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4.12.20.

숨은책 1004


《윤석열 대통령 연설문집 1 20220510-20230509》

 문화체육관광부 엮음

 대한민국 대통령실

 2023.10.



  2024년 12월 19일에 고흥읍 나래터(우체국)에 갔더니 《윤석열 대통령 연설문집 1 20220510-20230509》가 있습니다. 이레 앞서 나래터에 들를 적에는 못 본 책입니다. 자그마치 816쪽에 이르는 두툼한 꾸러미인데, 펴낸날은 2023년 10월이니, 전남 시골에는 이제서야 뿌렸을는지 궁금합니다. 마침 옆에 《주간경향》 1607호가 나란히 있습니다. 얇은 《주간경향》은 “스스로 연 탄핵의 문”을 머릿글로 다룹니다. 나래터에서는 두툼한 꾸러미를 안 두고 싶은 듯합니다. 제가 얻어가기로 합니다. 묵직한 《윤석열 대통령 연설문집 1》를 들추자니 95쪽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발간사’라는 글이 있어요. 94쪽에 걸쳐 ‘화보집’을 꾸렸고, 뒤쪽도 ‘작은 화보집’으로 꾸밉니다. 여러 해 앞서 《문재인 대통령 연설문집》이라든지, 여러 우두머리 ‘연설문집’이 시골 읍내 나래터에 꽂히곤 하는데, 하나같이 대단히 무겁고 크고 번들거리는 종이에 그냥 ‘화보집’입니다. 사람들 곁에 서려는 일꾼이라면 맨앞에 서서 자랑하는 ‘찰칵놀이’는 안 하겠지요. 사람들 사이에 스미는 작은말과 작은얘기를 들려주는 몫이어야 할 텐데요. 아직 우리나라는 ‘우두머리’를 ‘옛적 임금님’으로 여기며 《조선왕조실록》이라도 엮는다는 부푼꿈 같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지위


 자기의 지위를 활용하여 → 제 지체를 내세워 / 제 벼슬을 앞세워

 우리의 지위가 천하다는 이유로 → 우리 자리가 낮다면서

 상대방의 지위에 따라서 행동한다 → 그이 이름에 따라서 움직인다


  ‘지위(地位)’는 “1. 개인의 사회적 신분에 따르는 위치나 자리 ≒ 위 2. 어떤 사물이 차지하는 자리나 위치 ≒ 위지”를 가리킨다지요. ‘-의 + 지위’ 얼거리라면 ‘-의’를 털고서, ‘자리·자위·지체·차지·칸’이나 ‘높낮이·높이·높고낮다’나 ‘앞뒤·크고작다·눈금·위아래’로 손질합니다. ‘벼슬·벼슬자리·감투’나 ‘어깨끈·어깨띠·팔띠’나 ‘날개·나래’로 손보고, ‘길·길눈·길꽃’으로 손봐요. ‘-로서·몫·모가치·또아리’나 ‘손꼽다·첫손’으로 손볼 만합니다. ‘이름·이름길·이름결·이름값·이름띠’나 ‘이름꽃·이름빛·이름나다·이름있다’나 ‘이름씨·이름줄’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한곳·한자리’나 ‘꽃이름·꽃낯·아름이름·날개이름·나래이름’으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조선어의 독점적 지위를 허물어서, 시민들이 영어를 쓰고 자식들이 영어를 모국어로 고를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 조선말만 쓰기보다는, 사람들이 영어를 쓰고 아이한테 겨레말로 영어를 고를 수 있도록 하자는 길이다

→ 조선말만 쓰지 말고, 누구나 영어를 쓰고 아이한테 영어를 내림말로 고를 수 있도록 하자는 셈이다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복거일, 삼성경제연구소, 2003) 91쪽


언젠가는 마이너리티의 지위를 벗어날 지도 모를 일이다

→ 언젠가는 뒷자리를 벗어날 지도 모를 일이다

→ 언젠가는 초라한 자리를 벗어날 지도 모른다

《한국의 교양을 읽는다 3》(이상준, 휴머니스트, 2006) 64쪽


다시 말해 세계적인 서사를 제시하면서 자신의 지위를 확보했기 때문에

→ 다시 말해 온누리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제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왜 지금 한나 아렌트를 읽어야 하는가?》(나카마사 마사키/김경원 옮김, 갈라파고스, 2015) 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배터리battery



