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20 : 의하면 사회발전 인간 자연 간의 간단 없는 생산적 상호작용의 결과
마르크스에 의하면, 사회발전은 인간과 자연 간의 간단 없는 생산적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 마르크스는, 사람과 숲이 끝없이 어울리면서 삶이 피어난다고 말한다
→ 마르크스가 말하길, 사람은 숲과 늘 어우러지기에 삶이 깨어난다
《資本主義와 現代社會理論》(안토니 기딘스/임영일·박노영 옮김, 한길사, 1981) 71쪽
말씨를 가다듬는 길에 따라서 마음씨가 차분히 바뀝니다. 누가 말하는 대로 따라가야 하지는 않되, 서로 어떤 말빛인지 살필 노릇입니다. 사람으로서 빛나는 말결을 돌아보고, 사람이 품는 숲빛하고 어울리는 말마디를 헤아립니다. 말 한 자락을 추스르는 사이에 삶이 피어날 수 있고, 글 한 줄을 그냥그냥 쓰다가 삶이 못 깨어날 수 있습니다. 일본이 총칼로 억누르던 무렵에 ‘토씨만 한글’인 글결이 꽤 퍼졌는데, 오늘날에는 이 같은 굴레말씨를 털어냈는지, 아니면 아직도 갇혔는지 바라보아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의하다(依-) : 무엇에 의거하거나 기초하다. 또는 무엇으로 말미암다
사회(社會) : 1.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 2. 학생이나 군인, 죄수 들이 자기가 속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르는 말 3. [사회 일반]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
발전(發展) : 1. 더 낫고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감 2. 일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됨
인간(人間) : 1. 언어를 가지고 사고할 줄 알고 사회를 이루며 사는 지구 상의 고등 동물 2. 사람이 사는 세상 3. 사람의 됨됨이 4. 마음에 달갑지 않거나 마땅치 않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자연(自然) : 1.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 우주에 저절로 이루어지는 모든 존재나 상태 2.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저절로 생겨난 산, 강, 바다, 식물, 동물 따위의 존재. 또는 그것들이 이루는 지리적·지질적 환경 3.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스스로 존재하거나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4. [철학] 사람과 사물의 본성이나 본질
간(間) : 1.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까지의 사이 2. ‘관계’의 뜻을 나타내는 말 3. 앞에 나열된 말 가운데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간단없다(間斷-) : 계속하거나 이어져 있던 것이 끊이지 아니하다 = 끊임없다
생산적(生産的) : 1. 생산에 관계되는 것 2. 그것이 바탕이 되어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것
상호작용(相互作用) : [생물] 생물체 부분들의 기능 사이나, 생물체의 한 부분의 기능과 개체의 기능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일정한 작용
결과(結果) : 1. 열매를 맺음. 또는 그 열매 2. 어떤 원인으로 결말이 생김. 또는 그런 결말의 상태 3. 내부적 의지나 동작의 표현이 되는 외부적 의지와 동작 및 그곳에서 생기는 영향이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