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 - 가장 진실한 허구, 퍼렇게 빛나는 문장들
존 밴빌 지음, 이수경 옮김 / 이터널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7.6.

까칠읽기 82


《케플러》

 존 밴빌

 이수경 옮김

 이터널북스

 2023.12.15.



  우리나라에는 어쩐지 ‘갈릴레오’만 지나치게 알려지고 ‘케플러’는 제대로 안 알려졌다. ‘세계문학’과 ‘위인전’이라는 이름조차 일본이 붙였고, 이 얼거리를 고스란히 받아들인 뿌리가 깊은 탓이라고 할 만하다. 더구나 적잖은 ‘갈릴레오 위인전’은 틀린 이야기를 그저 추켜세우려는 뜻으로 그냥 싣기까지 한다.


  케플러 이야기를 알아보는 길동무가 될까 싶어서 《케플러》를 읽었으나, ‘소설’이라는 핑계를 붙인 글인 탓일까. 처음부터 끝까지 곁다리를 긁는 쪽으로 한참 기운다. ‘소설’이라는 틀이기에 글쓴이 마음에 따라서 요모조모 살을 입힐 수 있다지만, 굳이 왜 이런 글을 써야 하는지 아리송하다. 어쩌면 ‘누가 영화로 찍어 주기 바라’면서 글을 썼구나 싶기까지 하다.


  케플러라는 사람이 짝꿍을 만나서 어떻게 살을 섞었는지, 가시아버지하고 어떻게 부딪혔는지, 이런저런 뒷이야기를 적는 글이 ‘소설’이라면, 이 꾸러미도 이모저모 이바지하리라 본다. 그렇지만 케플러를 다루려는 글이라 한다면, 어릴적부터 별을 지켜보면서 마음을 키운 길을 그려야 어울리지 않을까? 처음 별을 마주한 기쁨과, 처음 별길을 찾아낸 보람과, 처음 별을 마음에 품으면서 꿈을 그리는 사랑을 그려야 비로소 소설이지 않을까?


  끝없이 풀고 다시 맺는 길을 거쳐서 드디어 ‘화성 돌잇길’을 찾아낸 손빛을 그려내기가 그렇게까지 어려울까? 아무래도 《케플러》라는 책은 오히려 ‘케플러’를 더 알 길 없는 수렁으로 몰아넣는 담벼락 같다. 케플러를 다루는 몇 없는 한글판이 이토록 후줄근하다니 더없이 슬픈 일이다.


ㅍㄹㄴ


바르바라와 장인이 보기에 케플러의 천문학 연구는 시간이 남아서 하는 소일거리, 그의 무책임함을 증명하는 행동일 뿐이었다. (32쪽)


놀란 눈동자처럼 부풀어 있는 젖가슴과 단단해진 젖꼭지……. 케플러는 아내에게 다가갔다. 마치 조각난 껍데기처럼 옷을 하나씩 바닥으로 떨어뜨리며, 그녀는 발끝으로 서더니 그의 어깨 너머로 창문 밖 거리를 흘겨보았다 … 그것은 지나친 동시에 충분치 않았다. 둘 사이의 가장 진실하고 본질적인 어우러짐이 그저 욕정에 불타 살을 섞는 행위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한 것이다. 케플러는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그것을 깨달았고 바르바라는 끝내 깨닫지 못했다. (87쪽)


하인리히가 한 손에 술잔을 든 채 은밀한 미소를 띠며 비틀비틀 다가와 형의 의자 옆에 웅크리고 앉았다. “무슨 파티 같다, 그렇지? 더 자주 와.” 그가 씨근거리며 웃었다. (179쪽)


#KeplerAnovel (1981년) #JohnBanville


+


《케플러》(존 밴빌/이수경 옮김, 이터널북스, 2023)


이 상황도 아침에 꾼 꿈의 파편일까

→ 이 일도 아침에 본 꿈조각일까

19쪽


직무를 다시 배분해야겠군

→ 일감을 다시 갈라야겠군

→ 일을 다시 나눠야겠군

25쪽


잠시 내면의 평온을 얻는다 해도

→ 한동안 고요하다 해도

→ 문득 마음이 차분하더라도

→ 살짝 차분할 수 있다 해도

27쪽


무엇인가가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느꼈다

→ 무슨 일이 조용히 흐르는 줄 느꼈다

→ 넌지시 뻗어가는 일을 느꼈다

91쪽


이따금씩 흐느끼는 소리만 희미하게 새어 나왔다

→ 이따금 흐느끼는 소리만 흐릿하게 새어나온다

91쪽


만리타향에서 저렇게 개처럼 죽어가다니

→ 멀리에서 저렇게 볼품없이 죽어가다니

→ 아득터에서 저렇게 초라하게 죽어가다니

135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 - 생존이 곧 레퍼런스인 여자들의 남초 직군 분투기
박진희 지음 / 앤의서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7.6.

