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숨은돌


지나가는 바람은 잘 가라고 손을 흔듭니다. 다가오는 햇볕은 반갑다고 손을 흔듭니다. 하루하루 살아가는 날입니다. 이 삶에는 걸림돌이 코앞에 닥치기도 하고, 우람돌이 떡하니 버티기도 합니다. 저 큰돌을 어찌 치우나 한숨에 젖을 만한데, 슬그머니 에돌아 지나쳐도 되어요. 막아서는 바위를 구태여 치울 까닭은 없습니다. 바윗돌은 먼 옛날부터 그저 그 자리에서 꿈을 그리면서 자는 나날일 만하거든요. 물이 흐르듯 새달과 새해를 맞이합니다. 비가 내리듯 오늘을 누리고 온누리를 누빕니다. 나이가 적으면 적은 대로 생각도 못한 일을 선보입니다. 나잇값을 영 못 하면서 뒤뚱거릴 수 있습니다. 대단하게 해내기에 하루꽃으로 기리지 않아요. 오늘을 지내는 동안에 땀흘린 모든 손길을 북돋우고 아끼는 길입니다. 먹고살기에 바쁜 탓에 저기 있는 숨은돌을 못 알아보고서 걸려 넘어질 때가 있어요. 꽈당 자빠지고서 헤헤 웃고 일어날 수 있어요. 맞잡이하고 겨루느라 지칠 수 있을 텐데, 다투거나 싸울 때에 으레 깨달을 만하겠지요? 이 삶에서 참으로 부질없는 짓이 겨루기에 다투기에 싸우기예요. 조금씩 철이 들며 길눈을 틔우는 살림입니다.


ㅅㄴㄹ


걸림돌·뒷돌·큰돌·우람돌·뒷놈·뒷꾼·뜻밖·뜻하지 않다·막다·막아서다·막음돌·바위·생각밖·생각도 못하다·숨다·숨은돌·숨은바위·맞잡이·맞들이·겨루다·다투다·싸우다 ← 다크호스


하루·하루꽃·하루빛·하루하루·나날·날·달·철·해·때·동안·지·통·길·길눈·길꽃·나이·나잇값·나잇살·낫값·낫살·살다·삶·살림·-살이·먹고살다·먹고자다·해나이·걸리다·누리다·누비다·흐르다·지나가다·지내다·보내다 ← 세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보아주다


우리는 집을 누립니다. 집을 지키기도 하고, 집에서 살림을 짓는 일꾼이기도 합니다. 너도 지기요, 나도 지기입니다. 우리를 낳은 엄마아빠는 서로 지아비에 지어미입니다. 우리가 짝을 맺어 아이를 낳을 무렵이면, 어느새 우리도 지어미에 지아비에 곁님입니다. 오순도순 어울리는 살림꽃입니다. 서로 살림지기이니 함께 돌봄이입니다. 가시버시도 나란히 기둥이고, 아이어른도 언제나 기둥이에요. 때로는 네가 키잡이를 맡고, 때로는 내가 길잡이로 나섭니다. 차분히 보아주면서 하루를 짓습니다. 참하게 봐주면서 오늘을 살아갑니다. 더 잘 해야 하지 않습니다. 더더 뛰어나야 하지 않아요. 그저 사랑으로 살피는 손길이면 넉넉해요. 사랑손이니 빛손이면서 꽃손길이에요. 따로 보태거나 남다르게 해주어야 하지 않아요. 오롯이 사랑인걸요. 유난스럽지 않아도 즐거운 보금자리에 둥지입니다. 힘껏 일하고서 쉬어가요. 애써 일하고서 쉼날을 누립니다. 하나하나 헤아리면서 두런두런 아껴요. 이제는 무엇을 해볼까요? 너도 나도 생각을 밝혀요. 긴긴 나날을 두고두고 지켜보면서, 돌아보면서, 마주보면서, 아름손으로 상냥하게 살펴봅니다. 모든 사람은 꽃입니다.


