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기본구조



 기본구조부터 분석하여 → 바탕부터 살펴 / 밑동부터 헤아려

 사업의 기본구조를 이해하여야 → 일하는 얼개를 알아야

 이것의 기본구조부터 인식한 후에 → 이 바탕을 읽은 다음에


기본구조 : x

기본(基本) : 사물이나 현상, 이론, 시설 따위를 이루는 바탕 ≒ 기근

구조(構造) : 1. 부분이나 요소가 어떤 전체를 짜 이룸. 또는 그렇게 이루어진 얼개 2. = 구조물 3. [광업] 탁상, 섬유상 따위와 같은 광물의 형태 4. [수학] 집합과 거기에서 정하여진 연산이나 집합과 거기에서 정해진 관계 등 집합과 그것이 가지고 있는 집합론적 대상으로써 얽어진 것 5. [철학] 구조주의에서, 어떤 일을 성립시키는 것 사이의 상호 기능적 연관



  ‘기본구조’라는 한자말은 겹말입니다. 한자를 쓰고 싶다면 ‘기본’이나 ‘구조’만 쓸 노릇이지만, ‘가장·으뜸·맨·먼저·모름지기·이를테면·-부터·워낙’이나 ‘있다·갖추다·닦다·그렇다·밝다·환하다·훤하다’로 손보고, ‘밑·밑바탕·밑절미·밑틀·밑판’이나 ‘바탕·바탕길·바탕일·바탕틀·바탕판’으로 손볼 만합니다. ‘마음·넋·얼·생각·빛’이나 ‘손쉽다·쉽다·수월하다·떡먹듯·밥먹듯·꼬박·꾸준히’나 ‘뭐·음·자’로 손보고, ‘얼개·얼거리·줄거리·줄기·터·터전·틀·틀거리·판·흐름’으로 손봐요. ‘그나마·그나저나·그러나저러나·얼추·여러모로·이나마’나 ‘그냥·그럭저럭·그런대로·다만·다문·안되어도·하다못해’로 손보며, ‘그러니까·그런데·다시 말해·따라서·적어도·짧게 말해’로 손보고요. ‘이럭저럭·이런·이랬다저랬다·이러구러·이쯤·이래저래’로 손볼 수 있어요. ‘아무튼·아무래도·아무려면·아예·암튼·어디서·어째·어쨌거나·어찌저찌’나 ‘그루터기·기둥·들보·대들보·등걸’이나 ‘뼈대·뿌리·받치다·받침·싹·씨앗·씨알’로 손볼 자리가 있어요. ‘못해도·무릇·그야·그저·그쯤·보나 마나·알다시피’나 ‘처음·첫걸음·첫발·첫차림·첫터’나 ‘여느·수수하다’로 손볼 만합니다. ‘하다·노·노상·늘·마땅하다·언제나·언제라도·으레·한결같다’나 ‘따로·딱히·누구보다·무엇보다·하나도’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ㅍㄹㄴ



가입자들의 폭주로 문필업의 기본구조가 변화되고 있다

→ 손님이 물결치며 글일을 하는 바탕이 바뀐다

→ 사람들이 넘쳐서 글살림이란 뼈대가 바뀐다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이문열, 민음사, 1995) 312쪽


인간의 기본구조에 속하는 모든 요소는 앞서 주어진 것이다

→ 사람을 이루는 씨앗은 모두 일찌감치 받는다

→ 사람을 이루는 밑바탕은 모두 먼저 받아들인다

《인간과 말》(막스 피카르트/배수아 옮김, 봄날의책, 2013) 1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5.


《살림문학》

 김대성 엮음, 강경주와 13사람, 곳간, 2024.12.31.



해가 나오는 아침에 빨래를 해서 넌다. 그늘자리에 살짝만 들어서도 얼어붙는다. 낮으로 접어드니 눈발이 가볍게 날리는데, 한낮에는 여우눈이다가 어느새 눈보라로 바뀐다. 어젯밤만 해도 별이 쏟아졌는데, 늦겨울 날씨가 끝없이 너울거린다. 오늘은 노란맵밥(카레)을 한 솥 끓여놓는다. 큰아이가 밥자리에 앉아서 묻는다. “아버지 혼자 다 했어요?” “아니. 바람하고 함께 했어.” 《살림문학》을 곰곰이 읽었다. 우리가 읽고 쓰고 나눌 글이라면 모름지기 ‘살림글’일 노릇이라고 본다. 이 책은 굳이 ‘문학’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지만, 문학이 그야말로 ‘문학스러’우려면 가장 수수하게 ‘글’이면 된다. ‘시·수필·에세이·텍스트’도 마찬가지이다. 그저 ‘글’로 서려고 할 적에 더없이 빛난다. ‘회화·삽화·일러스트·이미지·도안’이 아닌 오롯이 ‘그림’으로 서려고 할 적에 참으로 빛난다. 살림하는 사람은 사랑을 한다. 사랑을 하는 사람은 살림을 한다. 살림하는 사랑이기에 삶이고, 사랑하는 살림이기에 사람이다. ‘살림·사랑·사람·삶·숲·사이·새’를 잊고 등지기에 ‘문학’에 얽매이면서 죽어간다. ‘문학상’은 자꾸자꾸 생기지만 오히려 문학이 죽어간다. 글이 아닌 허울을 붙잡느라 살아날 수 없으니까.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6.


