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녀들 문학동네 시인선 95
허영선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3.6.

노래책시렁 483


《해녀들》

 허영선

 문학동네

 2017.7.5.



  빛나는 봄을 여는 첫자락을 안개비로 보내다가 이제 구름이 걷히면서 햇살이 퍼지는 파란하늘을 맞이합니다. 비날을 이을 적에는 늘 ‘비 걷힌 하늘’을 설레며 기다립니다. 비로 씻고 바람으로 털어낸 하늘을 가없이 새파랗거든요. 파란하늘을 그리기에 보금자리를 풀꽃나무로 덮으려고 합니다. 푸릇푸릇 넘실거리는 땅과 파랑파랑 물결치는 하늘이 만나면 언제나 반짝반짝 아름답습니다. 《해녀들》을 자리맡에 여러 해 두고서 곰곰이 생각했습니다. ‘해녀(海女)’란 ‘바다순이·바다계집’을 가리킬 텐데, 바닷일을 하는 사람은 스스로 ‘잠네’ 같은 이름을 지었습니다. “잠기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잠기다’는 ‘잠·자다’와 ‘자맥’하고 나란히 흐르는 낱말입니다. ‘잠네(잠녜)’ 이야기를 글로 옮기려면, 잠네를 구경만 해서는 못 써요. 함께 바다에 잠겨서 바다빛을 보고 바다밑을 가르고 바다살림을 지을 노릇입니다. 글쓴이는 여러 잠네를 만나서 들은 말을 고스란히 옮겨적습니다. 말을 옮겨적기만 해도 노래가 될 수 있습니다만, 알맹이가 빠지지 않았을까요. 바다와 뭍과 섬은 어떤 터전일는지 차분하면서 참하게 먼저 오래오래 품어 보기를 바랍니다. 바다빛이 없는 바다잠네 글자락에는 “하늘빛을 담은 바다”하고 멀어요.


ㅍㄹㄴ


열여덟 새색시 / 사상으로 죽은 남편 / 물질로 일본 학비 조달 톡톡히 했지 (해녀 고차동/16쪽)


빈집 / 오사카 이쿠노쿠 조선 시장 올레길 호린 눈 / 자꾸 희미해간다 / 아야, 어디 가니 (해녀 양의헌 1/26쪽)


그 여자 막숨 하나 부여잡고 소리쳤다지 / “우리 애기 젖 멕여줍서” / “우리 애기 울면 젖 호끔 멕여줍서” // 그렇게 죽었다지 / 그 여자 김녕 해녀 (우리 애기 울면 젖 호끔 멕여줍서/64쪽)


+


《해녀들》(허영선, 문학동네, 2017)


물길을 가는 그녀들

→ 물길을 가는 그분들

→ 물길을 가는 사람들

5쪽


몸의 시를 쓰는 모든 물 밖의 생을

→ 몸노래를 쓰는 모든 물밖살림을

→ 몸으로 노래하는 모든 물밖삶을

5쪽


땡볕 속에 만난

→ 땡볕에 만난

18쪽


바다로 몸을 투척하던 어머니들

→ 바다로 몸을 던진 어머니

→ 바다로 몸을 떨군 어머니

21쪽


내 몸엔 물의 비늘이 달려 있어

→ 내 몸엔 물비늘이 달렸어

32쪽


야성의 가슴 위로

→ 들빛 가슴으로

→ 바람같은 가슴에

35쪽


나의 노래를 부르고 싶다

→ 내 노래를 부르고 싶다

→ 나를 노래하고 싶다

38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3.6.

오늘말. 다른놈


어린날에는 ‘경로우대’란 말을 못 알아들었습니다. 아직 이 낡은 말을 그대로 쓰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어른을 모시려는 뜻이라면 ‘어른먼저’라 할 만합니다. ‘어른모시기’나 ‘어른사랑’처럼 수수하게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그래서 ‘어른먼저’ 곁에는 ‘아이먼저’를 놓을 만하지요. 누구나 다르기에 다른이입니다만, 우리가 어떤 마음으로 서느냐에 따라서 다른님이나 다른놈으로 마주합니다. 목소리가 달라고 딴놈이라고 내치기 일쑤인데, 다르니까 다른별에 다른꽃이지 않을까요. 그저 멀리 내팽개치거나 윽박질러야 할까요. 누구나 작은사람이에요. 누구나 작은꽃에 작은별입니다. 큰몫을 바라는 큰사람이나 큰꽃이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한밑천을 노리며 뜬금없이 굴 까닭도 없어요. 저마다 사람이라는 이름이 같습니다. 우리는 이름만 같을는지, 숨빛으로 같을는지 곱씹을 노릇입니다. 스스럼없이 자리를 내주거나 베풀 마음이 있는지 돌아봐야지 싶습니다. 어깨동무를 할 짬을 내요. 손을 잡을 말미를 두어요. 억지로 일만 하지 말아요. 즐겁게 일을 쉬면서 두런두런 이야기를 펼 틈새를 놓아요. 안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안 짓는 손길도 없습니다.


