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 11장

<밤의 끝으로의 여행> 셀린

6장 셀린 - 희극 배우도, 순교자도 아닌

한 문장의 리듬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 문장 자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니체의 <선악의 피안》에서 - P201

7장 고통 / 공포

친족이건 그렇지 않건간에 인간이란 결국에는 썩은 고깃덩어리에 지나지 않는다.
<밤의 끝으로의 여행> 셀린 - P218

공포와 고통, 그리고 그것들의 아브젝시옹으로의 집중이야말로 셀린의 글쓰기가 지닌 묵시록적인 세계관에 가장 적합한 지적인 것으로 보인다. - P234

8장 모든 영원성을 망쳐 놓는 여성들…

삶을 주는 자이면서 삶을 빼앗는 자, 이렇듯 셀린의 어머니는 또한 아름다움과 죽음이 결합하는 야누스이다. 아름다움과 죽음의 결합이야말로 글쓰기의 조건이다. 왜냐하면 한정된 삶이 자신의 말로 된 레이스의 추가 부분의 발견을 갈망하기 때문이며, 또한 삶자체가 인간의 죽음이라는 삶의 가차없는 종말과 승화 작용의 덧없음을 표시하는 검은 힘이기 때문이다. - P244

이같은 아버지 살해 이야기는 페르디낭이 천장을 바라보며 몽상하던 지극히 개인적인 꿈속에서 찾아내려 하는 이야기가 아닐까.

음유 시인 티보의 모습이 보인다………… 그는 언제나 돈이 필요했던것이다……… 그는 아버지 조아드를 죽일 것이다………… 어쨌든 이 세상에서 아버지 하나가 줄어드는 셈이 되니까……… 천장에서 기마 시합이 벌어지는 것이 보인다……… 창을 들고 싸우는 기사의 모습이 보인다…………

이 광란의 열쇠가 아버지 살해 라면 아버지 살해는 단지 죄책감만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제동이 걸리지 않는 어떠한 영향력이나 통제로부터도 자유로운 여성 앞에서의 무시무시한 공포와연결된다. 셀린에게서 나타난 아브젝시옹의 원천 중의 하나는 이같은 아버지의 몰락이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괴물 같은 아들은, 셀린의 눈에는 유일한 진실로 보이는 무한성이 고갈된 세상에 대해 아버지의 권력을 빼앗기에 충분한 만큼의 권력을 가장하고 나타난다. 아들이자 작가는 오귀스트가 질병에까지 이르는 비명·악몽 · 기진맥진·착란, 머리 주변의 찬 수건의 상태로 이해되도록 한다. 그리고 독자는 이같은 지옥이 페르디낭에게도 공통적이라는 사실을 설명하지 않아도 알고 있다. 한편 처음부터 아버지의 모습은 어린아이와 우스꽝스런 남자다움이 혼합되어 그려진다. - P259

9장 유대인이 되든가, 죽든가

이같은 논리적 균형을 가로질러 충격을 주는 진실의 말은 밝혀지고야 만다. 그것이 펼쳐지는 장은 사회학적이거나 정치적인 경험의 장과는 다르다. 우리는 그 속에서 이성이 통합하려 하고 일체시키려 하며 전체화시키려 하는 순간부터 환상과 착란으로 변할 뿐인, 무엇도 대신할 수 없는 생생한 기록을 발견하는 것이다. 부정주의처럼 담화를 짓누르는 무정부주의나 허무주의는 이제 전복되어 하나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증오하는 동시에 욕망하는 위협과 공격성, 선망하면서 동시에 혐오하는 대상으로.
그 대상은 바로 유대인이다. 그들을 통해서 비로소 모든 모순들이 풀리고 설명되는, 이를테면 유대인이야말로 모든 사고의 중심지인 것이다. 우리는 셀린의 팜플렛을 구성하는 공통된 두 개의 특징을 밝혀냄으로써 셀린식 담화의 체계 속에서 유대인의 역할을 보다 더 명료하게 관조해 낼 수 있을 것이다. - P270

