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Zearth[지어스] 완전판 5
키토 모히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15.

만화책시렁 753


《지어스 5》

 키모 모히로

 최윤선 옮김

 대원씨아이

 2006.12.15.



  누구나 ‘살려’고 무슨 일이든 합니다. 그런데 “나만 잘먹고 잘살”려고 붓을 쥘 적에는 사람들한테 거짓바람을 일으키는 짓입니다. 지난날 일본허수아비나 이승만·박정희·전두환한테 빌붙어 “내내 잘먹고 잘살”려고 붓을 이은 사람들은, 참으로 불쌍하고 안쓰럽기만 합니다. 그런데 적잖은 사람들은 “그저 먹고살려고”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남이나 이웃을 죽이는 짓도 서슴지 않습니다. “내가 살려면 어쩔 길이 없다”는 핑계를 붙여요. 이제는 이런 짓을 멈추거나 끝낼 때라고 느껴요. “내가 살아남으려고 남을 죽이”면, “내가 죽은 사람한테서 씨앗을 이어받은 아이들이 머잖아 나를 죽여서 앙갚음을 할” 테고, 이윽고 “나한테서 씨앗을 이어받은 아이들이 새롭게 앙갚음하려고 그 아이들을 찾아갈” 테지요. 《지어스 5》을 곰곰이 읽습니다. 삶죽음 사이를 잇는 길을 지켜보는 아이들 손바닥을 돌아보는 줄거리입니다. 이제 열너덧 살에 이른 아이들 손바닥에 따라서 별 하나가 살아남거나 사라진다지요. 나라를 이룬 어른들은 총칼로만 놈(적군)을 물리쳐야 한다고 여깁니다. ‘삶’이 아닌 ‘살아남기’만 쳐다보는 어른들은 아이들이 묻는 “왜 살아요?”나 “왜 죽여요?” 같은 말에 제대로 대꾸를 못 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스스로 묻고 길을 찾아나섭니다. ‘남으려는 삶’이 아닌 ‘살다가 떠나는 나’를 바라볼 뿐 아니라, ‘나(아이)를 잇는 아이(씨앗)’를 바라본다지요.


ㅍㄹㄴ


‘넌 어떻게 성장할까. 어떤 인생을 보내게 될까.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하고, 화도 내면서, 내가 겪어 보지 못한 여러 가지 일들을 체험하면서, 좌절할 때도 있을지 몰라. 힘들 때도 있을지 몰라. 그래도 네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감사의 마음을 잊어선 안 돼. 널 이렇게나 소중히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다는 걸―.’ (91쪽)


‘또 다른 지구. 또 다른 우리들. 그건 적인 걸까. 그걸 희생시키면서까지 우리들의 이 지구는 존속할 가치가 있는 존재일까?’ (196쪽)


#ぼくらの #鬼頭莫宏 #きとうもひろ


+


《지어스 5》(키모 모히로/최윤선 옮김, 대원씨아이, 2006)


순간의 승기(勝機)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거야

→ 문득 오름결을 이룰 수 있어

→ 살짝 오름길을 탈 수 있어

15쪽


그 엉덩이라면 남자들 뇌쇄시키고도 남아

→ 그 엉덩이라면 사내들 녹이고도 남아

→ 그 엉덩이라면 사내들 사로잡고도 남아

82쪽


널 이렇게나 소중히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다는 걸―

→ 널 이렇게나 고이 생각하는 사람이 있은 줄

→ 널 이렇게나 사랑하는 사람이 있은 줄

91쪽


식목의 전정(剪定) 같은 거라고 보면 돼

→ 가지치기 같다고 보면 돼

→ 가지를 끊는다고 보면 돼

145쪽


그건 적인 걸까. 그걸 희생시키면서까지 우리들의 이 지구는 존속할 가치가 있는 존재일까

→ 그쪽은 몹쓸놈인가. 그쪽을 죽이면서까지 우리별은 이어갈 값어치가 있을까

→ 그사람은 나쁜가. 그사람을 없애면서까지 우리별은 살아갈 만할까

196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14.