《열두 살의 전설》

 고토 류지 글/박종진 옮김, 우리교육, 2003.11.30.



여러 날째 여우눈이 날리다가 눈보라가 몰아치는 날씨이다. 다른 고장에도 여우눈이 흔할까? 여우눈 사이로 햇볕이 가득 내리쬐기에 이동안 빨래도 널고 해바라기도 한다. 늦겨울에는 늦추위가 오면서 잎눈과 꽃눈을 북돋운다. 그저 얼른 돋으려 하지 말고, 속으로 한결 야물게 추스르고서 잎이며 꽃을 틔우라는 잎샘추위에 꽃샘바람이라고 느낀다. 낮에 가볍게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시골버스에서 끝없도록 시끄럽게 수다를 떠는 할머니가 두 분 있다. “안 시끄러운 마실길”을 바란 탓에 ‘시끌할매’를 새삼스레 만났다고 느낀다. 《열두 살의 전설》을 뒤늦지만 반갑게 읽었다. 2003년 가을은 충주와 서울을 오가면서 ‘한길사 막짓(무단출간)’ 탓에 싸우느라 그즈음에 나온 책을 제대로 못 살폈다. 그때 읽었으면 얼마나 기뻤을까 하고도 곱씹지만, 스무 해가 지난 이제 와서 읽으며 새삼스레 마음을 달랜다. 열두 살도 마흔두 살도 여든두 살도 저마다 멍들 수 있고, 이 멍울을 서로 이야기로 풀면서 다독일 수 있다. 겉으로 다가서는 매무새로는 하나도 못 바꿀 뿐 아니라 외려 덧난다. 차분히 그윽히 나즈막이 두고두고 마주하면서 손잡고 어깨동무하는 마음씨이기에 모두 녹이면서 푼다. 풋풋한 아이들 곁에는 푸른 어른이 있게 마련이다.


#後藤?二 #鈴木びんこ 

#後藤龍二 #12歲たちの傳說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줄무늬 고양이 코우메 24
호시노 나츠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4.

책으로 삶읽기 1003


《줄무늬 고양이 코우메 24》

 호시노 나츠미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4.9.15.



《줄무늬 고양이 코우메 24》(호시노 나츠미/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4)을 느긋이 읽었다. 어느새 스물넉걸음이네. 아니, 2025년 2월에 한글판 스물다섯걸음이 나왔네. 일본에서는 벌써 스물일곱걸음까지 나왔다. 고양이도 곁사람도 ‘도무지 나이가 들 낌새’가 없이 오래오래 잇는 얼거리이다. 《백귀야행》도 나이는 아예 안 들려고 하듯 줄거리를 잇는데, 이렇게 그려도 즐겁다. 굳이 한 살 두 살 열 살 스무 살 머금는 이야기를 그릴 까닭이 없다. 사람으로서 여러 숨결하고 어떻게 이웃하는 마음으로 이 삶을 상냥하며 알뜰살뜰 가꾸느냐 하는 하루를 담으면 넉넉하다. 여러 고양이하고 사람 사이에서 징검다리 노릇을 톡톡히 하는 코우메라지. 우리는 오늘 어떤 자리에서 어떤 눈망울로 어떤 살림살이를 짓는 길일까. 새봄으로 접어드는 길목에 이 아름다운 그림꽃을 곁에 놓을 수 있기를 빈다.


