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에게는 칼이 있습니다. 그러나 ‘남자‘는 칼자루를, 여자‘는 칼날을 쥐고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대화를 시도할수록 우리는 피를 흘릴 뿐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실패하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역사를 채우겠습니까. - 나혜석 - P9

타자화(他者化)란 "나는 그들과 다르고 그 차이는 내가 규정한다."는, 이른바 ‘조물주 의식‘이다. 이러한 자기 신격화는 민주주의와 예술의 적이다. 윤리적인 글의 핵심은 다루고자 하는 존재(소재)를 타자화하지 않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자신을 알고, 변화시키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남을 억압하는 사람은 자신을 해방하지 못한다. 실천적이고 진보적인 글은 ‘불쌍한 이’들에 대한 리포트가 아니라 글쓰기 과정에서 재현 주체와 재현 대상의 권력 관계를 규명하고, 다른 관계 방식을 모색하는 것이다. - P15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쓰려면, 나부터 ‘나쁜’ 사람이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글을 쓰는 과정은 나의 세계관, 인간관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나를 검열하는 과정일 수밖에 없다. - P16

오늘날 미디어 권력이 일상을 지배하는 이유는 미디어가 전달자가 아니라 그 자체로 메시지이며, 몸의 확장이기 때문이다. - P34

우리가 지향해야 할 것은 최대의 선이 아니라 최소의 잘못이다. - P51

한채윤은 개신교의 동성애 혐오가 신앙 때문이 아니라 이익 집단의 필요에 따른 절박한 정치적 전략이라고 분석한다. - P68

즉, 개신교가 동성애의 ‘해악‘을 진정 걱정했다면 동성애자 인권운동이 성장할 때부터 반대했어야 맞다. 관심이 없다가 자신의 문제를 전가할 대상을 찾은 것이다. 동성애는 발견되었다. 동성애 이미지는 사회 통념에 호소하기 쉬운 데다, ‘적‘이 강력할수록 명분도 강해진다. 동성애는 훌륭한 적‘으로 만들어졌다. 적의 구성 원리는 비슷하다. ‘적‘은 내부 비리를 은폐하고 결속시킨다. 그러므로 이렇게 말해야 한다. 개신교는 동성애자를 ‘좋아하고’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 P69

글쓰기는 다른 삶을 지어내는 노동이다. - P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 역시 인간처럼 고통을 느낀다. 동물이 인간 종에 속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동물의 이해관계를 무시하는 것은 인종차별주의나 성차별주의와 다를 바 없다. - P18

이렇게 볼 때 동물도 고통과 쾌락을 느끼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한, 고통을 받지 않을 최소한의 이익을 가지고 있어요. 따라서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이 적용되는, 다시 말해서 도덕적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될 이유가 없는 것이죠. 우리는 고통과 쾌락을 느끼는 모든 존재의 고통을 동등하게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할 책임이 있답니다.
피터 싱어는 이런 상황에서도 동물을 도덕적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태도를 종차별주의라고 부르고 있어요. 종차별주의란 자기가 속해있는 종의 이익을 옹호하면서 다른 종의 이익을 정당한 근거 없이 배척하는 편견 내지 왜곡된 태도를 말해요. - P51

인간의 하찮은 이익을 위해 동물의 중요한 이익을 희생시켜서는 안 된다. - P76

채식은 동물 해방 운동의 첫걸음
우리는 앞서 공장식 동물 농장에서 동물들이 받고 있는 학대와 고통에대해 살펴보았어요. 그런데 사실 공장식 동물 농장에서의 동물 학대는 인간의 입맛을 만족시키기 위해 벌어지는 일들이에요. 바로 고기를 먹고자 하는 우리 인간들이 동물 학대의 진정한 주범인 것이죠. 게다가 고기로 가득 채워진 우리의 식탁은 동물 학대가 시작되는 곳이에요. - P102

인간의 생명만이 무조건 존엄하다는 인간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삶의 질에 기초한 윤리를 중요시해야 한다. - P55

윤리적으로 사는 것은 곧 자기 자신의 이익을 초월하여 사는 것이다. - P84

결국 윤리적으로 사는 것은 세계를 보다 총괄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 P106