만화책시렁 751


《학교 선생님 4》

 스야마 신야

 허강미 옮김

 학산문화사

 2012.12.25.



  모든 아이는 “어버이가 가르치는 품에서 즐겁게 배우려고 태어납”니다. 사람은 이 별에 처음 깃든 날부터 한결같이 “어버이가 아이하고 함께 살림을 지으면서 사랑을 이루고 함께 익히는 나날”을 이었습니다. 임금과 벼슬아치와 나리는 따로 길잡이를 두고서 이녁 아이를 가르치라 했으나, 들숲메바다에 깃들어 수수하게 살아가는 모든 사람은 어버이 스스로 아이를 가르쳤습니다. 오늘날 ‘너른마당(공교육)’은 페스탈로치란 분이 기틀을 잡았고, “나라가 일으킨 싸움 탓에 어버이를 잃은 외로운 아이를 맡는 터전”으로 열었습니다. “어버이 있는 아이”를 받을 까닭이 없던 너른마당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이 나라를 보면, “낳는 어버이만 보이되 돌보는 어버이는 안 보이는 판”입니다.


  《학교 선생님 4》을 읽었습니다. ‘길잡이(학교 선생님)’도 다른 누구하고 똑같이 ‘일하고 나서는 놀거나 쉬고픈 사람’이라는 대목을 나긋나긋 들려주는 줄거리입니다. 판끊긴 그림꽃을 2025년 5월에 늦게 읽었는데, 마침 5월 13일에 ‘주호민·한수자 아동학대 2심판결’이 나왔습니다. 누가 누구를 괴롭힌 일인지 똑똑히 볼 일입니다. 아이는 모름지기 어버이가 스스로 맡을 일입니다. 스스로 못 맡는 아이를 남한테 맡기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제대로 살필 일입니다. 잘잘못을 다 받아들일 줄 알아야 ‘어른’입니다.


  2022년 9월 5일에 ‘주호민·한수자 아들’이 벌인 일을 ‘학교폭력’으로 제대로 다스리는 틀을 나라(정부·학교)가 똑바로 세웠으면, 벌써 네 해째에 이르는 고단한 ‘법원 판결’까지 올 일이 없습니다. 모든 아이는 집에서 하는 대로 배움터에서 하고, 배움터에서 하는 대로 집에서 합니다. 아이를 다독이며 가르칠 몫은 누구보다도 어버이입니다. 이 대목을 잊은 채 모두 길잡이한테 떠맡기기만 한다면, 바로 아이들이 가장 괴롭고 고단하며 슬픕니다.


ㅍㄹㄴ


“하지만 이런 날에 여자 둘이, 특정한 상대가 없다고, 주위에 어필하는 거나 마찬가지잖아요?” (11쪽)


“가계를 압박하는 건 너희들이야! 강제 참가다!” “뭐∼? 싫어∼.” “그렇다면 앞으로 너희 밥은 더 이상 안 할 거야.” (35쪽)


“정말 대단해요. 요리를 못 하면서 인기가 있다니! 역시 스승님이에요!” (174쪽)


#學校のせんせい #学校のせんせい #巣山真也

https://www.amazon.co.jp/s?k=%E5%B7%A3%E5%B1%B1%E7%9C%9F%E4%B9%9F&i=stripbooks&crid=2XA0P7DVB4DYJ&sprefix=%E5%B7%A3%E5%B1%B1%E7%9C%9F%E4%B9%9F%2Cstripbooks%2C324&ref=nb_sb_noss


+


《학교 선생님 4》(스야마 신야/허강미 옮김, 학산문화사, 2012)


내 목적은 긴타 군 인형을 GET하는 거예요

→ 나는 긴타 꼬마를 얻으려 해요

→ 나는 긴타 귀염이를 낚으려 해요

6쪽


놀이동산 내에서만 한정판매 한다고요

→ 놀이동산에서만 한줌장사라고요

→ 놀이동산에서만 작은팔이라고요

→ 놀이동산에서만 드문팔이라고요

7쪽


새해부터 가정폭력 당했어

→ 새해부터 집주먹이야

→ 새해부터 손찌검이야

→ 새해부터 휘갈겨

28쪽


세 사람치 세금, 광열비, 식비

→ 세 사람 낛, 불삯, 밥값

34쪽


자, 잠깐 타임!