유대인이란 허섭스레기와 욕망의 대상, 시체와 삶, 대변과 쾌락, 살해의 공격성과 가장 승화된 권력 사이의 합접물인 것이다. "내가 무엇을 아는가?" "유대인이 되든가, 죽든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사실만이 분명해진다……… 이제 본능이 명하는 대로 곁눈질하지 말고 앞으로! 유대인은 지배자로 승격되고 여성이 된다. 양가적이고 자기와 타자, 주체와 객체, 좀더 깊이는 안과 밖 사이의 완고한 한계를 잃어버린경계선, 변질된 지배자로서의 여성 말이다. 공포와 매혹의 대상, 아브젝트 자체인 여성이 되는 것이다. 유대인은 아브젝트하다. 더럽게 오염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이런 그와 동일시하려는 것이다. 그를 욕망하는 이같은 치명적인 형제애는 한계를 잃게 하고, 나를 아브젝시옹으로 축소시켜 대변, 여성, 수동적인 부패한 육신으로 만든다. 그래서 ‘셀린, 이 저열한 자식‘이 되는 것이다. - P2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hingaling

"But what if we have soccer practice?" asked Ruby, in the middle of a plié.
"Ladies, sometimes in life you have to choose," Mrs. Atanabi answered. "You can‘t have soccer practice and be in this dance. It‘s as simple as that. I don‘t want to hear any excuses about homework assignments or tests or anything else. Even one missed rehearsal istoo much! Remember, this is not something you‘re required to dofor school! You don‘t have to be here, girls. You won‘t be getting extra credit. If the appeal of dancing on one of the world‘s most famous stages isn‘t enough for you, then please don‘t try out." She extended her arm all the way and pointed to the exit. "I won‘t take it personally."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 인생을 얼마쯤 살다 보면 완벽한 행복이란 실현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하지만 그것과 정반대되는 측면을 깊이 생각해보는 사람은 드물다. 즉 완벽한 불행도 있을 수 없다는 사실 말이다. 이 양 극단의 실현에 걸림돌이 되는 인생의 순간들은 서로 똑같은 본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은 모든 영원불멸의 것들과 대립하는 우리의 인간적 조건에 기인한다. 미래에 대한 우리의 늘 모자란 인식도 그중 하나다. 그것은 어떤 때에는 희망이라 불리고 어떤 때에는 불확실한 내일이라 불린다. 모든 기쁨과 고통에 한계를 지우는 죽음의 필연성도 그중 하나다. 어쩔 수 없는 물질적 근심들도. 이것들이 지속적인 모든 행복을 오염시키듯, 이것들은 또 우리를 압도하는 불행으로부터 끊임없이 우리의 관심을 돌려놓음으로써 우리의 의식을 파편화하고, 그만큼 삶을 견딜 만한 것으로 만들어준다. - P18

10분도 채 안 돼서 튼튼한 남자들이 한데 모이게 되었다. 다른 남자들, 여자들, 아이들, 노인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우리는 당시에도 그후에도 정확히 알 수가 없었다. 밤은 아주 깔끔하고 간단하게 그들을 삼켜버렸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것도 있다. 그 신속하고 간략한 선택의 과정 속에서 우리 각자가 제3제국에 유용한 일꾼인지 아닌지판단되고 있었던 것이다. 또 그렇게 해서 남자 96명과 여자 29명이 모노비츠(부나)와 비르케나우 수용소로 이송되었다. 다른 사람들, 즉 500명이 훨씬 넘는 사람들 중 이틀 후까지 살아남은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 밖에도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이 또 있다. 이렇듯 건장한 사람과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별하는 보잘것없는 원칙마저도 늘 준수된 것은아니고, 나중에는 새로 도착하는 사람들에게 미리 알리지 않은 채 객차의 문을 둘 다 여는 더 간편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우연히 객차의 이쪽 문으로 내린 사람은 수용소로 들어갔고 다른 쪽 문으로내린 사람은 가스실로 향했다. - P23

