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16. 앉기보다는



  오늘 고흥군 과역초등학교로 왔다. 아침부터 낮 사이에 넉 자락으로 이야기꽃을 편다. 글을 쓰는 길이란 무엇인가 하는 수수께끼를 가만히 짚으면서, 누구나 노래님이고 저마다 말씨를 마음밭에 심어서 말꽃을 피운다는 줄거리를 풀어낸다. 열 살 어린이한테는 ‘별’이라는 낱말로, 열한 살 어린이한테는 ‘눈’이라는 낱말로 하나둘 들려준다.


  과역초 앞마당에는 멀구슬나무가 있더라. 열 살 어린이는 나무이름을 모르고 열한 살 어린이는 다 안다. 다만 이름을 알되 쓰임새랑 이름뜻은 모른다.


  모르면 모르는 줄 받아들이면서 배운다. 모르는 줄 안 받아들이면 누가 찬찬히 짚어 주어도 언제까지나 그저 모르는 채 산다. 모른다고 대수롭지 않되, 새길을 가려는 배움씨앗을 심지 않으면, 이러한 삶은 굴레이자 쳇바퀴이다.


  “난 몰라요!”는 알을 깨려는 첫발이다. “난 모르니 배울래요!”는 살림을 짓는 두발이다. 첫발로 그치면 다시 수렁이고, 바야흐로 잇는 두발부터 모든 하루가 노래로 피어난다. 이리하여 노래(시)란 말만들기나 말꾸미기일 수 없다. 노래란 삶노래 너머 살림노래에 사랑노래이고 숲노래이자 사람노래이다.


  아이어른이 함께 노래님으로 서며 만나는 하루를 그린다. 너랑 나는 말동무이고 노래이웃이다. 나랑 너는 놀이지기이자 사랑님이다. 하루 내내 서서 이야기한다. 우리 집으로 돌아가는 시골버스를 타며 비로소 자리에 앉는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11. 죽어가는 네이버·다음



  우리나라 누리길 가운데 하나인 ‘네이버’하고 ‘다음’은 죽어간다. 왜 죽어가겠는가? 이들은 돈에 눈멀어 죽어간다. 뒷돈과 뒷힘을 부리려고 하던 숱한 벼슬아치가 죽어간다. 이들은 왜 죽어갈까? 이놈이건 저놈이건 똑같이 “그렇게 커다란 돈과 힘과 이름을 움켜쥐었는데에도, 그 어마어마한 돈과 힘과 이름으로도 성에 안 차서 더 돈과 힘과 이름을 싹쓸이하려고 나대”면서 죽어간다.


  오래오래 즐겁게 살면서 돈을 넉넉히 버는 이라면, 그만큼 이웃한테 돈을 잘 쓴다. 언제까지나 웃고 노래하며 살림하면서 힘이 센 이라면, 언제나 힘을 기꺼이 둘레에 나누어 가난집하고 동무한다. 아름답게 이름이 남는 이라면, 제 이름을 혼자 자랑하지 않고서 늘 작은집과 작은숲을 품으면서 아이 곁에 선다.


  누리길 ‘다음’은 “돈이 안 될 만한 길”을 일찌감치 접고서 멈추면서 스스로 죽어갔다. “돈이 될 만한 길”에 힘을 쏟아부으며 스스로 죽어갔다. 2024년 12월 11일에 ‘네이버’는 ‘네이버 포스트’를 이제 멈추고 없앤다고 알린다. 이에 앞서 ‘네이버책’이나 ‘네이버영화’도 없애다시피 했다. 생각해 보자. ‘포스트·책·영화’를 건사하는 데에 드는 돈은 얼마일까? ‘페이·쇼핑’을 비롯한 여러 가지로 벌어들이는 돈에 대면 티끌만큼도 아닐 텐데, 이런 ‘포스트·책·영화’를 없애며 네이버에 얼마나 돈으로 이바지할까?


