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30. 하루아침에



  부산사상에서 07:00 시외버스를 타려고 05:59 부산전철을 탄다. 큰고장에서는 일찍 움직여서 첫 시외버스를 어렵잖이 탈 수 있다. 시골사람은 으레 02∼03시에 하루를 열지만, 이맘때에 다니는 시골버스란 없다. 일찍 여는 벼슬집(관공서)도 없다. 머잖아 나흘일(주4일노동)이 자리잡을듯한데, 시골사람은 어찌해야 한다는 뜻일까? 더욱이 집에서 살림하는 사람은 어쩌란 뜻일까? ‘집안일’은 “한 해 내내 + 하루 내내”이다.


  풀은 달날에도 흙날에도 자라고 쉼날에도 한가위에도 자란다. 아이들은 불날에도 해날에도 자라고 한글날에도 자란다. 일을 알맞게 가르거나 나누면서 하는 길이란 무엇일는지 살필 때라야, 아이도 어른도 튼튼히 제자리에 서게 마련이다.


  어제 ㅁ 이야기를 폈다. ㅅ과 ㅇ도 대단하지만 ㅁ도 물줄기처럼 줄줄 흐른다. 하루아침에 다 여미지 않는다. 천천히 하나씩 여미면서 매듭을 지어간다. 곧 싹틀 풀포기처럼, 이윽고 움틀 망울처럼, 새벽마다 맺는 이슬처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30. 손으로 쓰고 말하는



  부산에서 서울을 거쳐서 부천으로 왔다. 등짐이 아직 가볍기도 하지만, 그냥 못 본 척하면서 지나칠 수 없는 책이 수북하다. 그러나 더 보다가는 무거워서 못 걸을 수 있기에, 오늘밤에 읽을 만큼만 고르고서, 이다음달에 마실해서 사읽자고 생각한다.


  요 이레 사이에 쓴 손글하고 두어 달 앞서 쓴 손글을 문득 올려놓고서 들여다본다. 즐겁다. 나는 손수 짓는 사람이로구나. 다리로 걷고 손으로 쓰고 마음으로 읽고 눈으로 느끼고 귀로 받아들이고 살갗으로 배우고, 마침내 사랑으로 품고 풀 길을 곱씹는다.


  우리는 누구나 먼먼 아스라이 머나먼 옛날 옛적부터 손수짓기에 손수빚기에 손수살림으로 아이들한테 물려주고서 노래했다. 손발을 쓰고 나누기에 사람으로서 산다. 손발을 잊고서 잃기에 사람빛을 나란히 잊고서 잃는다. 서로 온마음과 온몸으로 만나면 넉넉하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30. 잔소리 큰소리



  잔소리란 무엇일까 하고 오래오래 곱씹어 보았다. 나는 쉰 해라는 나날을 “잔소리 듣는 자리”에 서는데, 잔소리가 듣기 싫다고 느낀 적이 아예 없다. 이와 달리 큰소리를 들으면 흔들리고 아찔하고 어지럽더라.


  이레쯤 앞서부터 두 소리를 새삼스레 돌아본다. 잔소리란 작은소리이다. 자잘하게 짚고서 작은곳부터 가다듬자고 들려주기에 잔소리이다. 자분자분 말하고, 자그맣게 알려주면서 조금씩 바꾸거나 가꾸어 가자고, 함께 이 길을 가자고 낮게 속삭이며, 늘 곁에서 사근사근 다가서려는 소리이기에 잔소리이더라.


  이와 달리, 큰소리란 호되게 꾸짖으면서 와락 허물려는 소리이다. 이제 이대로는 너랑 같이 안 하거나 못 하니까 확 뜯어고치라고, 안 뜯어고치면 “난 너를 떠날래!” 하고 마지막으로 울부짖는 피맺힌 소리이다.


  숱한 사내는 잔소리를 껄끄러워하거나 싫어하거나 귀찮아한다. 이러다가 왈칵 큰소리만 치려고 한다. 늘 하나씩 씨앗을 심고서 돌보듯 작게 조용히 넌지시 가볍게 늘 사랑으로 나아가려는 길을 등지기에 “잔소리가 싫게 마련”이로구나 싶다.