→ 저, 저기 짬!

→ 아, 저기 참!

39쪽


나처럼 독서를 해서 견식을 넓히거나

→ 나처럼 읽으면서 눈을 넓히거나

→ 나처럼 책읽기로 생각을 넓히거나

→ 나처럼 책으로 널리 알아가거나

55쪽


개가 본능대로 덤벼들면, 설령 소형견이어도

→ 개가 문득 덤벼들면, 아무리 작은개여도

→ 개가 바로 덤벼들면, 제아무리 작아도

7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둥지 안의 작은 행복 - 삶을 이끄는 누군가 있다는 것 박시백이 그리는 삶과 세상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12.

만화책시렁 744


《둥지 안의 작은 행복》

 박시백

 휴머니스트

 2014.4.7.



  《둥지 안의 작은 행복》은 박시백 씨가 아직 〈한겨레〉에 그림을 싣던 때에 일군 이야기입니다. 처음 이 그림을 실을 무렵에는 ‘작고 수수한 삶’을 그린다고 여겼습니다. 2014년에 낱권으로 나온 뒤에 다시 읽으면서, 또 2025년에 문득 뒤적여서 넘기는 동안, ‘남한테는 작고 수수하게 살라’고 읊되, ‘그들끼리’는 ‘서울 한복판 비싼 잿집과 높자리’를 거머쥔 길을 갔구나 하고 느낍니다. 나라지기가 되겠노라 나서는 이를 보면, 환하게 드러낸 돈이 14억에 25억에 30억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이런 돈을 모을 수 있을까요? 돈을 이만큼 모으면서 이웃하고 나누는 길은 얼마나 걸었을까요? 한 채에 10억이 넘든 5억이 넘는 잿집에서 산다면, 이 엄청난 집값에 손가락을 떨어야 하지 않나요? 작고 수수한 살림집으로 옮겨서 밭을 일구고 나무를 돌보아야 하지 않나요? 돈은 돈대로 거느리면서, 이름은 이름대로 날리고, 힘은 힘대로 부리는 그들로서는 ‘작은기쁨’도 ‘작은살림’도 아닌, 허울좋은 목소리와 입발린 목소리만 욀밖에 없다고 느낍니다. ‘탈레반’은 ‘평화’를 바라지 않을 뿐 아니라, 순이를 엄청나게 깎아내리고 괴롭힙니다. 총을 든 평화란 터무니없는 소리입니다. ‘말랄라 유사프자이’라는 아이가 나타나지 않았어도 이미 ‘총을 든 탈레반’이 어떤 짓을 했는지 제법 알려졌습니다. 박시백 씨는 왜 이런 이야기에는 귀를 닫을까요? 아니, 《이재명의 길》을 그렸으니, 처음부터 ‘둥지살림’하고는 등돌린 이름길을 달렸다고 해야 맞다고 느낍니다.


ㅍㄹㄴ


‘재산은 별로 없지만 큰 부채도 없고 오손도손 모두가 건강한 가족들이 있는 오늘이 좋다.’ (37쪽)


“방송이 온통 미국 쪽 정보뿐이니 제대로 판단하기가 힘들잖아.” “이 책을 읽어 봐. 라덴이나 탈레반 쪽에 대한 정보들이 꽤 많아.” “이 책도 미국 측 시각에서 쓰인 책이네 뭐.” “그렇긴 하지만 정보는 풍부하니까 80년대 신문 보던 방법으로 읽으면 쓸 만해.” (75쪽)


‘자율학습 시간은 말 그대로 자율학습 시간이다. 필요한 정보들이 강물처럼 흐르는!!’ (26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쩌면, 나의 이야기 - 만화로 보는 일상 속 성폭력과 성차별 / 우리 안의 여성에 대한 잘못된 시각
토마 마티외.씨냉 지음 / 여성신문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6.

