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경우, 대배심에 출석한 증인이 증언하기를 거부하면, 판사는 답변할 의무가 증인에게 있는지 판정하여야 한다. 진술거부권이 인정되면, 증인의 증언을 증인에게 불리한 증거가 되지 아니하게 만들 것을 국가가 보장하고서 진술을 강제한다. 그러한 보장을 면제(immunity)라고 한다. 면제의 종류에는 그 증언이 관련을 지니는 증인의 해당 행위 자체를 처벌하지 아니하기로 하는 행위면제가 있고, 그 증언 및 그 증언으로부터 파생되는 증거를 그 증인에게 불리하게 사용하지 아니하기로 하는 사용면제 및 파생적 사용면제가 있다. 미국은 이렇게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을 강제당하지 아니할 헌법상의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진실을 밝힐 법 절차의 능력을 확보하는 제도를 두고 있다. 우리도 이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 P139

저자 송경애 선생은 자신에게 마을주의자라고 이름을 붙이면서 여덟가지의 가치를 제시했다, 삶과 교육의 방향이면서 도시와 문명의 방향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들이다. ‘속력보다 방향‘, ‘이윤보다 생명’, ‘개발보다 보존’, ‘소유보다 공유’, ‘경쟁보다 협력‘, ‘소외 아닌 환대‘, ‘인터넷 서점보다 동네 서점‘, ‘공산품보다 핸드메이드’, 책에는 하나하나의 가치에 얽힌 저자 자신과 이웃들의 사연이 담겨 있다. 마을을 관찰하면서 봤더니 사람들이 이런 가치로 살고 있었다는 것이면서, 문명의 방향이 이렇게 전환하려면 ‘마을‘을 중심으로 판을 다시 짜야 한다는 이야기다. - P234

사람은 구체적 현장과 사건을 만나면서 삶의 필요와 동기를 발견하고, 배움이 일어난다. - P2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킹족은 그들이 사는 세계를 끊임없이 외부 세력의 위협을 받는 섬으로 생각했어. 그들은 그곳을 미드가르드(Midgard)라고 불렀어. 이단어는 ‘한가운데에 놓인 나라‘를 의미하지. 미드가르드에는 신들의 고향인 오스가르드(Åsgard)도 있었어. 미드가르드의 바깥에 우트가르드(Urgard)가 있었고, 이곳에는 항상 비열한 속임수로 세상을 멸망시키려하는 위험한 트롤들이 살고 있었어. 우리는 그런 사악한 트롤들을 ‘혼돈의 힘‘이라 불렀지. 북유럽 종교를 신봉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다른 문화권의 사람도 선한 힘과 악한 힘 사이의 균형이 불안정하다고 느꼈어. - P47

이 시기에 그리스 사람들은 그리스와 식민지였던 이탈리아 남부, 소아시아 등지에 많은 도시국가를 세웠어. 이곳에서는 노예가 모든 육체노동을 도맡았기 때문에 자유 시민이 정치와 문화에 전념할 수 있었어. 이러한 생활 조건 속에서 인간의 사고는 비약적으로 발달할 수 있었지.
바로 각 개인이 독자적으로 ‘어떻게 사회를 조직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게 된 거야. 또 이런 방법으로 각 개인은 꼭 전래한 신화에 의지하지 않고, 철학적 문제를 생각하기 시작했지. - P53

우리의 관심사는 초기 철학자들이 어떤 해답을 발견했느냐가 아니라어떤 문제를 제기했고, 어떤 해답 방식을 추구했는가 하는 점이야. 즉 그들이 정확히 무엇을 생각해냈는지보다는 ‘어떻게’ 생각했는지가 더욱 중요해. - P59

그러니까 자연이 보여주는 모든 변화와 대립에서도 헤라클레이토스는 통일과 전체성을 보았던 거야. 그는 만물의 바탕에 놓여 있는 이 어떤것을 ‘신‘ 또는 ‘로고스‘라고 불렀어. - P65

소피는 근본적으로 철학은 배워서 익힐 수 없지만 철학적으로 ‘사유하는’ 방법은 배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 - P73