ㅅㄴㄹ


지기·곁님·곁씨·지아비·지어미·지킴이·지키다·집살림꾼·집길잡이·집안기둥·꽃·살림꽃·살림꾼·살림지기·돌봄이·기둥·키잡이·길잡이 ← 호스트, 호스티스


쉬는날·쉼날·쉬다·쉼·쉬어가다·쉼꽃·쉬움꽃·안 열다·안 짓다·안 하다 ← 공휴일


남다르다·다르다·더·더더·더더욱·더욱·덤·유난·좀더·좋아하다·돌보다·돌봐주다·돌아보다·보다·보살피다·보아주다·봐주다·따로·딴판·또다른·별쭝나다·꽃손·꽃·꽃보기·꽃손길·빛손·빛손길·사랑·살피다·살펴보다·생각하다·헤아리다·아끼다·아름보기·아름손·아름손길 ← 특별취급, 특별대우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다르다


겨울에도 여름에도 새는 노래합니다. 이 땅에 겨울새가 찾아들어 아침을 열고, 여름새가 찾아와서 새봄을 일으킵니다. 생각이란, 스스로 새롭게 틔우는 마음에서 깨어나는 씨앗입니다. 날마다 첫발을 떼고, 오늘도 첫선을 보이고, 언제나 첫삽을 찬찬히 뜹니다. 아무래도 생각은 첫씨입니다. 또는 첫싹입니다. 이미 예전에 걸은 길이라지만, 이제 새로가려고 합니다. 벌써 다들 앞서간다지만, 나는 나대로 새로걷기를 누립니다. 너랑 나랑 다른 줄 알면, 둘은 늘 다른꽃이니까, 서로 즐겁게 한걸음 내딛으면서 어깨동무를 할 만합니다. 남다르다고 해서 별쭝나지 않아요. 자아내는 손빛이 딴판일 뿐입니다. 짓는 매무새가 눈에 띌 수 있되, 두런두런 새물결이에요. 빗장을 열어 새바람을 맞이합니다. 빛나는 아침을 맞이하면서 저 높은 구름처럼 마음을 훨훨 띄웁니다. 한꺼번에 다 일굴 수 있을까요? 하루아침에 모두 이루어도 될까요? 첫단추를 꿰듯 새날을 살아갑니다. 첫마당에서 놀듯 새뜻하게 꿈을 그립니다. 한 해 내내 늘 처음으로 나아가는 나들이입니다. 첫코가 어긋나면 실을 풀고서 새로 뜨면 되어요. 첫자락부터 그르쳤으면 반짝 웃으며 다시 마실을 나서요.


ㅅㄴㄹ


새·새길·새롭다·새뜻하다·새로가다·새로걷다·새로짓다·새물결·새너울·새바람·새흐름·생각·슬기·열다·뜨다·띄다·트다·틔우다·남다르다·눈에 띄다·다르다·다른꽃·딴판·또다르다·짓다·지어내다·세우다·자아내다·잣다·이루다·일구다·일으키다·처음·처음길·첫·첫걸음·첫단추·첫마당·첫물·첫밗·첫씨·첫싹·첫발·첫발짝·첫선·첫손·첫삽·첫일·첫코·첫자리·첫자락·첫차림·반짝·번뜩이다·번쩍·별쭝나다·빗장열기·빗장풀기·한걸음 더·한걸음 내딛다·빛깔있다·빛나다·빛있다·빛접다·빛나리 ← 창의, 창의적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활잡이


누구나 자리가 있습니다. 지체가 있든, 높낮이로 저 밑에 있든, 다 다르게 살아가는 몫입니다. 높고낮다거나 크고작다고 가리면서 몇몇만 차지하는 곳이라면 누구도 날개를 못 펴요. 벼슬을 거머쥐고서 어깨띠를 휘날리는 이가 많을수록 캄캄한 나라입니다. 감투를 움켜쥐려고 활잡이처럼 여기저기 쏘아대는 이가 늘수록 어두운 고장입니다. 이름이란 이름씨입니다. 다 다르게 태어난 씨앗이면서 숨결입니다. 저마다 이름꽃이고 이름빛입니다. 한자리를 쥐어야 이름나지 않습니다. 팔띠를 드날려야 이름있지 않아요. 모든 나무가 스스로 새롭게 싹터서 일어나고 자라듯, 모든 사람은 다 다른 숨결로서 길꽃으로 피어납니다. 어느 일을 하면서 눈금을 잴 때가 있어요. 위아래를 알맞게 다루면서 놓아야 할 테지요. 이때마다 가만히 생각을 기울여 봐요. 혼자 나래펴는 길인지, 함께 나비로 어울리는 살림인지 짚어 봐요. 굳이 누구를 첫손으로 안 꼽아도 됩니다. 글바치만 글을 쓰거나 붓바치만 그림을 그려야 하지 않아요. 우리는 봄을 나란히 마주하고 겨울을 겹겹이 아우르는 한곳에서 같이 살아갑니다. 언제나 꽃낯으로 노래하고 얘기하면서 길눈을 틔웁니다.