까칠읽기 81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

 박진희

 앤의서재

 2024.6.15.



  “생존이 곧 레퍼런스인 여자들의 남초 직군 분투기”라는 작은이름을 달고 나온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를 읽었다. 이미 줄거리를 못박은 책이다. 엮은이는 ‘사내밭’에서 일하는 가시내를 만나면서 “힘들게 싸우는 일순이”를 드러내고 싶었구나 싶은데, 막상 숱한 ‘일순이’는 스스로 하고픈 일을 찾아가는 길이었을 뿐, 이 길이 아니어도 똑같이 어디에서나 가시밭길을 거쳐야 한다고 여기는 마음이다.


  사내라서 쉽게 일자리를 얻지 않는다. 사내라서 어느 일터에 쉽게 못 들어간다. ‘그곳(일터)’에서 일할 만한 슬기와 마음과 몸을 갈고닦아야 한다. 지난날에는 사내가 집안을 먹여살리는 몫을 도맡다시피 했기에 저절로 ‘사내밭’이었고, 이제는 굳이 사내가 집안을 먹여살릴 까닭이 없기에 ‘누구나’ 일할 수 있다.


  사내는 아기를 못 낳고, 아기한테 젖을 못 물리지만, 둘을 뺀 다른 모든 아기돌봄은 할 수 있고, 할 만하며, 할 노릇이다. 사내로서 아기를 돌보고 키울 적에는 언제나 순이밭에 깃들어야 한다. 이때에 ‘아기엄마’는 ‘아기아빠’를 어떤 눈으로 볼까? 사내가 집일과 집살림을 맡으면서 삶이 무엇인지 배워야 한다고 차분히 들려주거나 길동무로 지내는 분도 많지만, 혀를 차거나 빈정대는 분도 많다.


  여러모로 보면, 우리 터전에서 가장 골때리는 곳은 푸른지붕이나 벼슬터라고 할 만하다. 누가 나라지기를 맡는가? 누가 벼슬꾼(국회의원·시도지사·군수)을 맡는가? 우리 삶터 곳곳에서 으레 밑자리라 여길 일터를 도맡은 사람은 ‘작은돌이’이다. 작은돌이가 맡은 작은일터로 선뜻 찾아오는 사람은 누구일까? 이제는 조금조금 늘기는 하지만, 서울을 떠나서 시골에서 논밭지기로 일하려는 순이는 대단히 드물다. 조금조금 늘되, 시외버스·고속버스·대형화물을 모는 일터를 찾는 순이도 아주 드물다. 시골버스를 몰겠다는 꿈을 품는 시골순이는 몇이나 될까?


  ‘돈·이름·힘’을 거머쥐는 적잖은 자리에서 적잖은 꼰대돌이는 순이뿐 아니라 작은돌이도 손사래치면서 그들끼리 담벼락을 쌓았다. ‘돈·이름·힘’하고 머나먼 곳에서 일하려는 마음부터, 아니 ‘돈·이름·힘’이 아니라 ‘살림·사랑·숲’이라는 마음을 가꾸려는 길을 열려고 할 적에 온누리를 바꾼다고 느낀다.


  “생존이 곧 레퍼런스”는 무슨 뜻일까? ‘레퍼런스’란 무엇인가? 이런 영어를 왜 써야 할까? 그저 낮고 작게 일하되, 언제나 스스로 북돋우고 살리고 사랑하는 자리에서, 들숲메바다를 품는 빛살을 헤아리려고 한다면, 이 책은 아주 달랐으리라 본다. 오히려 오늘날 ‘아기를 낳아 돌보는 집살림’이란 무엇인지 제대로 밝히는 만나보기를 하면서 이야기를 들을 때이지 않을까?


ㅍㄹㄴ


그때 깨달았어요. 할 수 있다면, 해야 할 일 앞에선 나이도 성별도 중요하지 않다는 걸요. 나이가 많다고 해서, 혹은 여자라고 해서 기회를 박탈하면 안 된다는 것을요. 그걸 배웠기에 일본에서 나이 많은 어르신들과 일했던 게 좋은 추억으로 남아 있어요. (26쪽)


지금은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사회적 진출을 금지하는 시대가 아니잖아요. 사회가 과거 전통적인 여성상을 바라고 강요하기보다 박수 쳐주고 응원하는 분위기고요. 국가 차원에서도 여성이 일할 수 있는 더 나은 환경을 만들어주지 않을까, 저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47쪽)