  우리는 하루아침에 와락 바꿀 수 있고, 날마다 하나씩 돌보며 사랑할 수 있다. 잔소리를 들려주는 사랑이란, 아주 작은 데까지 지켜보며 “너하고 늘 한마음이란다.” 하고 빙그레 웃는 마음이라고 본다. 으레 큰소리를 내며 꾸짖거나 악에 받칠 적에는 이제 미움과 불길이 걷잡을 수 없는 나머지 “나 죽게 생겼어! 언제까지 잔소리를 안 들으며 아무렇게나 구니? 내가 죽는 꼴을 그렇게 보고 싶어?” 하고 외치는 피눈물이라고 본다.


  잔소리를 듣는 사람은 고마운 줄 알 노릇이다. 오롯이 사랑이기에 잔소리를 한다. 사랑이 사라지고 말아서 불길이 타오르니 큰소리가 판친다. 큰소리만 치는 숱한 사내는 스스로 사랑을 잊고 등진 바보이다. 가시내가 마침내 큰소리를 터뜨릴 때까지 잔소리를 두 귀로 다 흘린 사내는 그저 머저리에 멍텅구리에 얼간이라고 하겠다.


  잔소리란 “작은씨앗소리”이다. 잔소리란 “작은숲소리”이다. 잔소리란 “사랑소리”이다. 잔소리를 안 들으려는 버릇을 바로잡아야 비로소 온누리와 보금자리가 아늑하고 아름답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창피하지만 (2025.5.26.)

― 서울 〈악어책방〉



  시골에서는 올봄이 “하늘이 내린 빛살(축복)”이라 느낄 만큼 차분하면서 더위 없이 흐릅니다. 서울에서 시외버스를 내려서 시내버스와 전철을 갈아타자니 “아무런 날씨도 하루도 느낄 수 없구나” 싶어요. 올해에는 먼지바람이라든지 꽃가루바람 탓에 걱정할 일조차 없이 아름하늘입니다. 그렇지만 이 아름하늘과 아름봄을 노래하는 말(날씨안내·문학·신문기사)은 한 줄조차 볼 수 없습니다.


  ‘말씨’라는 얘기처럼 “말은 씨가 된다”고 여기고, ‘글씨’라는 이야기처럼 “글은 쓰기 된다”고 알아본다면, 우리가 저마다 마음에 담고서 서로 마음을 나눌 적에 터뜨리는 낱말 하나마다 이제부터 자라나는 새길이 있다고 느껴요. 마음을 담는 말이란, 손수 마음을 가꾸는 말이라면, 마음을 쓰는 글이란, 손빛으로 마음을 사랑하는 글이지 싶습니다.


 〈악어책방〉에 닿습니다. 어스름이 천천히 덮습니다. 집으로 돌아가는 발소리를 느끼면서 ‘마음글’을 손수 나누는 저녁을 누립니다. 우리는 글을 더 쓰거나 덜 쓸 마음이 아닙니다. 부끄럽든 창피하든 우리 오늘을 적바림하려는 마음입니다. 자랑스럽든 수수하든 우리 발자국을 옮기려는 마음입니다.


  ‘함께읽기’란, 한 곳을 여럿이 다르게 바라보면서 “우리가 이렇게 다르구나” 하고 배우는 자리일 테지요. ‘함께쓰기’란, 한 곳을 여럿이 스스로 바라보면서 “우리가 이렇게 같구나” 하고 느끼면서 익히는 자리로구나 싶습니다.


  가난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은데, 가난도 가멸도 늘 두 가지입니다. 마음이 가난하면 돈이 많아도 가난하고, 마음이 가멸면 돈이 적어도 가멸어요. 가난이란 누구나 늘 스스로 밑바닥으로 즐겁게 내려오면서 배우는 삶입니다. 가멸이란 누구나 언제나 하늘빛으로 넉넉히 피어나면서 배우는 살림이에요. 물결이 치듯 가난과 가멸 사이를 부드러이 오갈 적에 사람으로서 사랑을 알아본다고 느낍니다.