데모크리토스는 자연에 다양한 원자가 무한히 존재한다고 생각했어. 어떤 원자는 모양이 둥글고 매끈하며, 또 어떤 원자는 불규칙하고 휘어져 있다는 거였어. 원자는 그렇게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기에 다양한물체들을 구성해낸다는 거야. 중요한 건 이렇게 많고 다양한 원자들은모두 영원하고 변하지 않으며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다는 것이지. - P77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 가운데 데모크리토스는 그의 원자론과 더불어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어. 그는 자연 속의 모든 것이 ‘흐른다‘고 믿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의견에 동의했지. 형상은 계속 생기고 또 소멸하기 때문이야. 하지만 모든 흘러가는 것들 이면에는 흘러가지 않고 영원불변하는 그 무엇이 존재한다고 믿었는데 데모크리토스는 그것을 원자라고 했어. - P80

히포크라테스의 전통적 의술에 따르면, 절제와 건전한 품행이 질병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야. 절제하는 생활과 건전한 품행이 인간을건강하게 한다는 거야. 병이 나는 것은 신체적·정신적 균형이 깨져 자연이 본 궤도에서 벗어났기 때문인 거고, 인간이 건강해지는 길은 바로 절제와 조화 그리고 ‘건강한 신체 속에 깃든 건전한 정신‘에 있다고 했어. - P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구는 선택할 수 있지만 나 자신은 선택할 수 없다. 심지어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조차 스스로 결정하지 못했다.
인간은 무엇일까? - P21

그의 생각에 따르면 인간이 산다는 것을 경이롭게 여겼기 때문에 철학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생겨났다는 거야. - P35

훌륭한 철학자가 되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단 한 가지는 놀라워할 줄 아는 능력이야.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님. 혹시 제인 에어가 쓴 책 있나요? - P12

손님 『1986』 있어요?
직원 『1986』요?
손님 네, 조지 오웰George Orwell이 쓴 책요.
직원 아, 「1984 말씀하시는 거구나.
손님 아니에요. 『1986』이 확실해요. 내가 태어난 해와 같아서 정확히 기억하고 있다고요..
직원 …. - P15

손님 책을 몇 권 팔고 싶은데 누구와 이야기해야 할까요?
직원 저한테 말씀하시면 돼요.
손님 상사는 없나요? 남자분 안 계세요?
직원 사장님은 지금 안 계신데, 여자분이시고 지금 댁에 계세요.
손님 그러면 그 여자분의 상사는요? 그 남자 이름이 뭔가요?
직원 그 여자분이 제 사장님이세요.
손님 흠. 당신들은 굉장히 현대적이군요. - P117

손님 만약 말이죠. 제가 이 서점에서 내 평생의 짝을 만나게 된다면, 서점의 어느 책 옆에 서 있어야 그렇게 될 확률이 가장 높아질까요? - P14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5-16 0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진짜 읽어보고싶게 만드는 밑줄긋기네요. 보관함으로 쏙 들여보냅니다. ^^

햇살과함께 2021-05-16 11:06   좋아요 0 | URL
어제 도서관 갔다가 있길래 빌렸는데, 가볍게 읽기 재미있어요~ 웃픈 “진상”손님이 어찌나 많은지…
 

그런데 요즘 하동군수라는 철없는 자가 해괴한 ‘알프스 프로젝트’라는 것을 들이밀며 모노레일과 케이블카와 산악열차를 달리게 하겠다고 하여 산악열차반대대책위 상임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뜻을 함께하는 이들의 열정이 모여 여의도 국회 앞과 광화문 농성 시위를 하며 국회와 언론매체에 사업의 부당성을 알리는 등 어느 정도의 효과가 나타나서 군수의 터무니없는 계획이 기획재정부의 사업에서도 퇴출당하고 사업의 양해각서를 체결한 건설회사도 사업 타당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양해각서의 연장을 파기시켰는데도 막무가내로 밀어붙이겠다는 어리석은 군수 때문에 심장병이 다시 도지는 것 같습니다. - P144

팔레스타인의 난민 영화감독 클레이피가 "노스탤지어는 우리에게 하나의 무기"라고 말했을 때 그건 단순한 회고취미를 넘어서는 의미였다지만, 솔직히 말하자, 이 상태라면 회고고 뭐고 없다. 통일이 되면 북녘 땅은 1주년 기념식도 치르기 전에 결딴날 것이다. 남녘 땅이야 어차피 아수라 부동산공화국이려니 하더라도, 북녘 땅만큼이라도 지켜야 하지 않겠는가. 그래야 소월의 삭주구성도 찾아가 보고, 백석의 남신의주도 찾아가 보고 하지 않겠는가.
이대로는 안된다, 통일 결사반대! - P1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