ㅍㄹㄴ


어른먼저·어른따르기·어른길·어른빛·어른사랑·어른올림 ← 경로우대


떼돈·목돈·큰돈·큰밑천·큰몫·우람돈·우람밑천·한밑천·한밑돈·한몫·한바탕·한탕·한판돈·한탕돈·한바탕돈 ← 거대자본


남·남남·다르다·다른별·다른꽃·다른이·다른사람·다른놈·다른짝·다른짝꿍·딴·딴사람·딴놈·딴아이·딴님·이름만 같다·이름은 같다·멀다·멀디멀다·머나멀다·뜬금없다·엉뚱하다 ← 동명이인(同名異人)


일을 쉬다·쉬다·말미·짬·틈새·거르다·건너다·안 짓다·안 하다 ← 비번(非番)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3.6.

오늘말. 즈믄빛


열예닐곱 살 즈음에 처음 ‘즈믄’이라는 낱말을 들으면서 속으로 뭔 이런 낱말이 다 있나 싶었습니다. 그저 죽어버린 우리 옛말인가 하고 어림해 보면서도, 우리 나름대로 하나둘셋넷 즐겁게 세던 길이 넉넉했다고 느꼈어요. 이러다가 새즈믄을 넘어서면서 한동안 적잖은 사람들이 즈믄길에 즈믄빛을 혀에 얹더군요. 새즈믄을 넘어선 지 스물 몇 해가 지나니, 이제는 즈믄길을 떠올리는 사람도 가뭇없이 사라집니다. 누가 빗장을 걸거나 채우지 않습니다. 묶는 사람도 묶지 않는 사람도 바로 우리 스스로입니다. 쉰어깨란 무엇일까요? 마흔어깨나 예순어깨가 있어야 할까요? 길턱을 치우지 않는다면 서른어깨나 스물어깨도 있을 테지요. 힘자랑이 아닌, 꼭 기운차게 해야 할 일이 아닌, 우렁차게 선보여야 할 짐이 아닌, 눈꽃 한 송이처럼 보드라운 결로 맞아들일 오늘입니다. 대단해야 하거나 커다랗게 내세울 까닭이 없습니다. 이름을 드날려야 하거나 큰돈을 쥐어야 하지 않습니다. 그저 다 끌러요. 그냥 다 풀어요. 마음을 열고 생각을 틔우고 기쁨꽃씨를 한 톨씩 심는 매무새이면 넉넉합니다. 즈믄사람이 나서지 않아도 돼요. 한 사람부터 하면 다 바꿉니다.


ㅍㄹㄴ


즈믄·즈믄길·즈믄꽃·즈믄빛 ← 천(千), 일천(一千)


열다·풀다·가두지 않다·묶지 않다·안 가두다·안 묶다·길턱 없애기·길턱 치우기·끄르다·끌르다·빗장열기·빗장풀기 ← 봉인해제


쉰어깨·쉰살어깨·어깨앓이 ← 오십견(五十肩)


기운차다·기운있다·힘차다·힘있다·힘자랑·힘으로·우렁차다·우람하다·드날리다·드세다·세다·세차다·크다·커다랗다·대단하다 ← 발산개세(拔山蓋世), 역발산기개세


결·푼·금·줄·씨·눈·눈꽃·눈깔·눈금·마디·칸·자리 ← 도(度)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3.6.