  날마다 새몸과 새마음을 입고서 늘 새로 피어나는 오늘이기를 바라기에 말 한 마디에 마음 한 자락을 놓습니다. 언제나 새눈과 새귀를 틔우고서 가만히 깨어나는 살림을 그리기에 글 한 줄에 마음 한 뙈기를 둡니다. 높거나 낮지 않은 마음소리입니다. 크거나 작지 않은 마음밭입니다. 낱말 하나도 안 높고 안 낮습니다. 글씨 하나도 안 크고 안 작아요.


  수줍기에 말을 삼가다가 천천히 말길을 엽니다. 망설이기에 글을 멈추다가 찬찬히 글꼬를 틉니다. 글을 쓰려는 마음이란, 스스로 짓고 빚고 여미는 하루를 손수 노래하려는 꿈이라고 할 만합니다. 스스럼없이 꿈을 그리니 여기에 꽃이 핍니다.


《신 이야기》(고다 요시이에/안은별 옮김, 세미콜론, 2014.11.28.)

#ごうだよしいえ #業田良家 #神樣物語

《나는 해파리입니다》(베아트리스 퐁타넬 글·알렉상드라 위아르 그림/김라헬 옮김, 이마주, 2020.7.30.)

#JeSuisLaMeduse #BeatriceFontanel #AlexandraHuard

《작으면 뭐가 어때서!》(마야 마이어스 글/염혜원 그림·옮김, 비룡소, 2023.1.5.)

#NotLittle #MayaMyers #HyewonYum

《짱구네 고추밭 소동》(권정생, 웅진닷컴, 1991.11.30.첫/2001.7.10.24벌)

《빨간 초와 인어(미니북)》(오가와 미메이/이예은 옮김, 세나북스, 2025.5.27.)

#LePetitPrince #小川未明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7. 영업을 못 하는 책집



  “장사(영업)를 잘하는 가게”로 〈올리브 영〉을 꼽는 만큼, “장사(영업)를 못하는 가게”로 마을책집을 꼽을 수 있다고도 여길 수 있다만, “모든 사람이 시끌벅적한 곳에서 마음을 찬찬히 기울여서 책을 즐겁게 읽을 수 있지 않”다. 이미 돛데기장사판으로 바뀐 〈서울국제도서전〉이다만, 〈서울국제도서전〉은 그곳에 자리를 내놓은 거의 모든 곳이 손님 발길을 잡으려고 끝없이 목청을 돋운다. 그곳에 발걸음을 디딜 때부터 ‘시끌벅적·왁자지껄’이 춤춘다. 그래서 〈서울국제도서전〉은 ‘돛데기장사판’일 뿐, ‘온갖 다 다른 책을 살피고 읽으면서 마음을 사로잡는 책마을 일꾼을 만나기’도 하는 데하고는 아주 동떨어진다.


  〈서울국제도서전〉은 ‘사유화’라는 말썽거리도 있다. 이 책잔치를 꾸려온 ‘출협(대한출판문화협회)’은 “도서전 안정적 운영”을 꾀하려는 뜻이라면서 ‘주식회사 사유화’를 몰래 밀어붙였다. 그런데 출협은 ‘2023년 서울도서전 홍보대사’로 ‘박근혜 무렵 블랙리스트 국가범죄 실행자’인 오정희 씨를 밀어붙였다. 이러고서 이때 불거진 말썽거리를 출협 스스로가 아닌 나라(정부) 탓이라고만 슬그머니 핑계를 대면서 빠져나갔다. 또한 출협은 그동안 나라에서 ‘서울도서전 이바지돈(지원금)’을 받고서 ‘정산내역 미공개’로 어물쩍 넘어갔다. 또한 출협은 ‘2024년 서울도서전에 국가지원이 없었다’는 거짓말을 했다. 2024년에는 ‘나라에서 서울도서전 참가사한테 직접지원’을 했다. ‘출협에서 정산내역 미공개’를 하기 때문에 ‘서울도서전 참가사한테 하나하나 직접지원’을 하면서 2024년은 어느 해보다 책잔치가 잘되었는데, 이러한 대목을 숨기기에 바빴다.