  윤석열 씨는 그냥그냥 우두머리 자리를 버티었어도 몇 해 뒤에 사슬터(감옥)로 붙잡힐 몸이었으나, 고개숙이면서 미리 값을 치르기보다는, 판을 갈아엎어서 버티려고 하면서 스스로 일찌감치 골로 가는, 죽어가는 길을 골랐다. 네이버가 2024년에 ‘네이버포스트’를 없애겠다고 밝힌 길이란, 스스로 죽어가는 여러 길 가운데 하나이다. 네이버는 진작부터 ‘블로그·카페’에 온힘을 기울여서 키워야 했다. 그런데 이렇게 안 했다. 자꾸 딴짓을 벌였다. 네이버·다음이 인스타·x·구글을 흉내내야 할 까닭이 있나? 없다. 이들은 이들 스스로 ‘잘 하면 될’ 뿐인데, ‘잘 하기’란, 이미 다져 놓은 작은길을 더 사랑하면서 더 가꾸는 손길이어야 한다.


  종이는 곧 사라진다고, 종이책도 곧 사라진다고 설레발을 떠는 이가 수두룩한데, 거꾸로 사람들은 ‘베껴쓰기(필사)’를 한다. 아이들한테 손전화를 쥐어주면서 아이들은 놀이를 잃고 잊을 뿐 아니라, 마음과 사랑까지 잃고 잊는다. 아이들한테 ‘디지털교과서’나 ‘AI교과서’를 쥐어 준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이렇게 하면 앞으로는 더 아무 아기도 안 태어나겠지.


  바닥을 치는 아기낳이(출산율)가 그나마 0이 아닌 까닭을 생각해야 한다. 아기낳이가 0이 아닌 까닭은, 가장 투박하고 시골스럽게 ‘종이’에 ‘붓(연필)’을 들어서 글을 쓰고 읽는 작은사람이 제법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도 굳이 쇳덩이(자가용)를 몰지 않을 뿐 아니라, 으레 걸어다니면서 손에 책을 쥐는 사람이 있는 터라, 아기낳이가 0이 아니다.


  모지리 윤석열 씨만 나무란다고 해서 이 나라는 안 바뀐다. 그대 손에 쥔 전화기를 내려놓아라. 손전화에 또닥또닥 글을 남기지 마라. 아니, 남겨도 되는데, 되도록 종이에 손으로 글을 써라. 되도록 종이책을 읽어라. 되도록 마을책집으로 천천히 걸어가서, 마을책집 한 곳에서 한나절쯤 머물면서 책을 다섯 자락쯤 사라. 윤석열 씨가 “책을 읽는 사람”이라고는 못 느끼지만, 이재명 씨도 “책을 읽는 사람”이 아니라고 느낀다. 오늘날 벼슬아치(시장·군수·국회의원·장관) 가운데 누가 “종이책을 손에 쥐며 읽”는가? 이들 가운데 걸어다니거나 자전거를 달리는 이는 몇이나 있나? 이들 가운데 집안일을 하고, 손수 밥을 짓고 빨래를 하고, 아이를 돌보는 이가 한둘이라도 있는가?


  앞으로 나랏일(대통령·국회·정치·행정)은 아줌마와 아저씨가 맡아야 한다. “경력단절 아줌마”와 “경력단절 아줌마랑 나란히 집안일을 맡으면서 아이를 돌보는 아저씨”가 나랏일을 맡으면, 이 나라는 비로소 아름길을 걸을 수 있다. 집안일과 살림살이와 아이돌봄을 적어도 열 해 넘게 해온 숱한 “경력단절 아줌마”야말로 “삶을 짓고 살림을 펴고 사랑을 나누는 아름다운 경력을 오래 쌓은 훌륭하고 듬직하며 빼어난 일꾼”이다.


  네이버·다음이 왜 죽어갈까? 이들한테서는 어떤 ‘집안일 냄새’도 ‘아이돌봄 기운’도 ‘시골살이 모습’도 못 느낀다. 서울에 스스로 갇힌 ‘사무직 책상물림’으로는 그저 죽어가는 굴레일 뿐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4. 큰눈



  섣달 첫이레는 큰눈이라는 철눈이다. 나는 해마다 이맘때가 ‘겨울끝’이라고 느낀다. 깊밤이 더 무르익을 동안 더 얼어붙는 듯하더라도 슬슬 취위바람이 바뀌려는 길목이다. 그래서 나는 해마다 첫여름 길목인 긴낮을 앞두고서 여름이 끝난다고 느낀다.