+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공모전에서 입상한 글과

→ 글잔치에 붙은 글과

→ 글마당에 뽑힌 글과

4쪽


남초 직군에서 일하는 여성 혹은 여초 직군에서 일하는 남성 어른들의 이야기를

→ 사내밭에서 일하는 가시내, 또는 가시내밭에서 일하는 사내 어른들 이야기를

5쪽


인터뷰이들 역시 숱한 시행착오를 겪었음에도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었다

→ 사람들은 숱하게 부딪혔어도 조금씩 나아진다고 얘기해 주었다

→ 이분들은 숱하게 넘어졌어도 조금씩 나아진다고 들려주었다

9쪽


어떤 이들을 만날지 리스트를 짜며 나는 그녀를 1번으로 정했다

→ 어떤 이를 만날지 죽 짜며 이분을 첫째로 꼽았다

→ 누구를 만날지 타래를 짜며 이이를 꼭두로 삼았다

→ 만날 분을 모둠으로 짜며 이녁을 으뜸으로 두었다

15쪽


조경에 관해 제로베이스인 상태니, 일본의 잘 관리된 정원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는 것이

→ 나무손질은 밑바닥이니, 일본에서 잘 손질한 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 뜰살림은 모르니, 일본에서 잘 돌본 꽃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18쪽


반년쯤 지났을 때 사장님이 하네스(나무 탈 때 사용하는 장비)를 사주셨어요

→ 여섯 달쯤 지났을 때 지기님이 멜빵(나무타기 연장)을 사주셨어요

→ 여섯 달쯤 지났을 때 일터지기님이 질바(나무타기 연장)를 사주셨어요

20쪽


종종 현장에서 제가 발주한 나무가 들어오는 걸 확인할 때가 있어요

→ 가끔 일터에서 제가 맡긴 나무가 들어올 적에 살펴봐요

→ 이따금 일터에서 제가 넣은 나무가 들어와서 들여다봐요

24쪽


그녀가 정의定義했던 정의正義로운 세상을 종종 생각했다

→ 이분이 들려주던 밝은누리를 곧잘 생각한다

→ 그분이 밝히던 들빛누리를 이따금 생각한다

78쪽


수민 씨의 임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당연히 화재진압이다

→ 수민 씨 일 가운데 불끄기가 마땅히 가장 크다

→ 수민 씨는 불잡는 일이 마땅히 가장 크다

89쪽


또한, 대동물 수의사들은 소나 말처럼 제 몸보다 더 크고 무거운 동물을 상대해야 하므로

→ 또한 큰짐승 돌봄이는 소나 말처럼 제 몸보다 더 크고 무거운 짐승을 마주해야 하므로

123쪽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갈등의 현장이 되기 마련이다

→ 싸움터마냥 골깊은 곳이 되게 마련이다

→ 불바다처럼 불꽃튀게 마련이다

164∼165쪽


연대에 꼭 확실한 명분이나 제대로 된 명패가 있어야 할까

→ 두레에 꼭 대단한 뜻이나 제대로 이름판을 붙여야 할까

→ 어깨동무에 꼭 무슨 길이나 제대로 이름을 붙여야 할까

20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조경 造景


 조경 사업 → 나무일 / 뜰살림 / 멋내기

 조경 공사 → 뜰짓기 / 꾸밈길 / 멋짓기

 조경에 유달리 신경을 썼다 → 꽃살림에 남달리 마음을 썼다


  ‘조경(造景)’은 “경치를 아름답게 꾸밈”을 가리킨다지요. ‘꽃살림·꽃살이·꽃삶·꽃일’이나 ‘나무손질·멋·멋길·멋꽃·멋내다·멋살림’으로 풀어낼 만합니다. ‘뜰일·뜰살림·뜰짓기’나 ‘밭일·밭살림·밭짓기·밭지음’으로 풀어내고, ‘손보다·손대다·손질·꾸미다’로 풀어낼 만하지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조경’을 아홉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ㅍㄹㄴ



조경(兆京) : 조(兆)와 경(京)이라는 뜻으로, 아주 많은 수를 이르는 말

조경(鳥逕) : 새나 겨우 통할 정도로 좁은 산속 길

조경(照鏡) : 1. 물건을 비추어 보는 거울 2. 거울에 물건을 비추어 봄

조경(趙絅) : [인명] 조선 인조·효종 때의 문신(1586∼1669)

조경(趙儆) : [인명] 조선 시대의 무신(1541∼1609)

조경(潮境) : [해양] 성질이 다른 해류가 만나서 불연속선을 이루는 수렴선. 그 경계에는 소용돌이가 생겨 해류의 교환과 혼합이 심해서 영양 염류가 풍부하고, 부유 생물이 모임에 따라 고기 떼가 몰려 큰 어장이 된다

조경(調經) : 월경(月經)을 고르게 함

조경(藻鏡) : 사람을 겉만 보고도 그 인격을 알아보는 식견 = 조감

조경(躁競) : 마음을 조급히 굴면서 권세를 다툼



조경에 관해 제로베이스인 상태니, 일본의 잘 관리된 정원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는 것이

