇게 해서 호스티스를 시작해 밤 12시에 집으로 돌아오는 생활을 하게 됐다. 그렇게 일을 마치고 집에 오면 앞서 말한 자칭 ‘혁명가‘ 남자가 동지들과 함께 논의를 하다가 내게 "밥 좀 해 줘." 하면서 참 쉽게도 부탁을 했다. 지금 생각하면 내가 진짜 맹추 같다 싶은데 당시에는 그 남자가 좋아하는 여자가 되고 싶은 마음이 마치 ‘밥을 지어야지‘하고 명령하는 듯했다. 고개를 약간 갸우뚱하면서도 난 밥 짓기를 서둘렀다.
생각해 보면 여자는 신좌익 운동 내부에서 암컷으로 살았다. 등사판 허드렛일부터 시작해서 혁명가를 자처하는 남자들의 활동 자금을 모으려고 아르바이트로 돈을 벌었고, 가사 육아 빨래 등 수면 아래에 있는 거대한 빙산처럼 많은 일들을 했다. 일상을 꾸리기 위해 하는이 무겁고도 부담스런 일들을 암묵의 폭력으로 강요당한 것이다. 폭력은 금세 알 수 있는 물리적인 폭력만이 다가 아니다. "자 이제부터는 트로츠키 Leon Trotsky 식으로 한번 논리 전개를 해 봐." 하거나 "프롤레타리아로서 의식이 낮다"든가 하는 말로 위협하고, 싫은 내색을 보여도 - P145

벽에 걸린 꽃마냥 취급하고서는, 모두가 하찮게 여기는 일만 묵묵히 하게끔 하는 것도 폭력이다. - P1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