  간밤에 어느 모지리가 총칼을 앞세우려고 했나 보다. 밤이란 꿈을 그리면서 몸을 쉴 때인데, 꿈그림이 아닌 밉그림에 사로잡혔으니, 딱하고 가엾다. 그러면 우리는 밤새 무엇을 하는가? 우리는 밤새 불과 누리길(인터넷)을 다 재우고서 별을 그리는 고요누리로 나아가는가?


  하루글을 쓴다. 잇달아 노래를 쓴다. 네 사람이 우리 보금숲에서 볕바라기랑 별바라기를 한다. 촛불바라기를 하고 몸을 쉬면서 한참 이야기꽃을 지피고서 포근히 눕는다. 저마다 다른 책을 쥐고서 읽는다. 겨울에는 밤새가 어디 있으려나 하고 어림하면서 하늘을 헤아린다. 어제 한 빨래를 개고서, 오늘 새로 한 빨래는 하루 더 집안에서 말린다.


  두바퀴를 고치려면 더 있어야겠지. 그때까지는 시골버스를 타고서 읍내 나래터를 다니기로 한다. 시골은 더 늙어가며 낡아간다. 할매할배도 푸름이도 똑같다. ‘디지털 교과서’가 아니라, 손에 붓종이를 쥐어 주고서, 호미낫을 나란히 쥐어 줄 일이지 싶다. 손수 가꾸고 심고 돌보고 짓고 나누고 노래한다면, 우리는 어디서나 언제나 서로 다르게 하늘님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10. 욕하는 버스



  아침에 서울 성산동에서 부천 원미구청 쪽으로 가는 버스를 탄다. 원미동 마을책집 〈용서점〉으로 마실하는 길이다. 57분을 달리며 넘어가는데, 이동안 버스일꾼은 쉴새없이 막말(욕)을 한다. 이놈은 이렇게 끼어들고 저놈은 저렇게 안 비켜나고 그놈은 그놈이라서 끝없이 막말잔치이다. 흔들리는 버스에서 노래랑 하루글을 쓰는데, 앞자리에 앉던 손님이 하나둘 뒤로 옮겨앉는다. 붓길을 쉴 적마다 버스일꾼 막말소리가 고스란히 찰떡지게 들린다. 언뜻 보아하니 다른 ‘자가용 운전자’가 하나같이 “안 비키(배려심 부족)”고 “건방지(무식운전)”구나 싶다.


  그런데 나는 57분만 이놈 저놈 그놈을 들을 뿐이나, 버스일꾼은 하루 내내 그이 마음과 입과 몸과 눈과 귀를 막말잔지(욕퍼레이드)로 스스로 물들이는 셈이다.


  마을책집 〈용서점〉에서 책을 한 꾸러미 장만한다. 등짐에만 담을 수 없어서, 어제 들른 책집에서 산 책으로 이미 넘쳐서, 책꾸러미를 하나 묶고서 가슴에 안고서 춘의역으로 걸어갔고 ‘가운마을 아닌 센트럴시티’로 전철을 타러 걷는다. 낮밥을 먹으러 가는 원미구청 공무원 여섯이 거님길을 다 차지하면서 주머니에 손 넣고서 어기적어기적 어슬렁어슬렁이어서 찻길로 내려간다. 옆을 에돌아 걷는다. 좁은 골목 왼오른은 벌써 쇳덩이로 줄줄이 잇고 앞에서 뒤에서 새로 쇳덩이가 끊이잖고 달린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뿐 아니라, 순천 부천 강릉 원주 전주 어디를 가도 “자가용 하늘나라(천국)”인 판이다. 어쩌면 우리는 날마다 찰지게 막말잔치를 누리려고 온골목과 온마을을 이렇게 망가뜨렸을 수 있다.