배터리(battery) : 1. [체육] 야구에서, 짝을 이루어 경기를 하는 투수와 포수 2. [화학]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어 모아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장치 = 축전지

배터리(battery) : 1. [음악] 군악대에서 군호나 호령으로 규정된, 북을 연타하는 것과 같은 리듬 2. [음악] 큰북과 작은북의 짜임 3. [음악] 관현악에서 타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battery : 1. 건전지, 배터리 2. 수많은 3. 포대, 포열 4. (촘촘히 이어진) 닭장[새장 등] 5. 구타



우리가 쓰는 살림에 ‘빛’이라는 ‘밥’을 먹입니다. 빛밥을 먹는 막대가 있으니 ‘빛막대·빛샘·빛우물’처럼 나타낼 만합니다. 공을 주고받는 짝을 가리킬 적에는, 두 사람인 만큼 그대로 ‘둘·두 사람’이나 ‘짝·짝꿍·짝지’라 할 만합니다. 두 가지 북을 가리킬 적에는 ‘큰북작은북’이라 하면 되어요. 때로는 ‘짜임·짜임결·아귀’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배터리가 나가셨구만

→ 밥이 나가셨구만

→ 빛샘이 나가셨구만

《필라멘트》(우루시바라 유키/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05)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인간관계



 인간관계가 원만하다 → 이웃하고 잘 지내다 / 다들 둥글둥글하다 / 서로 오순도순하다

 평소에 인간관계가 좋은 → 늘 사이가 좋은 / 늘 잘 지내는 / 늘 어울리는

 원활한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유머나 위트가 필요하다 → 잘 지내려면 익살이나 말솜씨가 있어야 한다


인간관계(人間關係) : 1. 인간과 인간, 또는 인간과 집단과의 관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북한어] [문학] ‘인물 관계’의 북한어



  사람하고 사람 사이를 가리킬 적에는 ‘사람사이·사람살이·사람일·사람줄’이라 할 만합니다. 서로 지내는 사이를 나타낼 적에는 ‘서로·사이·섞다·틈·틈새’나 ‘사귀다·만나다·어우러지다·어울리다’라고 해도 되어요. 때로는 ‘사람·사람들·다들’이나 ‘두름손·주변·주변머리’로 나타낼 만해요. ‘아는이·이웃’이나 “잘 있다·잘 지내다”로 나타낼 수 있고요. ‘이름줄·섶·옷섶·줄’로 나타내어도 어울려요. ㅅㄴㄹ



