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후회하는 일, 또는 후회하는 때가 있습니까?
그런 게 없어요. 왜냐하면 그 상황에서 그게 최선이었을 것 같아요.
후회해봤자 이미 저질러졌고, 이미 끝난 상황이잖아요.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 후회할 것 같습니까?
자신 있게 하지 못하고 머뭇거릴 때. - P38

여기서 중요한 건 도전을 위한 전쟁이든 수성을 위한 전쟁이든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일상을 견디고 버텨야 한다는 것이다. 위치를 막론하고 더 잘 치고, 더 잘 던지고, 더 잘 잡기 위한 기본적인 훈련은 정해져 있다. 그 일상적인 나날을 더 의미 있게 보내기위해서, 그리고 한 단계 더 올라서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전략이 필요하다. 내가 더 오래, 잘 살아남기 위한 특별한 전략. 그리고 그전략이 확실한 힘을 가지려면 나만의 동기가 뚜렷해야 한다. - P40

주체는 나 자신이 되어야 하는 이유다. 경쟁, 또는 경쟁상대는내가 원하는 성과를 위한 하나의 추진제에 불과해야 한다. 경쟁 그자체에만 의미를 두기보다 좋은 자극제로 삼으며 나의 한계를 뛰어넘고, 내가 원하는 목적지를 향해 가야 한다. 선의의 경쟁을 이어가면서도 내가 그린 방향을 향해 나만의 속도로 나아가는 것. 최종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흔들리지 않고, 지치지 않기 위해서는 나만의 중심이 가장 중요하다. - P49

처음부터 야구를 잘했고요, 이후에는 팬서비스에 인성, 그리고 리더십. 이정후 선수를 채우는 좋은 ‘툴Tool‘들이 하나하나 계속 나오는 것같아요. 다 보여준 것 같은데 더 보여줄 게 또 나온다는 점이 저는 신기합니다. 혹시 더 있습니까?
일단 저는 야구를 더 잘하고 싶다는 마음이 가장 크고요. 야구로 인해서 저를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과 기쁨을 안겨 드릴 수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그분들에게 그런 행복을 안겨드리면 저도 그로 인해 얻는 행복이 크기 때문에 저에게도 좋은 부분이고요. - P66

점점 높아지는 기준이 가혹하게 느껴지지 않을 리 없다. 부러움과 시샘 그 사이 어디쯤에서 그를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도 달갑지는 않다. 그러나 그의 비결은 외부 시선을 어떤 방식으로 자신을 위한 무언가로 바꿀 줄 아는 데 있다. 긍정적인 시선은 그 기대에 부응하거나 뛰어넘기 위한 촉매제로, 부정적인 시선은 오롯이나 자신에 더 집중하게 만드는 전환점으로 말이다. - P75

그냥 인간적인 마음을 담아서요. 이정후 선수도 가끔은 자신을 달랠시간도 필요하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드는데요.
아, 그런 거 없어요.
(아주 단호한 답변이었다. 당황스러울 만큼.)

사실 여전히 젊은 나이 아닙니까? 어리광을 부려도 이해가 되는 나이라고 해야 할까요.
저희는 야구선수인데 나이가 무슨 상관이에요. 내가 잘하면 잘한만큼 대접받고 사람들도 인정해주고 내가 꿈꿔온 삶을 살아갈 수있는 특권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생각해요. 굳이 내가 힘들다고 어리광부리고 하소연할 필요는 없죠. 그냥 잘하면 좋은 거예요. 대신잘하면서 관심이 커질수록 그에 맞는 책임도 감당해야 하고요. 프로야구 선수이면서 개인 사업자들인데 받아들여야죠. - P79

결국엔 어떻게 이겨낼 수 있었습니까?
초심이죠. 초심밖에 없는 것 같아요.