만화책시렁 749


《어쩌면, 나의 이야기》

 토마 마티외·씨냉

 여성신문사

 2018.3.



  “사내들은 왜 이리 말을 못 알아들을까?” 하고 말하는 분이 많습니다. 속이 좁은 탓입니다. 곧이곧대로 말하면 버럭거리기 일쑤이고, 돌려말하면 속뜻을 읽으려 하지 않으니까요. 다만 모든 사내가 처음부터 속이 좁지 않았어요. 먼나라 꼭두(교황)를 뽑는 자리를 보듯, 임금과 벼슬아치는 처음부터 ‘사내밭’입니다. 집과 아이를 팽개친 채 힘·돈·이름을 거머잡으려는 굴레에 사로잡히거나 뛰어드는 사내가 제 넋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집밥옷을 손수 가꾸고 지으면서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돌보려는 사내가 적잖았고, 참하게 속깊은 말을 들려주는 가시내 곁에서 차근차근 배우고 익히는 길을 걸었기에 푸른별이 아직 멀쩡하다고 느껴요. 《어쩌면, 나의 이야기》는 ‘속좁은 사내’가 일으키는 여러 말썽과 사달과 잘못이 무엇인지 몇 가지 보기로 들려줍니다. 모든 이야기를 작은 꾸러미에 담지는 못 하되, 이 몇 가지부터 차분히 되새기면서 “서로 더 오래 더 자주 만나서 이야기를 해야” 속말을 알아듣고 마음말을 나누면서 사랑말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사내는 가시내한테 더 귀를 기울이면서 말을 들어야 합니다. 가시내는 사내한테 더 차근차근 말을 들려주어야 합니다. 하루 한나절(4시간)은 오직 이야기만 하면서 마음과 눈길과 살림을 가다듬을 때라야, 비로소 어깨동무하는 새길을 되찾으리라 봅니다.


ㅍㄹㄴ


세상이 진정 바뀌려면 피해자들의 ‘미투’만으로는 부족하다. 우리들 모든 주변인들의 통렬한 자기반성이 필요하다. ‘미투’를 넘어선 ‘아임쏘리’가 돼야 마땅하다. (38쪽)


‘정말 너로부터, 주변 사람들로부터 책임질 당하면 어쩌지. 그리고 왜 그걸 네가 선심 쓰듯 말하고 나는 죄 지은 듯 앉아 있어야 하지?’ (71쪽)


‘그들은 마구 꺼내어 소비한다. 내 것을 내 허락도 없이 누리는 사람이 따로 있다면 내 것이 내 것이라 할 수 있을까?’ (95쪽)


“좀 알아듣기 쉽게 곧이곧대로 말하면 서로 좋잖아.” ‘망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군. 곧이곧대로 말하면 곧이곧대로 말해서 싫어할 거면서.’ (101쪽)


나는, 세상은, 변할 수 있을까? (131쪽)


한꺼번에 많은 것을 해내지 못한다며 자책하지 않을 것이다. 스스로를 몰아붙이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다. (146쪽)


+


《어쩌면, 나의 이야기》(토마 마티외·씨냉, 여성신문사, 2018)