새로운 사랑은 찾아오지 않고, 인간관계는 가혹하고, 좋아하는 일을 해도 보답은 없고

→ 새로운 사랑은 찾아오지 않고, 다들 매몰차고, 좋아하는 일을 해도 보람은 없고

→ 새로운 사랑은 안 찾아오고, 사람들은 차갑고, 좋아하는 일을 해도 기쁘지 않고

《소소한 휴일 1》(나가하라 마리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5) 119쪽


학계란 곳도 결국 인간관계가 생명이라

→ 배움밭도 고작 이름줄로 가느라

→ 배움마당도 그저 옷섶으로 버티니

《필라멘트》(우루시바라 유키/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05) 208쪽


새로운 인간관계도 많이 형성되어 언제부터인가 니시무라와 소원해졌습니다

→ 새로운 사람도 많이 사귀어 언제부터인가 니시무라와 멉니다

→ 새로운 이웃도 많이 알면서 언제부터인가 니시무라와 뜸합니다

→ 새롭게 사귀는 사람도 많아 언제부터인가 니시무라와 서먹합니다

→ 새롭게 아는 이웃도 많아 언제부터인가 니시무라와 안 만납니다

《그리고, 또 그리고 5》(히가시무라 아키코/정은서 옮김, 애니북스, 2016) 116쪽


옛날보다 인간관계가 희박해진 최근의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지 모르지요

→ 옛날보다 사람사이가 멀어진 요즘 흐름 때문일지 모르지요

→ 옛날보다 이웃이 멀어진 요즘 흐름 때문일지 모르지요

→ 옛날보다 서로 멀어진 요즘 흐름 때문일지 모르지요

《타인을 안다는 착각》(요로 다케시·나코시 야스후미/지비원 옮김, 휴, 2018) 47쪽


우리 삶이 부족하고 인간관계가 좋지 않고 보람을 못 느끼기 때문입니다

→ 우리 삶이 모자라고 서로 잘 사귀지 않고 보람을 못 느끼기 때문입니다

→ 우리 삶이 허술하고 이웃하고 뜸하고 보람을 못 느끼기 때문입니다

→ 우리 삶이 얕고 이웃을 등지고 보람을 못 느끼기 때문입니다

《용수 스님의 곰》(용수, 스토리닷, 2018) 153쪽


나는 인간관계에 있어 존중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꼽는다

→ 나는 사람을 사귈 때 섬김을 가장 크게 꼽는다

→ 나는 사람을 만나며 섬김을 맨 먼저 꼽는다

《태도의 말들》(엄지혜, 유유, 2019) 10쪽


일이란 기본적으로 인간관계다

→ 일이란 모름지기 사람일이다

→ 일이란 으레 사람만남이다

→ 일이란 사람사이가 바탕이다

《서점의 일생》(야마시타 겐지/김승복 옮김, 유유, 2019) 260쪽


인간관계를 설명할 때

→ 사람살이를 말할 때

→ 사람삶을 다룰 때

《한 줄도 좋다, 만화책》(김상혁, 테오리아, 2019) 69쪽


너희의 취미나 인간관계는 관심 없어

→ 너희 사이나 뭘 좋아하는지는 몰라

→ 너희들이나 뭘 즐기는지는 됐어

《교토 담배가게 요리코 5》(아사노 유키코/조아라 옮김, AK comics, 2020) 16쪽


인간관계의 핵심은 봐주는 겁니다

→ 사람살이는 봐주어야 합니다

→ 잘 지내려면 봐줍니다

→ 사람은 서로 봐주며 삽니다

《용수 스님의 사자》(용수, 스토리닷, 2021) 216쪽


인간관계는 말에서 시작해서 말로 끝난다

→ 사람은 말로 열어서 말로 끝난다

→ 사람살이는 말로 해서 말로 끝난다

《서른 살 청춘표류》(김달국·김동현, 더블:엔, 2021) 2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이치 理致


 자연의 이치 → 숲 / 숲결 / 숲살림

 이치에 맞다 → 동에 맞다 / 하늘에 맞다

 이치에 어긋나다 → 뜻에 어긋나다 / 길에 어긋나다

 이치를 따지다 → 길을 따지다 / 흐름을 따지다

 죄를 지으면 벌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 잘못하면 값을 치러 마땅하다


  ‘이치(理致)’는 “사물의 정당한 조리(條理). 또는 도리에 맞는 취지 ≒ 염도”를 가리킨다고 하는군요. ‘결·곬·길·동·뜻·턱’이나 ‘노릇·까닭·일’로 손질합니다. ‘흐름·소리·살림·한꽃’이나 ‘얼개·틀·뼈대’로 손질하지요. ‘바람·하늘·땅·숲’이나 ‘하다·되다·이다’로 손질할 만합니다. 때로는 그냥 털어낼 수 있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이치’를 셋 더 싣습니다만 모두 털어냅니다. ㅅㄴㄹ



이치(-齒) : 한자 부수의 하나

이치(二致) : 1. 두 가지 모양새 2. 둘이 합치되는 일. 또는 그 합치

이치(鯉幟) : [불교] 사월 초파일에 등대에 매다는 잉어 모양의 등



사물의 이치를 분별할 나이가 되면 학교교육을 통해서 그들의 세계관을 주입시킵니다

→ 둘레를 알아차릴 나이가 되면 배움터에서 그들 생각을 집어넣습니다

→ 삶을 헤아릴 나이가 되면 배움자리에서 그들 삶길을 들이붓습니다

《시와 혁명》(김남주, 나루, 1991) 29쪽


이상의 이치로 생각해 보면, 복수가 옳지 않음도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와 같이 생각해 보면, 앙갚음이 옳지 않은 줄도 알 수 있다