어릴 적 재밌게 야구를 하던 이정후..…
이 야구라는 스포츠 자체에 의미를 두는 거예요. 던지고 잡고 치고뛰는 거잖아요. 여기에 초점을 두는 거죠. 나는 원래 이게 재밌어서야구를 한 거니까. 결과도 무시할 순 없지만, 그에 앞서 이 재미를조금 더 느껴보자고 생각한 거죠. 그렇게 다르게 생각을 하다 보니까 다시 신나고 의욕이 생기더라고요. 성적도 올라가고요. - P126

이정후가 생각하는 잘하는 타자의 기준은 뭡니까?
꾸준함입니다. - P160

그날의 감정을 다시금 떠올리다 보니 이치로의 명언 중 평소에 좋아했던 한 마디가 떠올랐다.

‘끝까지 해낸다는 것 자체가 재능이다.‘ - P167

요즘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야구선수 중 한 명이라고 할수 있는 일본의 오타니 쇼헤이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내게 중요한 것은 일단 해보는 것이다." - P209

바라는 대로 이뤄왔다. 처음부터 될 줄은 몰랐다. 하지만 될 거라는 생각으로한 단계씩 올라서다 보니 진짜로 됐다. 그렇게 하나씩 달성해 나간 목표가, 하나씩 이루어 간 꿈이, 지금의 이정후를 만들었다. 오타니가 전한 또 다른 한마디가 떠오른다. "인생이 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꿈이 인생을 만드는 것이다." - P211

그 마음이 들더라고요. 이번 시즌이 당분간 제가 KBO리그에서 보내는 마지막 시즌일 수 있잖아요. 그 마지막 시즌의 마지막 모습이트레이너의 부축을 받고 절뚝이면서 나오는 장면으로 기억되고 싶지는 않더라고요. 그래서 처음에는 시즌 아웃 판정을 받았지만, 마지막 모습을 다르게 남기기 위해서 어떻게든 시즌이 끝나기 전에는무조건 복귀하겠다고 마음먹었어요. 그래서 더 재활에 집중하고 열심히 준비했던 것 같습니다. - P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인공은 선을 넘는다> 첫째가 좋아하는 오후 작가의 책.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구매.

<긍정의 야구> 예약구매한 책이 어제 도착했다. 사은품 마우스패스와 함께.

<오랑캐의 역사> 남편이 도서관에서 빌려달라고 했는데 도서관에 한 권도 없어서 구매. 김기협 작가는 작년 여름에 부산 손목서가에서 구매했던 <역사의 원전> 번역하신 분이네.
굿즈를 안사서 서재의 달인되면서 플래티넘 등급 되었지만 할인 쿠폰 한번도 써본 적 없는데 레이즈 감자칩 있어서 쿠폰도 써봤다! 근데 이렇게 작을 줄이야…


어제보다 포근해진, 성탄절 연휴입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괭 2023-12-23 21: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서 감자칩도 파는군요 ㅎㅎ 메리크리스마스 연휴 보내세요 햇살님^^

햇살과함께 2023-12-24 08:59   좋아요 1 | URL
맥주 안주로 자주 사야겠어요 ㅎㅎ 괭님도 가족들과 크리스마스 즐겁게 보내세요!
 
경제학이 필요한 순간 - 경제학은 어떻게 사람을 살리는가
김현철 지음 / 김영사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인 김현철 교수는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데, 한국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로 활동하다 경제학으로 전향, 미국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경제학과,정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중보건의 시절 개인을 진료하면서 건강 불평등의 문제가 사회 경제적인 문제임을 깨닫고 공공 정책을 연구하는 경제학자가 된 것이다.


이 책은 여러 실험과 데이터에 기반하여 엄마 배 속에서 무덤까지 생애 주기에 필요한 보건, 교육, 노동, 돌봄 및 복지 정책에 대해 국가가 국민의 생존과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묻고 답한다.

