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나의 봄 2
Takeru ATSUMI 지음, 오경화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6.29.

책으로 삶읽기 1023


《작은 나의 봄 2》

 아츠미 타케루

 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7.30.



《작은 나의 봄 2》(아츠미 타케루/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을 돌아본다. 작은아이가 작은몸으로 작은길을 걸어가면서 작은꿈을 작은씨로 심어서 작은빛으로 일구는 하루를 차분히 들려주는 줄거리이다. 모든 사람은 다르고, 모든 풀과 나무는 다르다. 해바라기나 모시처럼 껑충껑충 솟는 풀꽃이 있다면, 민들레나 꽃다지나 토끼풀처럼 나즈막이 어울리는 풀꽃이 있다. 더 나은 풀꽃이 없고, 더 나쁜 풀꽃이 없다. 저마다 스스로 피어나는 꽃길을 바라보면서 비바람길을 받아들이는 삶이다. 얼핏 보면 봄 같지 않을 수 있지만, 작은아이한테는 작은봄이다. 그렇다면 큰아이한테는 큰봄일까? 아니다. 큰아이한테도 작은봄이다. 큰아이한테도 작은길이요 작은씨앗이다. 두 아이는 다른 몸이기에 다른 마음이지만, 나란히 바라보고 함께 걸어가는 숨빛으로 만난다. 겉모습이 아닌 속마음을 들여다보려는 눈망울이기에 손을 맞잡고 어깨동무를 한다.



‘설령 이번 일이 잘못이었다는 걸 깨달았다 해도, 나는 앞으로 단 한 번도 실수를 저지르지 않고 살 수 있을까?’ (51쪽)


‘나는 사람들이 결과밖에 봐주지 않는 것이 못 견디게 싫었던 주제에, 그 누구보다도 결과에 집착하고 있었다는걸.’ (111쪽)


‘최고다! 지는 것 최고. 공 걷어내지는 것 최고.’ (115쪽)


#小さい僕の春 #渥美駿


+


특히나 남학생들한테는 동경의 대상이다

→ 더구나 머스마들이 바라본다

→ 게다가 사내들이 좋아한다

5쪽


넌더리가 날 정도의 열량이었다고 한다

→ 넌더리가 날 만한 볕살이었다고 한다

→ 넌더리가 날 듯한 불살이었다고 한다

74쪽


난 타고난 재능이라는 어드밴티지를 갖고도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것으로부터 도망치고

→ 난 남보다 타고난 재주가 있어도 내 바닥을 알면서 내빼고

→ 난 타고난 솜씨가 더 있지만 내 담벼락을 알면서 달아나고

112쪽


성실하게 생긴 외모를 갖고 있지만

→ 참하게 생긴 얼굴이지만

→ 반듯하게 생겼지만

121쪽


벌써 이렇게나 팀을 통솔하고 있다니

→ 벌써 이렇게나 모두를 이끌다니

→ 벌써 이렇게나 모임을 꾸리다니

15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날씨 맑음 4
요시무라 요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6.17.

책으로 삶읽기 1022


《오늘 날씨 맑음 4》

 요시무라 요시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4.9.15.



《오늘 날씨 맑음 4》(요시무라 요시/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4)을 먼저 읽고서 앞걸음으로 거슬러 읽는다. 처음 한글판이 나올 무렵에 놓친 그림꽃을 곧잘 복판이나 끝부터 뒤집어서 읽어 보는데, 첫걸음부터 읽든 끝걸음부터 읽든, 아름답게 되새길 줄거리라면 어떻게 읽어도 아름답더라. 왜 그러한가 하면, 그림꽃은 둘이건 다섯이건 열이건 서른이건 쉰이건, 낱자락 하나로 이미 줄거리를 매듭짓는 얼거리로 태어난다. 앞뒤 줄거리를 더 짚으면 더 깊넓게 새길 수 있기도 하되, 꼭 앞뒤 줄거리를 모르더라도 사이 하나를 읽고도 즐길 수 있다고 할 만하다. 비가 주룩주룩 내리기에 얼핏 보면 흐른날이요, 흐린날이라서 흐린마음일 수 있다. 그런데 비날이어도 맑은마음일 수 있다. 거꾸로 맑은날이지만 맑은마음이 아닌 흐린마음일 수 있다. 스스로 마음을 맑게 돌보면, 바깥이 어떤 날씨이든 오붓하면서 맑게 하루를 짓는 보금자리를 이룬다. 스스로 마음을 흐리게 팽개치면, 바깥이 어떤 날씨이든 언제나 헤매고 어지러우면서 흐리멍덩하게 뒹군다.