이것은 지옥이다. 오늘날, 우리 시대의 지옥이 틀림없이 이럴 것이다.
우리는 크고 텅 빈 방에 지친 채 서 있고 수도꼭지에서는 물이 똑똑 떨어지는데 그 물을 마실 수 없다. 물론 우리는 훨씬 끔찍한 무엇인가를 예상했는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고 계속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있다.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더 이상 생각을 할 수도 없다. 우리는 죽은사람들 같다. 누군가 바닥에 주저앉는다. 시간이 한 방울씩 흐른다. - P27

우리의 삶은 그와 같을 것이다. 매일, 정해진 리듬에 따라 아우스뤼켄Ausrticken(나가다) 아인뤼켄Einricken(들어가다), 나갔다가 들어올 것이다. 일하고 자고 먹고, 아팠다가 낫거나 죽을 것이다.
…… 언제까지? 이런 질문을 하면 고참들은 웃는다.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이 수용소에 갓 들어왔음을 알아차린다. 그들은 웃기만 할 뿐 대답을하지 않는다. 그들에게 미래의 문제는 몇 달 전부터, 몇 년 전부터 빛을잃었다. 눈앞의 급박하고 구체적인 문제 앞에서 먼 미래의 중요성은 모두 사라져버렸다. 눈이 오지 않을까, 부려놔야 할 석탄이 있을까, 오늘은얼마나 먹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들 앞에서. - P49

그의 분명하고도 단호한 말들을,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하사관으로서 1914~1918년 전쟁에서 철십자훈장을 받은 슈타인라우프의 말들을 잊어버려 마음이 아프다. 그의 서툰 이탈리아어와 훌륭한 군인다운 단순어법을 믿음 없는 인간인 나 자신의 언어로 옮겨야 하다니 마음이 아프다. 하지만 나는 그 당시에나 나중에나 그 말의 뜻만큼은 잊지않았다. 그건 바로 이런 뜻이었다. 수용소는 우리를 동물로 격하시키는 거대한 장치이기 때문에,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동물이 되어서는안 된다. 이곳에서도 살아남는 것은 가능하다. - P57

낯선 외국어가 모든 사람들의 정신의 밑바닥으로 돌덩이처럼 떨어진다. ‘기상‘, 따뜻한 담요가 만들어내는 몽환적인 경계, 잠이라는 튼튼하지못한 갑옷, 고통스럽기도 한 밤으로의 탈출, 이 모든 것이 산산조각난다. 우리는 다시 무자비하게 잠에서 깨어나 벌거벗고 연약한 상태에서잔인하게 모욕에 노출된다. 이성적으로는 그 끝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긴, 다른 날과 똑같은 하루가 시작된다. 너무나 춥고 너무나 배고프고 너무나 힘이 들어 그 끝은 우리와 더 멀어진다. 그러므로 회색빛 빵한 덩이에 우리의 관심과 욕망을 집중시키는 것이 더 낫다. 빵은 작지만한 시간 후면 틀림없이 우리 것이 된다. 그것을 집어삼키기 전까지 5분동안 그것은 이곳에서 우리가 합법적으로 소유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변할 수 있다. - P94

부나 한가운데 서 있는, 꼭대기가 거의 항상 안개 속에 가려져 있는 카바이드 탑을 쌓은 건 바로 우리다. 부나의 벽돌들은 mattoni, Ziegel,
briques, tegula, cegli, kamenny, bricks, téglak이라고 불렸다. 그것을 쌓아올린 건 증오였다. 바벨탑처럼 증오와 반목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그 탑을 바벨투름, 보벨투름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그 탑에 담긴, 우리의 주인들이 꿈꾸는 위대함을, 신과 인간, 우리 인간들에 대한 그들의멸시를 증오한다. - P1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장 <성서> 속의 혐오에 대한 기호학
5장 …너, 세상 죄를 지고 가는 자여