ㅅㄴㄹ


자리·자위·지체·차지·칸·높낮이·높이·높고낮다·앞뒤·크고작다·눈금·위아래·벼슬·벼슬자리·감투·어깨끈·어깨띠·팔띠·날개·나래·길·길눈·길꽃·-로서·몫·모가치·또아리·손꼽다·첫손·이름·이름길·이름결·이름값·이름띠·이름꽃·이름빛·이름나다·이름있다·이름씨·이름줄·한곳·한자리·꽃이름·꽃낯·아름이름·날개이름·나래이름 ← 지위(地位), 지위고하


활잡이·활꾼·활바치·잘쏘다·쏘다·아름활 ← 명궁, 명사수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개장 할머니 소원우리숲그림책 19
안효림 지음 / 소원나무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2.15.

그림책시렁 1516


《자개장 할머니》

 안효림

 소원나무

 2024.9.30.



  나라살림을 북돋우는 길은 여럿입니다. 먼저, 그동안 일군 모든 살림을 깡그리 내다버리면서 새로 만들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쓰레기를 치우느라 돈벌이가 잔뜩 있고, 모두 새로 들여놓느라 일자리가 엄청납니다. 다음으로, 여태 일군 살림을 알뜰히 사랑하면서 차근차근 손보고 다독이면서 가꾸는 길입니다. 이 길에는 돈벌이는 많지 않을 수 있으나 거의 쓰레기가 없을 뿐 아니라, 오래오래 잇는 살림살이를 돌보는 솜씨를 키울 만합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어른이 슬기롭게 어울리면서 온나라가 오순도순입니다. 《자개장 할머니》는 이제 거의 버림받은 ‘자개칸(반짝이는 조가비를 잘게 썰어서 새롭게 꾸민 옷칸이나 이불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래살림에서 비롯하는 하루를 그린다고 할 텐데, 아이가 “어른이 다 해줘야 해! 나만 못 누리잖아!” 하는 얼거리라서 몹시 아쉽습니다. 예부터 모든 아이는 스스로 놀면서 동무나 또래하고 새롭게 놀이를 짓고 노래했습니다. “해줘!”가 아닙니다. 예부터 모든 어른은 아이한테 다 안 해줬습니다. 아이 스스로 찬찬히 보고 가꾸도록 마당을 내주었어요. 이 그림책은 엄마아빠 이야기는 아예 안 나오다시피 하기에, 이 대목도 아쉽습니다. 그림감을 제대로 살리는 길을 잃은 듯싶습니다.


ㅅㄴㄹ


《자개장 할머니》(안효림, 소원나무, 2024)


불가능의 산을 넘은 우리의 믿음은 사랑

→ 안 될 고개를 넘은 우리 길은 사랑

→ 벅찬 고비를 넘은 우리 삶은 사랑

1쪽


우리 집은 망했다. 큰 물건 하나 챙겨 급하게 이사를 했는데

→ 우리 집 거덜났다. 큰살림 하나 챙겨 바삐 옮기는데

→ 우리 집 끝났다. 큰살림 하나 챙겨 서둘러 옮기는데

3쪽


자개장만 있다면 언제든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 자개칸만 있다면 언제든 다시할 수 있다고 한다

3쪽


친구 데이에 초대를 받아

→ 동무날을 맞아

6쪽


나는 어른이 필요하다.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라도 괜찮으니까 지금 당장 나와야 한다는 말이다

→ 나는 어른을 바란다. 할머니네, 할머니네, 할머니라도 되니까 바로 나와야 한다는 말이다

9쪽


잠깐! 제일 중요한 게 빠졌단다

→ 가만! 알맹이가 빠졌단다

→ 그만! 고갱이가 빠졌단다

→ 기다려! 알짜가 빠졌단다

15쪽


다리가 터질 것 같아요

→ 다리가 터지겠어요

→ 다리가 터지려 해요

→ 다리가 터져요

17쪽


자손 대대를 지켜 주는 보석이오

→ 길이길이 지켜주는 빛돌이오

→ 두고두고 지켜주는 빛살이오

24쪽


내가 좀 바빠지겠지만 그건 괜찮다오

→ 내가 좀 바쁘겠지만 걱정없다오

→ 내가 좀 바쁠 테지만 거뜬하다오

24쪽


옷을 상 위에 펼쳤더니

→ 옷을 자리에 펼치니

→ 옷을 밥자리에 펼치니

28쪽


사랑이 담긴 것들은 함부로 버리는 게 아니란다

→ 사랑이 담기면 함부로 버리지 않는단다

→ 사랑을 담으면 함부로 안 버린단다

37쪽


사랑이 담기면 뭐든 다 귀해지는 법이니까

→ 사랑을 담으면 뭐든 다 빛나니까

→ 사랑을 담으면 뭐든 다 반짝이니까

37쪽


네 엄마가 잘 한 거야

→ 네 엄마가 잘 했어

3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