ㅍㄹㄴ


“너무 선을 넘진 마. 아무리 여고생이라도 그러면 수상한 사람 취급 당할걸.” “범죄처럼 말하지 마―. 장래 멋진 여자가 되려면 멋진 여자를 연구해야지.” (10쪽)


“호타루는 자기가 화가 나 있으니까, 남들도 화나게 하고 싶은 거야?” (50쪽)


“무슨 일이 있어도 내년 봄이 지나면 학교에 다닐게. 학교에서 친구도 사귈게. 그때까진 계속 할아버지랑 같이 있을래.” (151쪽)


#晴れ晴れ日和 #吉村佳


+


모르는 사람한테 개인정보를 가르쳐 주면 안 돼

→ 모르는 사람한테 내 얘기를 가르쳐 주면 안 돼

→ 모르는 사람한테 나를 가르쳐 주면 안 돼

23쪽


그보다 어제 미소녀 덕질 해야지

→ 그보다 어제 꽃순이 목매야지

→ 그보다 어제 꽃님 바라기해야지

26쪽


표지 레터링 오래 걸렸어

→ 겉종이 글 오래 걸렸어

→ 겉글씨 오래 걸렸어

→ 겉그림 글꽃 오래 걸렸어

34쪽


오늘은 오후에 반차를 냈으니까 시간 맞춰 갈 수 있어

→ 오늘은 낮에 나절쉼을 냈으니까 때맞춰 갈 수 있어

→ 오늘은 낮에 사잇쉼을 냈으니까 맞춰서 갈 수 있어

84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날씨 맑음 2
요시무라 요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6.13.

만화책시렁 756


《오늘 날씨 맑음 2》

 요시무라 요시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3.15.



  비가 내리니 비날입니다. 해가 환하니 해날입니다. 구름이 짙어서 구름날입니다. 날씨는 언제나 새롭습니다. 비가 오든 해가 나든 구름이 끼든 늘 달라요. 똑같이 흐르는 하루는 없습니다. 《오늘 날씨 맑음 2》을 읽으면 두 아이가 한집을 이루면서 맞물리는 살림길을 들려줍니다. 한 사람은 나이가 많되 아이다운 빛이요, 한 사람은 나이가 적되 어른스런 빛입니다. 둘은 서로 다르지만 하나인 마음으로 오순도순 지내고, 이러한 마음씨가 둘레에 풀씨처럼 푸르게 퍼집니다. 꼭 이렇게 해야 하지 않고, 굳이 저렇게 가야 하지 않습니다. 서로 그날그날 다르면서 새롭게 나아가기에 즐겁습니다. 나이가 더 있기에 나잇값을 해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국민·시민’이 아닌 ‘사람’입니다. 사람으로서 사람이라는 빛을 펴면서 살림을 하는 삶입니다. 이름에 허울을 붙이면 이름을 잊다가 잃습니다. 이름을 그대로 마주하면서 품을 때에, 서로 이야기를 하면서 마음을 잇습니다. 나이가 아닌 철을 익히는 사람이기에 집부터 오붓하고 즐거워요. 집부터 느긋하고 아늑하기에 마을과 나라가 아름답습니다. 언제나 ‘우리집’부터 바라보면 됩니다. ‘우리집’이란 나 하나만 살더라도, 나랑 집을 나란히, 나랑 바람과 살림을 함께 아우르는 이름입니다.


ㅍㄹㄴ


“치하루 요리에 담겨 있는 치하루의 사랑은 무엇보다 맛있어.” (78쪽)


“고자질이 뭐야?” “이르지 말라고.” “나쁜 짓이라고 생각해?” “…….” (82쪽)


“사토는 딱히 동생 때문에 화가 난 게 아니라, 사토의 말을 듣지 않는 엄마가 싫은 거 아닐까, 라는 정도야.” “내가 그렇게 마구 욕을 했는데.” “엄마 얘길 할 때 목소리가 달라졌거든.” (97쪽)


“루이 옆에 치하루가 있는데, 쓸데없는 시간 따위 한순간도 없어.” (109쪽)


#晴れ晴れ日和 #吉村佳


+


《오늘 날씨 맑음 2》(요시무라 요시/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


나중에 곤란하지 않도록 혼영까지 가르쳐 줬어

→ 나중에 힘들지 않도록 여러헤엄 가르쳐 줬어

→ 나중에 어렵지 않도록 섞는헤엄 가르쳐 줬어

39쪽


치하루 요리에 담겨 있는 치하루의 사랑은 무엇보다 맛있어

→ 치하루 밥에 담긴 치하루 사랑은 무엇보다 맛있어

78쪽


“고자질이 뭐야?” “이르지 말라고.”

→ “이름질이 뭐야?” “이르지 말라고.”

→ “찌르기가 뭐야?” “이르지 말라고.”

8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양보다 눈부신 별 1
카와하라 카즈네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6.9.

만화책시렁 754


《태양보다 눈부신 별 1》

 카와하라 카즈네

 정효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2.12.15.