1장부터 흥미롭다. ‘인생 성취의 8할은 운: 개인의 능력과 노력의 한계, 그리고 국가의 역할’

저자 본인의 성취 사례를 설명하며, ‘지금의 나’가 과연 나의 능력과 노력만으로 형성되었는가를 묻는다. 나의 능력과 노력도 있었겠지만 많은 과정에서 운이 작용했기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우리 인생에서 첫 번째 만나는 운은 ‘어디서 태어났는가’이다. 태어난 나라가 평생 소득의 절반 이상을 결정한다고 한다. 내가 만약 한국이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면? 그렇다. 나는 선택할 수 없다.

두 번째는 ‘부모’이다. 부모는 유전과 환경 모두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또한 내가 선택할 수 없다.

또 다른 척도는 ‘건강’이다. 건강은 사람의 노력으로 예방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이 또한 유전에 많은 영향을 받는 내가 선택할 수 없는 운이다.

그렇다면 80%의 운 이외의 나머지 20%는 오롯이 개인의 노력인가? 이 ‘노력할 수 있는 힘’조차도 상당 부분은 타고난 것이다. 맞다. 노력하기 위한 지능이나 끈기, 체력 등도 사실 주어지는 것이다.

1장에서 개인 성취의 8할 이상이 '운'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능력주의를 주장하며 복지를 비판하는 사람들의 생각을 꼬집는다. 그리고, 그러므로, 운에 따라 개인의 인생이 달라지는 것을 줄이기 위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이후 장에서 인생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국가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밑밥을 깐다.

‘경제학’이라는 제목 때문에 따분하고 딱딱할 것이라는 선입견을 깨고, 다양한 데이터와 통계 사례를 통한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런 책을 읽을 때마다 항상 아쉬운 점은 우리나라의 데이터와 사례를 많지 않다는 점이다. 우리도 다양한 데이터와 사회 실험, 시범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정치인들의 표심에 따라 정해지는 정책이 아닌 데이터에 기반한 복지 정책을 펼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우리가 노력할 수 있는 힘조차도 사실 상당 부분 타고난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 인생 성취의 대부분은 우리가 스스로 이루어낸 것이 아닙니다. 제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아마도 크고 작은 성취를 이룬 분들일 것입니다. 어렵게 살고 계신분들은 한가하게 독서할 시간조차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죠.
아이에게 이렇게 이야기해주셔도 좋겠습니다.
"인생 성공의 8할이 운이래. 우리 가족의 성취도 사실 대부분 운이야. 우리의 힘으로만 이룬 게 아니니까 겸손하게 살아야 해. 그리고 실패했다고 생각해도 좌절하지 말자. 운이 좀나빴던 것뿐이야. 또 운이 나빴던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도우며 살자꾸나. 혹시 스스로 성취한 것처럼 자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부러워하지 말고 불쌍히 여기렴. 착각 속에 사는 사람이니까." - P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체성 정치
후기구조주의 이론
앤드리아 드워킨 <포르노그래피: 여성을 소유하는 남성>
차이 페미니즘
글로리아 안살두아 <국경 지대>
에이드리언 리치
토니 모리슨 <빌러비드>
이브 코소프스키 세즈윅
주디스 버틀러
수전 팔루디 <백래시>
이성애 규범성
퀴어 연구
앤 카슨, 사랑과 상실
도나 헤러웨이

4부. 페미니즘을 다시 쓴 1980년대와 1990년대

주로 보수적이었던 1980년대와 1990년대라는 배경 속에서제2물결 페미니즘의 전개는 어떻게 기술되어야 할까? 따지고보면 물결들이란 각기 다른 속도로 넘실대다가 어쩌다 한 번씩 무리 지어 움직이는 법이다. 20세기가 끝나갈 무렵에 이르 - P339

면 두 가지 접근 방식이 페미니즘적 사고방식을 재형성했다. 하나는 우리가 이번 장에서 논의할 정체성 정치이고 다른 하나는다음 장에서 폭넓게 다루게 되는 후기구조주의 이론이다. 이 두이론의 영향을 받으며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라는 단어가 혹시다양한 배경과 지향을 가진 사람들을 억지로 융합시키는 것은아닌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VOR정체성 정치는 인종적, 민족적, 언어적, 영적 기원의 탐색에전념하는 여성들의 연대를 고취시켰다. - P340