ㅍㄹㄴ


“난 알지롱∼. 그치, 코유키. 코우메가 아기 고양이일 때도 비슷한 일이 있었잖니.” (35쪽)


‘걱정해 주는 건 고맙지만, 조금 귀찮았던 코우메였습니다.’ (60쪽)


“내 힘으로 마법을 풀 방법이 적혀 있나? ‘제일 간단한 해결 방법은 당신 자신이 마법사가 되는 것입니다’” (88쪽)


“아무리 코우메라도 세 마리의 폭주는 막을 수 없구나.” “괜찮아∼. 코우메 때문이 아니야. 고양이한테는 할 수 없는 일도 있으니까∼.” (182쪽)



#キジトラ猫の小梅さん #ほしのなつみ #ねこぱんちコミックス


+


이족보행하는 동물이 아니라서

→ 두다리걷기가 아니라서

→ 서서걷기를 하지 않아서

→ 두발걷기를 하지 않아서

25쪽


질투가 나서 물어뜯을 걸 거야

→ 샘이 나서 물어뜯었지 싶어

→ 시샘으로 물어뜯은 듯해

39쪽


우리는 두 분의 하인이에요

→ 우리는 두 분 몸종이에요

→ 우리는 두 분 밑이에요

62쪽


언제든지 전직을 할 수 있도록 수련을 쌓는 곳

→ 언제든지 바꿀 수 있도록 갈고닦는 곳

→ 언제든지 떠날 수 있도록 배우는 곳

69쪽


제일 간단한 해결 방법은 당신 자신이

→ 가장 쉬운 풀잇길은 스스로

→ 가장 손쉬운 길은 스스로

88쪽


어릴 적에 개성적인 버릇 없었나

→ 어릴적에 다른 버릇 없었나

→ 어릴적에 튀는 버릇 없었나

→ 어릴적에 유난한 버릇 없었나

145쪽


아로마오일(정유)은 고양이에게 무척 위험한 것 중 하나입니다

→ 풀꽃물은 고양이한테 무척 나쁠 수 있습니다

→ 꽃물은 고양이한테 무척 힘겨울 수 있습니다

159쪽


세 마리의 폭주는 막을 수 없구나

→ 세 마리가 날뛰면 막을 수 없구나

→ 막나가는 세 마리는 못 막는구나

182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국대마경 2 - S코믹스 S코믹스
이시구로 마사카즈 지음, 천선필 옮김 / ㈜소미미디어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4.

책으로 삶읽기 1002


《천국대마경 2》

 이시구로 마사카즈

 천선필 옮김

 소미미디어

 2019.6.19.



《천국대마경 2》(이시구로 마사카즈/천선필 옮김, 소미미디어, 2019)을 곱씹는다. 어지럽고 또 어지럽고 다시 어지러운 나라는 어떠한지 보여주려는구나 하고 느낀다. 오늘 우리가 선 이곳이 어지럽기에 어제도 모레도 나란히 어지럽지 않겠냐고 묻는 듯하다. 이 어지러운 수렁을 어쩌겠느냐고, 네가 네 작은손으로 뭘 바로잡거나 고칠 수 있느냐고 슬며시 웃으며 묻는구나 싶다. 그런데 나는 어지러운 나라를 고칠 마음이 터럭만큼도 없다. 언제나 오늘 새벽에 눈뜬 이 하루를 노래하려는 마음이다. 밤에 고요히 잠들어 꿈길을 거닐면서 새그림을 품고, 새삼스레 새벽을 맞이하면서 반갑게 몸을 일으키려는 마음이다. 거룩하거나 대단하다는 뜻을 내세울수록 더 어지럽히더라.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일구는 사람은 예나 이제나 한결같이 사랑이더라. 목소리만 높이는 무리는 예나 이제나 그들 밥그룻을 거머쥐면서 힘으로 사람들을 억누르려고 하더라.


ㅍㄹㄴ


“꼬맹이 한 놈만 쫓아왔어! 해치워버리는 게 더 빠르겠는데!” (11쪽)


‘가끔씩 느껴지는, 좋아하는 여자의 몸을 손에 넣었다는 음침한 기쁨.’ (58쪽)


“잠깐 잠깐! 사정도 모르면서 폭력을 휘둘러도 되는 거야? 내가 잘못한 거면 어쩌려고.” (173쪽)


#天国大魔境 #石黒正数 


+


가끔씩 느껴지는, 좋아하는 여자의 몸을 손에 넣었다는 음침한 기쁨

→ 가끔 느끼는, 좋아하는 가시내 몸을 손에 넣었다는 구린 기쁨

→ 가끔 느끼는, 좋아하는 순이 몸을 손에 넣었다는 고약한 기쁨

58쪽


불운이 겹쳐서 이 마을에 있을 수 없게 되었지

→ 구렁이 겹쳐서 이 마을에 있지 못했지

→ 바닥이 겹쳐서 이 마을에 있을 수 없었지

66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