  걸으며, 전철에서, 시외버스 기다리며 책을 읽는다. 들숲바다를 사랑하건 안 사랑하건 《맛의 달인》을 104걸음까지 읽은 이웃은 몇이나 있을까? 온나라 해수욕장과 매립지를 통째로 바다한테 돌려줄 일인 줄, 더구나 발등에 떨어진 불이 아니라 발등과 종아리와 허벅지에 아랫도리를 죄다 태우는 판인데, 이를 느끼면서 불을 끄려는 이웃은 몇이나 있을까?


  《싸가지 없는 진보》는 2014년에 처음 나왔다는구나. 이 책을 읽으면서 빠순빠돌을 멈춘 이웃은 있을까? 아마 내가 모르는 곳에 아름이웃과 사랑이웃과 꿈이웃이 있으리라 본다. 시골이웃에 숲이웃에 바다이웃도 있을 테지. 늘 아이 곁에 서면서 아이가 알아들을 쉽고 즐거운 말씨로 하루를 노래하는 이웃이 있을 테지.


  나는 노래하고 춤추며 걷는 아저씨로 살아가려고 한다. 착한 아저씨 참한 아저씨 고운 아저씨 숲아저씨 시골아저씨 우리말아저씨 책아저씨 노래아저씨 꿈아저씨 걷는아저씨 사진아저씨 …… 그리고 까칠아저씨로 살림을 지으려고 한다. 고흥으로 돌아간다. 낮에는 새랑 동무하고 밤에는 별바다하고 이웃하는 우리 시골로 돌아간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9. 특산품



  시골에서 버스를 타든 서울에서 버스에 전철을 타든, 할배할매는 으레 밀치면서 앞으로 끼어든다. 이때에 할배할매한테 “줄서서 탑시다” 하고 말하는 사람을 아직 못 본다. 할배할매는 어떻게 타고내려야 하는가를 듣지도 배우지도 못 하는 얼거리이다.


  어린이와 푸름이와 젊은이는 말을 듣거나 배울까? 한때는 말을 듣거나 배웠되, 갈수록 말을 들어볼 일이 줄고 가르치는 어른도 사라지지 싶다. 목소리를 내는 길은 배우기도 하고 늘기도 하는데, 삼가거나 고쳐야 할 대목은 누가 들려주거나 어디에서 어떻게 배우는 나라일까?


  틀(법)에 어긋나지 않기에 옳거나 바르지 않다. 틀을 맞추니까 바르거나 옳지 않다. 착하고 참하며 곱게 사랑일 적에 비로소 빛나는 사람다이 철든 밝은 삶이다.


  오늘도 또 끼어드는 할배한테 “줄 좀 서서 탑시다. 어르신.” 하고 말한다. “공공장소에서는 소리 끄고 이어폰 씁시다.” 하고 따박따박 말한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그야말로 드문데, 귀찮기도 하고 앙갚음을 할 수도 있기에 모르는 척하기 일쑤이다. 더욱이 사납빼기나 힘깨나 쓴다고 여기는 이와 무리가 마구 군다. 옛말에 "방귀 뀐 놈이 성낸다"고 했다. 끌려내려올 놈팡이가 성내거나 거들먹대는 판이다. 그들은 여태 꾸지람을 못 듣기도 했을 테지만, 꾸짖을 만한 어른이나 스승이나 길잡이를 일찌감치 쳐내거나 없애면서 돈과 이름과 힘과 벼슬에 입(언론)까지 틀어쥐며 콧대가 높다.


  안 웃기는 말인데, “시골 특산품은 텃힘”이지 않을까? 여기에 “돌라먹기”이지 싶다. “서울 특산품은 뻔뻔”에다가 “모르쇠+모지리”일 수 있다. 시골 할배할매는 텃힘을 부리며 새치기가 그들 삶이다. 서울내기는 들숲바다를 잊고 안 배우느라 살림을 모르기에 뻔뻔징어라 할 만하다. 둘 사이에서 아이들은 무얼 볼 수 있을까? 우리는 철들며 늘 스스로 새로 배우는 하루를 지으려는 사람으로 거듭나면서 시골서울 온곳에 사랑씨를 심는 오늘을 살아갈 수 있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