‘남성이 지배하는 문화 속에서 성의 자유라는 것이과연 얼마나 많은 해방을 가져다주었는가.‘ - P342

드워킨은 온갖 형태의 검열에 반대하는 시민 자유론자들에게동조하면서 곧장 "섹스 지지파"로 알려진 페미니스트들과 대립했다. 역사적으로 여성의 성적 쾌락 경험을 금지해온 도덕적 경건함을 경계하던 이 섹스 지지파 페미니스트들은 성 표현이 노골적인 예술과 포르노의 구분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엘런윌리스는 "나를 흥분시키는 것은 에로틱한 것이고 남을 흥분시키는 것은 포르노"라는 것이라며 포르노 반대자들에 대해 빈정거렸다. 드워킨은 이런 입장이 적과의 동업이라고 비난했다. "포르노는 이론이고 강간은 실천"이라는 로빈 모건의 견해에동의했던 것이다. - P343

케이트 밀릿의 『성정치학』에서 영감을 받아 쓴 드워킨의 『포르노그래피 : 여성을 소유하는 남성』(1981)은 포르노산업이 묘사한 여성의 굴욕적 이미지가 여성에게서 인간성을박탈하고 여성에 대한 폭력을 조장했다는 수많은 페미니스트들의 믿음을 반영했다. 드워킨은 외설 잡지와 영화가 남성들에게오늘날 해로운 남성성이라 불리는 특성을 주입했다고 믿었다. - P344

분리주의자들은 프로이트, 특히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발현되기 이전 시기에 맺는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둘러싸고 다시 한번 씨름하면서, 자신들의 추측에 대한 증거를 찾아냈다. 예를 들어 도러시 디너스틴은 미소지니가 여성의 임신과 양육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니까 아기가 맨처음 경험하는 타자는 대개 어머니인데, 아이는 자라면서 자신의 불안감과 적대감을 ‘전혀 인간이라고 볼 수 없는‘ 타자인 여성 인물에게 투사시킨다는 것이다. 심리학자 낸시 초도로는가족 로맨스의 또 다른 결과, 즉 남자아이뿐만 아니라 여자아이도 가장 이른 시기에 욕망하는 것이 어머니라는 점에 대해 고찰했다. 여자아이는 여성 인물에게 1차적 애착을 갖기 때문에, 동성애가 그들의 에로틱한 삶의 중요한 요소로 남게 된다는 것이다. 초도로에 따르면 여자아이와 어머니는 상호 동일시를 하는반면, 남자아이는 스스로를 어머니와 반대되는 존재로 규정한 - P345

다. 이런 상호 의존 관계에 에워싸여 성장하는 여성은 유동적인자아 경계선을 습득하는 반면, 자아 경계선이 고정되어 있는 남성은 자기 정체성을 규정함에 있어서 투쟁적인 태도를 취하게된다. 캐럴 길리건은 이 같은 통찰을 윤리학으로까지 확장시켰다. - P346

안살두아는 "젠더만이 유일한 억압은 아니다"라고 선언했다.32 『국경 지대』에는 민족과 지리가 중요하게 등장한다. 그녀는 이 책에서 멕시코계 미국인들의 문화와 멕시코 문화에 대한이해를 높이고 멕시코계 미국/멕시코 문화와 흑인 문화, 북미토착 미국인 문화, 앵글로색슨계 미국인 문화, 그리고 다른 나라 문화와의 소통을 증진하기 위하여 역사, 자서전, 신화를 이용했다. 그녀는 책의 핵심부에서 "메스티사 의식"이라는 역설적사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논했다. 메스티사 의식은 다층적 정체성을 지니고 사는 법을 배워야 하는 국경선 경계 지대의 거주민들이 물려받은 상충하는 충성심에 대한 인식을 말한다. - P351

