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멜 심해수족관 8
스기시타 키요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3.

책으로 삶읽기 999


《마그멜 심해수족관 8》

 스기시타 키요미

 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2.12.31.



《마그멜 심해수족관 8》(스기시타 키요미/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2)을 읽었다. 바다밑 이야기를 바탕으로 뭍사람 살림길을 넌지시 얹는 얼거리이기는 한데, 어쩐지 갈수록 바다밑하고 동떨어진 곳으로 헤맨다고 느낀다. 바다밑 이야기로 더 그릴 줄거리가 없다면 그만 그리는 쪽이 낫지 않을까. 자꾸자꾸 이쪽도 끌어당기고 저쪽도 잡아당겨서 이어가야 할까. 이른바 ‘좋은뜻’으로 ‘좋게좋게’ 잇는 길이 ‘나쁠’ 일은 없다. 그러나 좋은뜻만 앞세우느라 막상 바다와 뭍이 얽힌 수수께끼로 다가서는 길하고는 한참 먼 채 곁가지만 건드리는구나 싶다. 바다밑 이웃은 “알 수 없는” 목숨붙이라고 할 수 없다. 바닷가 이웃조차 제대로 알지 못 하는 사람이지 않은가? 들풀과 나무 한 그루가 얼마나 깊고 너른 숨붙이인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몇일까? 더 나아가 ‘나’라고 하는 사람 스스로도 어떤 삶인지 모른다고 하는 《마그멜 심해수족관》 줄거리인데, 모르고 모르고 또 모르니까 여기저기 들쑤시면서 헤매는 얼거리로 갈팡질팡인가 싶기도 하다.


ㅍㄹㄴ


“이런 일은 대학의 수의학부에서 배우나요?” “아니요. 사육을 해봐야 비로소 알 수 있는 일들뿐이에요. 우리가 사육하는 생물은 미지의 생물이니까요.” (131쪽)


“몸의 성별을 눈으로 보면 알 수 있듯이, 마음의 성별을 눈으로 보면 알 수 있다면 조금은 이해해 줄까요?” (168쪽)


“제 옆에도 그런 말을 해주는 사람이 있었다면 좋았을 텐데.” “그러면 내가 너에게 같은 말을 해줄게.” (175쪽)


#マグメル深海水族館

+


시각 장애도 사람마다 얼마나 보이지 않는가는

→ 감은눈도 사람마다 얼마나 보이지 않는가는

→ 눈먼꽃도 사람마다 얼마나 보이지 않는가는

17쪽


역시 심해는 그로테스크한 동물뿐이구나

→ 깊바다는 무서운 짐승뿐이구나

→ 깊바다는 우락부락 짐승뿐이구나

25쪽


아주 작은 공방이

→ 아주 작은 다툼이

→ 아주 작은 싸움이

40쪽


저런 좁은 사각형 안에서 줄지어 헤엄치는 것보다는

→ 저런 좁고 네모난 틀에서 줄지어 헤엄치기보다는

→ 저런 좁고 네모난 곳에서 줄지어 헤엄치기보다는

92쪽


잘 처신하고 있으니 괜찮아요

→ 잘 하니까 걱정없어요

→ 잘 돌보니까 됐어요

→ 잘 다루니까 됐어요

144쪽


소수자라도 아무 문제는 없는데

→ 작은이라도 아무 일 없는데

→ 작은길이라도 되는데

145쪽


적에게 습격당할 때 더미가 될 가짜 자신이란 말이야

→ 놈이 칠 때 눈속임이 될 몸이란 말이야

→ 놈이 달려들 때 속이는 몸이란 말이야

→ 놈이 들이칠 때 꾸미는 몸이란 말이야

165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직계비속·직계존속



 직계비속의 범위가 → 어디까지 핏줄인지 / 누구까지 아이인지

 직계존속한테서 증여를 받다 → 한집안한테서 물려받는다 / 어버이한테서 받다


직계비속(直系卑屬) : [법률] 자기로부터 직계로 이어져 내려가는 혈족. 아들, 딸, 손자, 증손 등을 이른다

직계존속(直系尊屬) : [법률] 조상으로부터 직계로 내려와 자기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 부모, 조부모 등을 이른다