"한 존재에게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려고 할 때 중요한 것은 이성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혹은 말을 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고통을 느낄 수있는가이다." - P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저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작은 싸움을 이겨내고 승리했다는 걸 모두에게 보여주고 싶다. 이렇게 해보니 되더라고, 동성애자도 충분히 잘 살 수 있다고. 그리고 언젠가 성미산학교의 남학생과 웃으며, 세상이 변하긴 변하더라, 살다 보니 달라지더라는 얘기를 나누고 싶다.
정말로 그랬으면 좋겠다. 동화 속 공주님처럼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는 결말은 아니더라도, 레즈비언 할머니 부부는 드디어 건강보험료를 같이 낼 수 있게 됐다는 해피엔딩이면 좋겠다.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부터 100억 또는 200억 년 전에 빅뱅Big Bang이라고 불리는 대폭발의 순간이 있었고 우주는 그 대폭발에서 비롯됐다. 왜 그런 폭발이 있었는지는 신비 중의 신비다. 그러나 폭발이 있었음은 거의 틀림없는 사실이다. 현존 우주에 있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가 대폭발의 순간에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밀도로 모여 있었을 것이다. 그 상태는 부피를 전혀 갖지 않는 수학적 의미의 점이었다. 바로 그 점이 ‘우주의 알‘ 이었다. - P482

초기의 우주는 강력한 복사와 고온 고밀도의 물질로 가득 차 있었다. 소립자로 충만하던 고온 고밀도의 원시 화구가 점차적으로 냉각되자 거기에서 수소와 헬륨 원자들이 먼저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우주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된 시기가 한때 있었을 것이다. 당시에 관찰자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을 것이다. 우주가 완전히 균질하다면 어디를 둘러보나 다 똑같아서 결국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상황과 마찬가지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밀도가 주위보다 약간 높은 지역이 군데군데 생기면서 가느다란 실과 덩굴손 모양의 가스 주머니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것들이 자라 가스 구름으로 태어났다. 이 가스 구름이 거대한 회전 원반체로 변신하여 반짝이는 점들을 수천억 개씩 품으면서 자신의 밝기를 더해 갔다. 우주에서 볼 수 있는 가장 거대한 구조물들은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이것들을 은하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우리 자신도 이러한 구조물의 한구석을 차지하고 있다. - P484

우주 공간을 눈여겨보면 하나의 거푸집에서 찍어 낸 것처럼 모양이 아주 비슷한 은하들이 우주 도처에 널려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은하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중력의 법칙과 각운동량 보존 법칙이 우주 어디에서든지 그대로 성립하기 때문이다. - P486

대폭발에서 은하단, 은하, 항성, 행성으로 이어지고, 결국 행성에서 생명이 출현하게 되고 생명은 곧 지능을 가진 생물로 진화하게 된다. 물질에서 출현한 생물이 의식을 지니게 되면서 자신의 기원을 대폭발의 순간까지 거슬러 올라가 인식할 수 있다니, 이것이 우주의 대서사시가 아니고 또 무엇이겠는가! - P487

여러분이 은하를 모양이 잘 변하지 않는 튼튼한 강체라고 생각한다면 그것이야말로 큰 오해다. 은하는 약 1000억 개의 별들로 만들어진 유동성의 구조물이다. 어느 한 순간 사람은 대략 100조개의 세포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그 사람을 구성하는 세포가 늘 같은 세포는 아니다. 100조 개의 일부는 죽어 없어지고 동시에 새 세포가 다시 만들어짐으로써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인간의 육체이다. 은하도 마찬가지이다. - P492

우주 팽창과 대폭발 이론이 전반적으로 옳다고 한다면, 우리는 좀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대폭발의 순간은 어떤 상태였는가? 대폭발 이전의 상황은? 그 당시 우주의 크기는? 어떻게 물질이라고는 아무것도 없이 텅 비어 있던 우주에서 갑자기 물질이 생겨났는가? 이러한 물음은 우리를 곤혹스럽게 만든다. 사람들은 보통 특이점에서 벌어진 상황에 대한 설명을 신의 몫으로 떠넘긴다. 이것은 여러 문화권에 공통된 현상이다. 하지만 신이 무無에서 우주를 창조했다는 답은 임시변통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가 근원을 묻는 이 질문에 정면으로 대결하려면 당연히 "그렇다면 그 창조주는 어디에서 왔는가?"라는 질문을 해결해야 한다. - P5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