장녀로서 동생들을 잘 보살피고

→ 맏딸로서 동생을 보살피고

→ 맏이로서 동생을 잘 보고

10


정말 너로부터, 주변 사람들로부터 책임질 당하면 어쩌지

→ 참말 네가, 남들이 맡는다고 나서면 어쩌지

→ 참말 너나 둘레에서 맡겠다고 나서면 어쩌지

→ 참으로 너나 남이 억지로 맡으면 어쩌지

71


누군가가 태어나는걸 일이 잘못된 것의 결과로 만들고 싶지도 않다고

→ 누가 태어나는데 일을 잘못한 탓으로 돌리고 싶지도 않다고

→ 살을 잘못 섞어서 아기가 태어나면 싫다고

→ 짝을 잘못 맺어서 아기가 태어나면 싫다고

71


망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군

→ 바보 나래를 펼치는군

→ 덜떨어진 꿈을 펼치는군

101


나의 거리 위에서 나의 보폭으로 계속 걸을 것입니다

→ 내가 설 거리에서 내 걸음으로 꾸준히 가겠습니다

→ 내가 살 거리에서 늘 내 다리로 걸어가겠습니다

→ 내 삶을 언제나 내 걸음으로 나아가겠습니다

165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떻게든 되지 않아! 1
노하라 타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6.

만화책시렁 748


《어떻게든 되지 않아! 1》

 노하라 타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5.3.25.



  어떻게든 되는 일이란 없고, 아무렇게나 둘 만한 일도 없습니다. 큰일과 작은일 모두 마음을 기울일 노릇입니다. 바깥일과 집일 다 건사할 적에 느긋하면서 즐겁습니다. 아이가 개미를 지켜보는 하루도 놀라운 일이지만, 요사이는 큰고장에서 개미를 만나기 어렵습니다. 어른이 나무를 베어 장작을 패거나 깎는 손놀림도 대단한 일이지만, 이제는 도끼를 쥐어 본 어른이 거의 없다고 할 만합니다. 일은 잊은 채 바쁘게 몰아치는 얼개이지 않나요. 일이 아닌 돈을 버는 자리에 있지 않나요. 일하고 살림하고 놀이하다가 쉬면서 늘 아이곁에 있는 하루가 아닌, 돈에 맞추어서 움직이는 쳇바퀴지 않나요. 《어떻게든 되지 않아!》 첫걸음을 읽습니다. 앞으로 두걸음에 석걸음도 읽으며 살펴야겠는데, 집일에 마음을 못 쏟는 사이에 훌쩍 자란 딸아이하고 어떻게 마음을 나누어야 할는지 모르는 아버지가 나오는 줄거리입니다. 딸아이는 어느 날 별빛(사이킥)을 터뜨립니다. 어찌 다스려야 할는지 모를 빛살이지만, 스스로 눈부실 수 있는 줄 느끼면서 새몸으로 거듭난다고 여겨요. 다만, 아이도 어버이도 서로 잇는 길을 영 모르는데, 언제나 가장 수수한 말씨 한 톨로 이야기를 할 적에 마음부터 이으면서 생각을 추스르게 마련입니다.


ㅍㄹㄴ


‘돌이켜보면 나는 너를 늘 놓치기만 한 것 같다. 일에 쫓기는 나날 속에서 너는 무럭무럭 자라, 내가 모르는 부분만 늘어나고.’ (31쪽)


‘그래도 얘는 순간이동으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데 돌아갈 곳은 없다는 건가?’ (85쪽)


“그래, 아저씨도 사이킥이구나?” “그럴 리가 있나! 소박한 가정을 가진 지극히 일반적인 아빠일 뿐이야!” (131쪽)


#なんくるなんない #野原多央


+


《어떻게든 되지 않아! 1》(노하라 타오/서현아 옮김,학산문화사, 2025)


일에 쫓기는 나날 속에서

→ 일에 쫓기는 나날이라

→ 일에 쫓기면서

31쪽


순간이동으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데 돌아갈 곳은 없다는 건가

→ 휙 어디든지 갈 수 있는데 돌아갈 곳은 없다는 말인가

→ 바로 어디든지 갈 수 있는데 돌아갈 곳은 없는가

85쪽


사이킥은 치외법권이라도 되나?

→ 너머꽃은 눈감아도 되나?

→ 별님은 봐주도 되나?

→ 별잡이는 담밖이라도 되나?

13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