오늘말. 늧


나만 아는 사람은 되레 나부터 사랑하는 길을 모릅니다. 나만 잘되기를 바랄 적에는 나먼저 씨앗 한 톨을 심는 조촐히 즐거운 길을 등집니다. 누구나 마음대로 해야 할 노릇이지만 혼멋에 겨워 멋대로 쏘기 일쑤입니다. 나사랑이란 혼꽃이나 홑꽃이지 않습니다. 스스로 이 터전을 기쁘게 지으면서 홀가분히 일어나는 물결이기에 혼길이요 혼일꾼입니다. 다 다르게 속빛을 가꾸는 제걸음으로 신바람처럼 피어나는 꽃인 홀짓기입니다. 무엇을 느끼는지 돌아봅니다. 아직 어렴풋하다면 이 늧을 곰곰이 되새깁니다. 내가 걷는 길과 네가 디디는 걸음 사이에 어떤 봄바람이 살살 부는지 헤아립니다. 시원스레 새벽바람이 불고, 살짝살짝 아침이슬이 맺습니다. 넌지시 하늘을 보면서 두 손을 모시듯 온몸을 폅니다. 곧 나비가 깨어날 첫봄입니다. 이제 개구리가 슬슬 노래할 봄맞이입니다. 어떻게 베풀면서 기쁘게 하루를 열 만한지 생각합니다. 아직 덜먹은 매무새를 추스르면서, 좀처럼 보듬지 못한 속내를 다독이면서, 누구나 흐뭇이 반길 만한 맛을 떠올립니다. 재미란 가볍고 노래란 신납니다. 놀이란 홀가분하고 살림이란 기쁩니다. 살그머니 구름이 걷힐 듯한 날입니다.


ㅍㄹㄴ


느낌·결·늧·마음·맛·죽·흐름·물결·듯하다·듯싶다·싶다·모시다·바치다·올리다·베풀다·주다·하다·속내·속빛·속길·속꾼·속님·셈·생각·속시원하다·시원하다·풀다·마음대로·멋대로·제멋대로·제맘대로·사재기·쏘다·한턱·나만·나만 잘되기·나만 잘살기·나만 알다·나먼저·나부터·나사랑·나사랑이·나사랑꾼·나사랑멋·저만·저만 알다·저먼저·저부터·내 길·내 걸음·덜먹다·제길·제걸음·혼길·혼잣길·혼꽃·혼타기·혼자타기·홀길·홀로타기·홀꽃·혼멋·혼멋에 겹다·혼알이·혼자만·혼자 즐기다·혼자알다·혼자만 알다·혼자하다·혼잣일·혼일·혼일꾼·혼잣짓·혼짓·홀로하다·홀일·홀일꾼·홀로일·홀일·홀짓기·반갑다·기쁘다·즐겁다·신나다·신바람·흐뭇하다·좋다·재미·재미있다·가볍다·낫다·홀가분하다·걸핏·얼핏·어렴풋·문득·넌지시·살그머니·슬그머니·살살·슬슬·살짝·슬쩍 ← 기분(氣分)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3.6.

오늘말. 귀퉁이


내치려고 하면서 누구를 가장자리로 밀어냅니다. 따돌리려고 하기에 누구를 구석자리로 몰아냅니다. 끝자락이란 그저 끄트머리일는지 모르나, 둥그렇게 돌아가는 푸른별을 헤아린다면 어느 곳도 귀퉁이가 아닙니다. 모든 곳은 얼핏 가녘이나 귀 같으나, 다 다르게 가운데요 복판입니다. 서울 바깥이라서 허전하거나 힘이 없지 않습니다. 서울하고 멀기에 외지지 않아요. 여러모로 보면, 서울이란 숲하고 너무 먼 꼬마나라입니다. 서울곁이란 들숲을 등지거나 잊은 구석빼기입니다. 오히려 시골이 푸르게 빛나는 한복판이고, 서울이란 마치 가두리처럼 매캐하고 시끄러운 가생이 같습니다. 오늘날은 시골 어린이나 푸름이가 하루빨리 서울 언저리에라도 가야 한다고 등을 떠미는 얼거리입니다. 조그마한 시골 보금자리에서 나고자란 아이들이 자그마한 살림집에서 밭을 일구면서 들숲메를 품는 길을 하나도 안 북돋우는 판입니다. 들빛이 푸르게 일렁이는 들판자리란 후미진 데가 아닌, 후더분히 여름바람이 불면서 열매가 무르익는 알뜰살뜰 밭터입니다. 바깥쪽이 아닌 열매밭에 나물밭에 살림밭입니다. 서울 기스락이 아닌 멧숲 기스락으로 깃들 이웃을 기다립니다.


ㅍㄹㄴ


가두리·가장자리·가녘·가생이·구석·구석빼기·구석자리·구석지다·귀·귀퉁이·기슭·기스락·깃 ·깃새·꼬마·꼬마둥이·꼬맹이·꼬마나라·꼬마누리·끄트머리·끝자리·끝자락·작다·조그맣다·작은곳·작은나라·작은누리·작은물·작은자리·둘레·둘레고을·둘레고장·둘레마을·들자리·들녘자리·들판자리·모퉁이·모랭이·여린나라·여린누리·바깥·밖·바깥자리·바깥쪽·바깥터·밭자리·밭쪽·밭터·서울곁·서울 둘레·서울 언저리·시골·시울·언저리·외지다·후미지다 ← 변방(邊方), 변방국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