  누구를 좋아하고 보면, 문득 ‘나’를 낮추면서 ‘좋아하는 그사람’을 높이곤 합니다. 나를 낮춰야 할 까닭도, 그사람을 높여야 할 까닭도 없습니다. 우리는 모두 나란한 사이인걸요. “좋아해 주어야” 하지 않습니다. 좋아하다 보면 그만 싫어하거나 미워하게 마련일 뿐 아니라, 좋아하는 한 사람이나 몇 사람을 뺀 다른 모든 사람을 등지거나 내치는 굴레로 사로잡혀요. 《태양보다 눈부신 별》은 풋풋한 두 아이를 그리는 듯합니다. 좋게좋게 바라보며 다가서려는 마음을 그리는구나 싶습니다. 그런데 누가 나를 좋아해 주기를 바란다거나, 내가 누구를 좋아하려는 길에 서려고 하면, 으레 엇갈리기도 하지만, 마음을 잘못 짚기까지 합니다. 이런 말을 하거나 저렇게 굴면 나를 싫어하거나 미워하지 않을까 하고 걱정하지요. 그사람이 좋아해 줄 만한 대로 나를 할퀴거나 깎거나 억누르기까지 하고요. 이러한 하루는 풋풋하게 피어나는 길하고 멀어요. 오히려 갉으면서 다칩니다. “같이 있고 싶어”라든지 “만져 보고 싶어”라는 얼거리가 아닌, “함께 새롭게 지을 살림”을 바라보는 하루일 적에 ‘좋음’을 넘어서 비로소 ‘사랑’일 수 있습니다.


ㅍㄹㄴ


“이와타는, 초등학교 때 장애물 경주에서도 나중에 온 애한테 길을 양보했었지.” (40쪽)


‘하지만 이루어지지 않으니까 좋아해선 안 된다는 그런 규칙은 어디에도 없었어.’ (65쪽)


‘아무리 눈부셔도 눈을 피하지 않을 거야.’ (114쪽)


#河原和音 #太陽よりも眩しい星


+


《태양보다 눈부신 별 1》(카와하라 카즈네/정효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2)


나만의 최애가 갑자기 인기가 생기거나

→ 내 꽃이 갑자기 눈길을 받거나

→ 내 빛둥이가 갑자기 사랑받거나

23쪽


카미시로는 다혈질일까

→ 카미시로는 타오를까

→ 카미시로는 피가 끓나

→ 카미시로는 끓어오르나

110쪽


연식이 느껴진다

→ 나이를 느껴

→ 해를 느껴

159쪽


카미시로를 본 여자애들의 주가가 폭등했어

→ 카미시로를 본 순이는 눈금이 치솟았어

→ 카미시로를 본 가시내는 그루값이 뛰었어

188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노자키 군의 정비 사정 1
부리오 미치루 지음, 김명은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6.6.

책으로 삶읽기 1021


《시노자키 군의 정비 사정 1》

 부리오 미치루

 김명은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9.30.



《시노자키 군의 정비 사정 1》(부리오 미치루/김명은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를 읽고서 어느새 열걸음까지 달렸다. 푸름이하고 나란히 읽을 만한 그림꽃 가운데 하나로 꼽을 만하다고 본다. 살짝살짝 옆길로 빠지는가 싶기도 하되, 차분히 삶길로 돌아와서 뚜벅뚜벅 걸어가는 얼거리를 잇는다고 느낀다. 우리는 ‘몸’으로 삶을 누리면서 배운다. 우리는 ‘마음’으로 사랑을 바라보면서 익힌다. 몸마음을 나란히 아우르기에 ‘사람’이라는 이름이다. 몸으로만 치달리면 머저리이다. 마음으로만 고이면 곪는다. 몸을 틔우고 마음을 열면서 한 걸음씩 나아가기에 ‘살림’을 짓는 하루를 일군다.


ㅍㄹㄴ


“잠깐만 기다려 줘, 죽고 싶지 않아. 아직 죽을 수는 없어! 가족이, 가족이 없어! 아니, 본가에 가면 있지만, 나한테는 지켜야 할 가족이 생길 거야, 앞으로! 결혼도 앞으로 할 거고! 소박하지만 행복판 프러포즈도 할 건데, 그러려면 일단 여러 곳에서 데이트를 하며 친해져야 하잖아. 그리고 또 뭐냐, 감기 걸렸을 때 간병하러 와줘서 또 다시 반하기도 해야 하고, 그리고 또!” (28쪽)


“그럼 저도 칭찬할게요. 시노자키 군은 매일 순순히 정비를 받으러 오다니, 대단해요.” (96쪽)


#篠崎くんのメンテ事情 #?尾みちる


+


매직미러 같은 거야?

→ 바깥거울 같아?

→ 한쪽거울 같아?

60쪽


완∼전 엄청나

→ 아주 엄청나

→ 그저 엄청나

60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