4장 <성서> 속의 혐오에 대한 기호학

《성서》에 나타나는 부정(不淨)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흐름으로나누어진다. 첫번째는 로버트슨 스미스(《셈족 종교에 관한 강의》,1889)의 해석으로서, 부정이란 신의 뜻에 위반하는 것이기 때문에《성서》의 부정을 운명적인 의지에 복종하는 유대 유일 신앙에 나타나는 내면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부정은 신성함과는 이질적인 악마적인 힘이라기보다는, 그것이 신의 의지에 복종한다는 관점에서 터부에 대한 일종의 중화 작용(더러움에 대한의식 고유의 것)이다.
바루크 A. 레빈‘에 따른 또 하나의 해석은 부정은 성스러움을 위협하는 악마적인 힘의 지표이다. 그에게 부정함은 성스러움과 독립해서 작용하는 것으로서 악의 정신의 자율적인 힘과 같은 것이다.
우리는 이 대립되는 두 해석을 통해, 사실은 부정에 관련된 《성서》의 사상이 복잡한 역동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코자 한다. - P143

처음부터 《성서》의 텍스트는 인간과 신의 차이가 그 음식물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 P149

혐오의 대상(l‘abominé)이란 결국 성스러움에 대한 맞장구이다. 동시에 성스러움의 고갈, 즉 종말이다. - P169

5장 …너, 세상 죄를 지고 가는 자여

더러움은 내재화 운동을 통해 《성서》 속에 이미 내재하는 상징성이나 도덕률에 관련된 죄의식과 혼동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질적인 가증함과 보다 대상 지향적인 융합으로부터 새로운 하나의범주가 만들어진다. 그것은 죄이다. 삼켜지고 흡수되었다고 말할수 있을 그리스도교의 더러움은 이교주의의 앙갚음이자 모성적 원칙과의 화해이다. 프로이트는 《모세와 유일 신앙》에서 그리스도교란 이교주의와 유대적 유일 신앙 사이의 협약이라고 밝히면서 그같은 사실을 강조한다. 《성서》의 논리는 전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성서》의 기만적인 논리는 밖이 아니라 안에 있다) 그대로 지속된다. 우리는 《성서》의 논리가 지속됨을 차이화의 과정·분리·분할의 작용들 속에서 발견한다. - P179

그리스도만이 이같은 이질성을 성공시켰으므로 죄 없는 육체이다. 신성한 심판에 거역해서 안으로 부정한 자들은 그같은 잘못을 고백하고 예수가 성취한 승화에 가까이 가야 한다. 그리스도교의 존재가 환상으로의 도피임이 틀림없음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범우주적 신앙의 대상이 되는 까닭은, 신도들이 자신의 죄를 고백하기만 하면 각자가 유일신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승천을 갈망해도 된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너희 죄는 용서받았느니라." - P183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4-01-25 08: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늘 아침 출근길에는 성서 부분 읽었어요. 이 책에서 저는 현재까지 성서 부분이 제일 재미있어요. 그렇다고 이해를 하는 건 아니지만 좀 그랬어요.

햇살과함께 2024-01-25 08:51   좋아요 0 | URL
다락방님 성경 읽기도 하셨으니!
저도 그나마 앞 장들보다는 성경 문구는 조금 익숙한 문장들이라..
그러나 정신을 똑바로 차려도 이해가 안되는 마당에 감기약 먹고 몽롱한 상태로 비몽사몽...
자꾸 남은 날과 남은 페이지를 비교하고요 ㅎㅎ

다락방 2024-01-25 11:28   좋아요 1 | URL
저도 오늘 뒤에 얼만큼 남았나 안읽어도 되는 부분은 얼마나 되나 한 번 들춰봤어요. ㅋㅋ 같은 마음 ㅋㅋㅋ
 

Dad cleared his throat. "Chris, please don‘t beat yourself up," he said slowly. "Mom knows you love her so much. Listen, this wasa scary thing that happened today. It‘s natural for you to be upset. When something scary like this happens, it acts like a wake-up call, you know? It makes us reassess what‘s important in life. Our family. - P169

Our friends. The people we love." He was looking at me while hewas talking, but I almost felt like he was talking to himself. His eyeswere very moist. "Let‘s just be grateful she‘s fine, okay, Chris? Andwe‘ll take really good care of her together, okay?"
I nodded. I didn‘t try to say anything, though. I knew it wouldjust come out as more tears.
Dad pulled me close to him, but he didn‘t say anything, either. Maybe for the same reason. - P1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