  오늘날 마을책집은 큰길가 아닌 골목에 고즈넉이 깃들곤 한다. 시끌벅적한 데가 아닌 차분하고 조용한 데에 마을책집을 둔다. “책을 안 팔려는 뜻”이 아니라 “책을 팔려고 일부러 걸어가서 조용히 깃드는 골목”에 자리를 잡는다. 여러 가지 책을 차근차근 짚고 헤아리려면 ‘시끌벅적·왁자지껄’은 아주 걸리적거리니까. 그래서 마을 한켠에 고즈넉이 깃든 숱한 마을책집은 아예 ‘책알림(pop)’조차 없기 일쑤이다. 책손 스스로 천천히 손에 쥐고서 넘겨 보라는 뜻이다. 나중에 사서 읽을 적에도 고즈넉한 곳에서 읽을 테지만, 책을 고르고 장만하는 자리에서도 고즈넉할 적에 “이 책이 나한테 맞거나, 이 책으로 내 눈길을 틔울 만한가” 하고 헤아릴 수 있다.


  이른바 〈올리브 영〉처럼 장사를 잘하는 ‘작지 않은 큰 독립서점’이 여러 곳 있다. ‘장사를 잘하는 큰 독립서점’은 떠들썩하다. 이름난 글바치를 꽤 자주 불러서 책수다를 열기도 한다. 〈교보문고〉 같은 데에서 누가 책수다를 열까? 시청·군청·도청·시립도서관·군립도서관·도립도서관에서는 누구를 목돈을 들여 부르고서 책수다를 펼까? 공공기관 벼슬아치는 “한 해에 한두 판씩 삯(강사비)을 500∼1000만 원쯤 들여 ‘서울에서 이름난 분’을 모시고는, 1000∼2000사람쯤 한꺼번에 끌어모아서 왁자지껄하게 보람(성과)을 거두는 자리”를 좋아한다. 공공기관 가운데 “한 해 동안 20사람한테 50만 원씩 삯(강사비)을 나누어 쓰면서 다 다른 목소리로 다 다른 이야기를 누리는 작은자리”를 꾀하려는 일꾼은 매우 적다.


  마을책집마다 빛깔이 다르다. 다 다른 마을책집은 저마다 “그저 돛데기장사판 우리나라 민낯”이 창피하고 부끄러울 뿐 아니라, 이대로는 오히려 책마당이 모조리 망가지겠구나 하고 느껴서, 다 다른 결로 다 다른 마을에서 다 다른 갈래를 헤아리는 다 다른 마을책집을 꾸린다고 느낀다. 그래서 마을책집이라는 곳은 “책을 고즈넉이 살피면서 책을 반갑게 새로 만나서 장만하는 곳”이다. 책집지기가 책손한테 굳이 절(인사)을 해야 할 까닭이 없다. 거꾸로 책손이 책집지기한테 “오늘 이 책을 알아보고 장만할 수 있어서 고맙습니다.” 하면서 절을 해야지. 작은책집이자 마을책집은 이미 그곳 책시렁으로 우리한테 “자, 이렇게 끝없이 넘치는 책 가운데 읽으실 만한 책을 추려 놓았어요!” 하고 밝혀 주었다. 우리는 “이미 잘 추려내어 꽂아놓은 책시렁”을 고맙게 살피면서 손길이 닿는 대로 한두 자락이나 서너 자락을 기쁘게 장만할 수 있다.


  마을책집은 “대량생산 대량소비”가 아닌 “적정생산 적정소비”를 바라는 뜻과 마음을 펴는 마을가게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마을책집을 〈일본 츠타야〉나 〈한국 올리브 영〉하고 섣불리 댈 적에는 “왜 굳이 마을책집을 열지?”라고 하는 수수께끼를 아예 모를 수밖에 없다. 〈교보문고〉나 〈알라딘〉이 되려고 마을책집을 연 분은 몇몇 사람 빼고는 없다. 다들 “이 마을을 사랑하기에, 이 마을에 쉼터를 일구고 싶어서 작고 천천히 느긋이” 일구어 가는 길이다.


  책집은 다 다르기에 빛난다. 책집이 다 비슷비슷하거나 다 장사를 잘하려고 한다면, 이미 책집이 아니다. 책집은 서서읽기로 책을 살피고서 즐겁게 책을 사읽는 즐거우며 조용하고 나긋한 쉼터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