→ 나무손질은 밑바닥이니, 일본에서 잘 손질한 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 뜰살림은 모르니, 일본에서 잘 돌본 꽃뜰이나 나무를 보고 배우면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1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발주 發注


 당분간 발주를 늦춰 → 한동안 일을 늦춰

 발주만 해 놓고 → 일만 맡겨 놓고

 발주한 돈을 돌라대어 → 시킨 돈을 돌라대어


‘발주(發注)’는 “물건을 보내 달라고 주문함. 주로 공사나 용역 따위의 큰 규모의 거래에서 이루어진다”를 뜻한다고 하는군요. ‘맡다·맡기다·내맡기다’나 ‘심부름·시키다’로 다듬습니다. ‘주다·넣다·놓다·걸다’나 ‘일·일감·일거리·일살림·일줄’로 다듬어도 되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발주(發走)’를 “1. 달리기 시작함 2. [체육] 경마에서, 그 회의 경기가 시작됨 3. [체육] 경륜에서, 그날의 첫 경기가 시작됨”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네가 발주해 주면 몇 개든 만들지

→ 네가 시켜 주면 몇이든 하지

→ 네 일감이면 몇이든 해보지 

《하루카의 도자기 2》(플라이 디스크 글·니시자키 타이세이 그림/윤지은 옮김, 대원씨아이, 2012) 17쪽


공사를 발주하고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한 당사자로서

→ 일을 맡기고 일삯을 치르지 못한 쪽으로서

《검찰개혁과 촛불시민》(조국백서추진위원회, 오마이북, 2020) 308쪽


종종 현장에서 제가 발주한 나무가 들어오는 걸 확인할 때가 있어요

→ 가끔 일터에서 제가 맡긴 나무가 들어올 적에 살펴봐요

→ 이따금 일터에서 제가 넣은 나무가 들어와서 들여다봐요

《남자가 많은 곳에서 일합니다》(박진희, 앤의서재, 2024) 2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신조 信條


 검약과 근면을 신조로 삼다 → 아낌과 땀을 다짐으로 삼다


  ‘신조(信條)’는 “1. 굳게 믿어 지키고 있는 생각 2. [종교 일반] 신앙의 조목 또는 교의(敎義)”를 가리킨다지요. ‘가르침’이나 ‘곁다짐·곁말’이나 ‘길·목소리·뜻’으로 손질합니다. ‘삶길·살림길’이나 ‘배움말·배움글·배움하루’나 ‘익힘말·익힘글·익힘하루’로 손질할 만합니다. ‘다짐·믿음·그릇’이나 ‘불빛·빛·빛줄기·횃불’이나 ‘넋·얼·키·키잡이’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신조’를 일곱 가지 더 싣는데 몽땅 털어냅니다. ㅍㄹㄴ



신조(宸藻) : 임금이 손수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 어필

신조(神助) : 신의 도움 ≒ 신우

신조(神造) : 신이 만든 것

신조(神鳥) : 신령한 새

신조(晨朝) : 1. 오전을 셋으로 나눌 때에, 묘시(卯時)와 사시(巳時) 사이 2. [불교] 아침에 행하는 근행(勤行)

신조(新造) : 새로 만듦

신조(新調) : 1. 새로 어울리게 만듦 2. 새로운 곡조



바꾸어 말하면 민족의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철학적 신조나 종교적 신앙을 존중하고

→ 바꾸어 말하면 겨레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눈빛이나 믿음빛을 따르고

→ 바꾸어 말하면 겨레 테두리를 넘어선 모든 목소리나 믿음길을 우러르고

《현대 지성과의 대화 1》(렉스프레스지 엮음/홍순호 옮김, 중앙일보사, 1979) 32쪽


하나의 신조를 가지고 있다

→ 하나를 다짐하였다

→ 한뜻을 세웠다

→ 곁말 하나가 있다

《행동하는 양심으로》(김대중, 금문당, 1985) 31쪽


카리스마적인 지도자들이 등장, 고대 교단 종교의 신조와 관행들에 도전하면서 새로운 종교와 철학을 창시했다

→ 기운차게 이끄는 이가 나오고, 옛 믿음길과 실림길에 맞서면서 새 믿음길과 삶넋을 세웠다

→ 훌륭히 앞장서는 이가 나오고, 옛 믿음길과 삶길에 맞서면서 새 믿음길과 살림빛을 일으켰다

《작은 인간》(마빈 해리스/김찬호 옮김, 민음사, 1995) 405쪽


나에게는 신조가 있다

→ 나한테는 믿음이 있다

→ 나한테는 뜻이 있다

→ 나는 다짐한다

《오늘은 운동하러 가야 하는데》(이진송, 다산책방, 2019) 1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