→ 이같이 생각해 보면, 되갚음이 옳지 않은 줄도 알 수 있다

→ 이러하게 생각해 보면, 앙갚음이 옳지 않은 줄도 헤아릴 수 있다

→ 이대로 생각해 보면, 되갚기가 옳지 않은 줄도 돌아볼 수 있다

《학문을 권함》(후쿠자와 유키치/엄창준·김경신 옮김, 지안사, 1993) 92쪽


평소 당연하게 여겼던 일일수록 흥미로운 이치가 존재하는 법이야

→ 늘 그러려니 여긴 일일수록 재미나게 마련이야

→ 흔하게 여긴 일일수록 재미나지

→ 여태 가볍게 여긴 일일수록 재미나단다

《필라멘트》(우루시바라 유키/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05) 214쪽


그건 너도 마찬가지야. 이치가 돌아가도록 허락해 줬잖아

→ 너도 마찬가지야. 뜻이 돌아가도록 해줬잖아

→ 너도 마찬가지야. 하늘이 돌아가도록 봐줬잖아

《충사 9》(우루시바라 유키/오경화 옮김, 대원씨아이, 2008) 235쪽


농부들이 잡곡 농사를 피하는 건 당연한 이치다

→ 논밭님이 고루알을 꺼릴 만하다

→ 흙지기가 두루알을 내칠 만하다

→ 흙일꾼이 온낟알 안 할 만하다

《유기농을 누가 망치는가》(백승우와 네 사람, 시금치, 2013) 154쪽


하늘의 이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거기에 따라 행동한다는 근신의 철학이다

→ 하늘뜻을 제대로 헤아리고 이에 따라 움직이며 삼간다는 넋이다

→ 하늘길을 제대로 살피고 이에 맞추며 꺼린다는 뜻이다

《고구마꽃이 피었습니다》(한도숙, 민중의소리, 2015) 62쪽


농사를 지으려면 세상과 삶의 이치를 알아야 합니다

→ 흙을 지으려면 온누리와 삶을 알아야 합니다

→ 땅을 지으려면 누리와 삶과 일을 알아야 합니다

《10대와 통하는 농사 이야기》(곽선미와 다섯 사람, 철수와영희, 2017) 98쪽


언젠가는 멸종하는 게 자연의 이치다

→ 언젠가는 사라지게 마련이다

→ 언젠가는 사라지는 노릇이다

→ 언젠가는 사라질밖에 없다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이정모, 바틀비, 2018) 67쪽


이것도 자연의 이치

→ 이 또한 숲 뜻

→ 이 또한 숲흐름

→ 이 또한 숲살림

→ 이 또한 숲결

《내 안의 자연인을 깨우는 법》(황경택, 가지, 2018) 16쪽


그것은 어떻게 할 수 없는 자연의 이치일 것이다

→ 숲빛은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다

→ 우리는 숲을 함부로 바꿀 수 없다

→ 사람은 숲을 섣불리 손댈 수 없다

《고양이를 쓰다》(나쓰메 소세키 외/박성민·송승현 옮김, 시와서, 2018) 41쪽


너는 달리기를 함으로써, 상식도 이치도, 윤리도, 말조차도 뛰어넘은 무언가를 전했으니까

→ 너는 달리기를 하면서, 틀도 까닭도 길도 말조차도 뛰어넘어 빛을 냈으니까

→ 너는 달리면서, 앎도 바람도 곧음도 말조차도 뛰어넘어 마음을 들려줬으니까

《카나타 달리다 6》(타카하시 신/이상은 옮김, 학산문화사, 2020) 167쪽


형씨, 세상은 그렇게 이치에 맞는 일만 있는 게 아니야

→ 어이, 삶은 그렇게 맞는 일만 있지 않아

→ 이봐, 삶은 그렇게 틀에 맞지만은 않아

《흑철+ 2》(토우메 케이/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1) 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