에이드리언 리치가 20세기 말 미국의 도덕적 타락에 기여한인종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를 가장 선명하게 다룬 시인이었다면, 인종차별주의와 성차별주의의 뒤얽힌 영향을 가장 단호하게 다루었던 소설가는 토니 모리슨이다. - P366

"흑인 페미니스트들은 너무나도 익숙한 진퇴양난의 감정을느끼기 시작했다. 우리는 가정 폭력에 반대했던 것인가, 아니면인종차별주의에 반대했던 것인가?"
백인과 흑인의 차이를 감안할 때, "여성의 책임"과 "공모 관계"를 강조하던 모리슨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 혹시 인종차별주의 사회에서 흑인 남성이 경험하는 체계적인 모욕과 폭력을 의식하고서, 흑인 여성이 여성운동에서 핵심적인역할, 즉 백인 여성이 모두 긍정하지만은 않겠지만 아무튼 그런역할을 하고 있다는 그녀의 확신을 밝혀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생각이 든다. 그녀는 프랜시스 빌의 통찰을 확장한 셈이었는데, 빌은 1970년의 에세이 「이중의 위험」에서 만일 백인 페미니스트들이 흑인 여성들의 동참을 원한다면 반드시 인종차별주의에맞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벨 훅스가 그녀의 저서 『난 여자가 아닙니까?』 (1981)에서 강조한 것과 같은 주장이었다." 모리슨은 흑인의 권리가 여성의 권리에 종속될 수 없다는 자신의믿음을 절감하도록 독자들을 극단으로 모는 위험을 감수했다. - P376

페미니스트들의 저술 활동에도 변화가생겨난 것이다. 문학 저술활동에서 철학적인 담론으로 이동했다는 뜻이다. 퀴어 이론의 출현은 점점 커지는 학계 내부 페미니스트들과 학계 외부 페미니스트들의 분열의 신호탄이 된 셈이었다. 이 새로운 이론가들이 정체성 정치 옹호자들이 지지하던 사회적 범주들에 균열을 일으키는 중에도 이 같은 현상은 계속됐다. - P3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first day I showed up at school with the hearing aids I thought kids would make a big deal about it. But no one did Summer was glad I could hear better, and Jack said it made melook like an FBI agent or something. But that was it. Mr. Browne asked me about it in English class, but it wasn‘t like, what the heck is that thing on your head?! It was more like, "If youever need me to repeat something, Auggie, make sure you tellme, okay?"
Now that I look back, I don‘t know why I was so stressed about it all this time. Funny how sometimes you worry a lot about something and it turns out to be nothing. - P215

I loved hanging out by the campfire after dark. I loved the bits of fire dust would float up and disappear into the night air. And how the fire lit up people‘s faces. I loved the sound the fire made, too. And how the woods were so dark that you couldn‘t see anything around you, and you‘d look up and see abillion stars in the sky. The sky doesn‘t look like that in NorthRiver Heights. I‘ve seen it look like that in Montauk, though:like someone sprinkled salt on a shiny black table.
I was so tired when I got back to the cabin that I didn‘t needto pull out the book to read. I fell asleep almost as fast as my headhit the pillow. And maybe I dreamed about the stars, I don‘t know. - P258

When we got to the fairgrounds, the sun was just starting to set. It was about seven-thirty. The shadows were really longon the grass, and the clouds were pink and orange. It looked like someone had taken sidewalk chalk and smudged the colorsacross the sky with their fingers. It‘s not that I haven‘t seen nicesunsets before in the city, because I have-slivers of sunsetsbetween buildings-but I wasn‘t used to seeing so much sky inevery direction. Out here in the fairgrounds, I could understand why ancient people used to think the world was flat and the skywas a dome that closed in on top of it. That‘s what it looked likefrom the fairgrounds, in the middle of this huge open field. - P25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곡 2023-12-23 16: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햇살과함께님 크리스마스 연휴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메리 크리스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