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udia and the New Girl: A Graphic Novel (the Baby-Sitters Club #9): Volume 9 (Paperback) The Baby-Sitters Club Graphix 9
Ann M. Martin / Graphix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적 재능에 공감해주는 전학생 친구와 Baby-sitting 모임을 오래 함께해온 기존 친구들, 그 사이에서 갈등하는 Claudia. 누구나 살면서 고민하는, 인생에서의 시간 배분 문제와 성향이 다른 친구들 간의 관계 균형의 문제를 잘 보여주는 에피소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와 더불어 아마도 프랑스의 도시들 중에서 어떤 의미있는 사건이 내게 일어날 수 있으리라는 인상을 갖게 된 유일한 도시라고 할 수 있는 낭트는, 넘치는 정열로 불타오르는 시선과 마주칠 수 있는 곳이고(나는 작년에 자동차로 낭트를 가로지르다가 아마도 남자와 동행했을 것 같은 노동자로 보이는 한 여자가 눈을 들었을 때, 이런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그때 멈추어섰어야 했는데), 나에게 있어서 삶의 리듬이 다른 곳과 같지 않은 곳이다. 모든 모험을 능가하는 모험 정신이 아직도 몇몇 사람에게 깃들어 있는 도시 낭트는, 여전히 나를 만나러 와 줄친구들이 있는 곳이다. 낭트는 내가 좋아한 공원, 바로 그 프로세 공원이 있는 도시이다. - P31

* 내 눈 앞에서 그때 일을 이리저리 떠올리다 보면 이렇게 요약한 것들 중에서 어떤 부분은 무엇보다 먼저 실망스럽다. 내가 거기서 정확하게 무엇을 기대할 수 있었던가? 초현실주의는 그 당시 자신의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었고, 세계에 대한 견해로서 자기 자신을 명확히 세우는 단계에 이르기에는아직 멀었다는 것이다. 초현실주의는 자기 앞에 놓인 시간적 여유를 미리판단할 수 없는 채로 암중모색하며 나아갔고, 아마도 자신의 영향력이 시작되는 것을 지나치게 만족하며 누렸던 것 같다. 그림자의 굴대 없이는, 빛의굴대도 없는 법. (1962년 가을, 10월) - P57

"나자에요, 왜냐하면 나자는 러시아어로 ‘희망‘이라는 말의 어원이기 때문이고, 또 단지 어원일 뿐이기 때문이죠." 그녀는 좀 전에 내가 누구인지를(매우 협소한 의미로) 물어볼 생각이었다고 했다. - P68

나는 모든 시들을 읽은 전문가의 눈으로 나자의편지들을 읽곤 했는데, 그 가운데서 특별히 놀라운 부분은 보이지 않았다. 다만 나를 변호하기 위해 몇 마디의 말을 부연하고 싸울 뿐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광기와 광기가 아닌 상태사이의 경계가 없기 때문에 나는 그것들과 관련된 사실로서의지각과 관념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가치를 부여하고 싶지 않다. 조금도 이론의 여지가 없는 진실들보다 훨씬 더 큰 의미와중요성을 갖는 역설들이 있는 법이다. 그러한 역설의 가치를무화시키는 것은 중요성도 잃어버리고 이익도 잃어버리는 일이다. 아무리 그것이 역설이라 하더라도, 어쨌든 내가 내 자신을 향해, 아주 멀리서부터 나 자신을 만나려고 온 사람을 향해 ‘누구인가?‘라는 언제나 비장한 외침을 스스로 던질 수 있 - P147

었던 것은, 바로 그 역설 덕분이다. "누구인가?" "나자, 당신인가?" 내세라는 것, 모든 미래의 세계가 우리의 삶 속에 있는것이 사실인가? 나에게는 당신의 말이 들리지 않는다. 누구인가? 나 혼자뿐인가? 이게 나 자신인가?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젠더와 역사의 정치> 2월 여성주의책 다 읽었으니 뭘 한다? 3월 책을 산다! 2월 책은 어렵지 않고 잘 읽혔는데 3월 책은 분량도 내용도 만만치 않아 보이지만 재밌을 것 같다. 또 한 명의 멋진 지성인을 만날 수 있을 듯.

<빅토리아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요즘 빅토리아 시대 관심 많은 남편의 주문(사진에 없는).

<사람, 장소, 환대> 몇 년 전에 읽었는데 좋은 책이지만 내가 이해하긴 어려운 책이라 다시 읽어보고자 했는데 마침 이 책을 읽으신 분께 선물 받았다.

<제11호 태풍 힌남노> 이종철 만화가의 책이다. <까대기> <제철동 사람들>에 이어 비극적인 태풍 힌남노에 대한 이야기다.

보리 청소년 시리즈 <내 이름은 낫짱, 김하강입니다> 재일 조선인 여성 청소년의 이야기다.


보리 청소년 고전 시리즈 (사씨남정기>와 보리 다시 쓰는 어린이 고전 시리즈 <서동지전>도 읽어보자.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5-02-26 23: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람, 장소, 환대가 딱 눈에 꽂힙니다. 읽겠다고 사놓고 아직도 계속 밀리고 있는.... 언젠가는 읽겠죠. 서재에서 여러분들이 한 책을 자꾸 얘기하면 결국 읽긴 하더라구요. ^^

햇살과함께 2025-02-27 09:04   좋아요 0 | URL
이 책 꼭 읽어보세요. 어렵지만 좋은 책입니다. 그런 책이 백만 권이지만^^

다락방 2025-02-27 08: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오, 3월도 화이팅입니다, 햇살과함께 님!! 빠샤!!

햇살과함께 2025-02-27 09:05   좋아요 0 | URL
홧팅! 내일 지나면 3일 연휴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단발머리 2025-02-27 12: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3일 연휴 반가운 마음 + 다음달책이 기대되는 마음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햇살과함께 2025-02-27 17:45   좋아요 1 | URL
재밌겠죠? 이제 금요일 하루 남았습니다 ㅎㅎㅎ
 
인류의 진화 - 아프리카에서 한반도까지, 우리가 우리가 되어 온 여정
이상희 지음 / 동아시아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시각각 변하는 고인류학. 새로운 발굴이거나 새로운 기술이거나 새로운 해석이거나. 우리는 아직 인류에 대해 모르는 것이 참 많다. 우리에겐 상상력과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 아직 읽지 않은 <총 균 쇠>가 얼마나 다른 이야기를 할 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한강 지음, 최진혁 사진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것은 소설인가 에세이인가. ‘하얀’이 아닌 ‘흰’ 것에 대한 한강 작가 단상을 따라가며 한강 작가의 속도 대로 천천히 읽게 된다. ‘흰’에는 고요한 슬픔이 잔잔히 배어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