  피로 이으면서 딸이며 아들을 가리킬 적에는 ‘딸아들·아들딸’이나 ‘아이·아이들’이라 하면 됩니다. 피로 이을 적에 어버이를 가리키면 ‘어버이·엄마아빠·아빠엄마’나 ‘한어버이’라 하면 되어요. 여럿을 뭉뚱그려서 피로 잇는다고 할 적에는 “피로 잇다·피로 맺다”라 할 수 있습니다. ‘피·핏줄·한핏줄’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집·집안·집길·집줄기·집꽃’이나 ‘집사람·집안사람·집내기·집이름’이기도 하며, ‘한집·한집안’이나 ‘한님·한줄기·한지붕’이기도 합니다. ‘겨레·겨레붙이’나 ‘곁사람·살붙이·피붙이’라든지 ‘씨내림·씨마을·씨줄’이라 해도 어울려요. ‘온집·온집안·온지붕’이나 ‘우리·울·저희’라 해도 되어요. ㅍㄹㄴ



3세이든 4세이든 고려인의 직계비속이기만 하면

→ 셋째이든 넷째이든 고려사람 핏줄이기만 하면

→ 석길이든 넉길이든 고려사람 한핏줄이라면

→ 셋째이든 넷째이든 고려사람 딸아들이면

《10대와 통하는 생활 속 법률 문해력》(서창효와 네 사람, 철수와영희, 2024) 102쪽


농사를 짓는 직계존속이 있다면

→ 논밭을 짓는 핏줄이 있다면

→ 땅을 짓는 살붙이가 있다면

→ 흙을 짓는 한집안이 있다면

→ 논밭을 짓는 어버이가 있다면

《너무나 정치적인 시골살이》(양미, 동녘, 2024) 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자연숭배



 자연숭배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 숲넋을 북돋았다

 경건하게 자연숭배를 한다 → 참하게 풀꽃바라기를 한다

 자연숭배로부터 영적 세계의 믿음으로 진화 → 숲바라기부터 넋길을 믿도록 거듭남


자연숭배(自然崇拜) : [종교 일반] 특정한 자연 현상이나 자연물을 신성시하고 숭배하는 일. 원시 종교의 한 경향이며, 크게 태양·달·별·비·바람·천둥 따위의 천체 현상과, 대지·불·물·강·산악·암석 따위의 지상 현상, 그리고 수목이나 동식물 따위가 대상이 된다 ≒ 자연물 숭배·천연물 숭배·천연 숭배



  숲을 바라보며 섬기는 마음이라면 ‘숲바라기·숲사랑’이나 ‘풀바라기·풀꽃바라기’라 할 만합니다. ‘풀사랑·푸른사랑·풀꽃사랑’이라 해도 어울립니다.‘숲길·숲결·숲으로’나 ‘숲넋·숲눈·숲답다·숲뜻·숲빛’이나 ‘숲사랑·숲살림·숲짓기·숲하루’로 담아낼 만합니다. 숲처럼 나아갈 적에는 꾸미지 않아요. ‘꾸밈없다·수수하다·투박하다·그대로·있는 그대로·거짓없다’라 할 만하고, ‘푸른길·풀빛길’이나 ‘푸르다’로 나타내어도 어울려요. ‘들꽃·들빛·들사랑’이나 ‘들살림·들하루’이라든지 ‘해바람·해바람비·해바람비흙’으로 나타낼 만하지요. ‘부드럽다·보드랍다·푸근하다·따뜻하다·따사롭다·아늑하다’로 나타내어도 되고요. ㅍㄹㄴ



경건한 의미에서 볼 때에는 자연숭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다

→ 거룩하게 볼 때에는 숲사랑에서 먼 듯하다

→ 드높이며 볼 때에는 숲넋하고 동떨어진 듯하다

《나비》(헤르만 헤세/홍경호 옮김, 범우사, 1989) 2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기층정서



 한국인의 기층정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 한겨레 밑넋을 살피려고

 기저에 깔린 기층정서를 표현한 것으로 → 밑자락에 깔린 마음을 그렸고

 기층정서를 무시한다면 → 처음넋을 얕본다면


기층정서 : x

기층(基層) : 어떤 사물의 바탕을 이루는 층

정서(情緖) : 1.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 또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분이나 분위기 2. [심리] = 정동(情動)



  바탕이나 밑에 있는 마음이라면 ‘밑넋·밑마음’이라 하면 됩니다. ‘처음마음·첨마음·처음넋’이나 ‘첫넋·첫마음’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표준어 사정査定의 완고한 기제가 언중의 두터운 기층 정서에 말미암아 누그러진 대표적인 사례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싶다

→ 맞춤말을 고지식하게 살피다가 사람들이 널리 쓰는 말씨에 말미암아 누그러진 보기로 손꼽을 만하지 싶다

→ 맞춤말을 꼬장꼬장 짚던 밑동이 사람들 말씨에 말미암아 누그러진 보기로 꼽을 만하지 싶다

《우리말 기본기 다지기》(오경철, 교유서가, 2024) 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정적 靜寂


 정적에 잠긴 산속 → 고요에 잠긴 산속

 정적을 깨뜨리다 → 고요를 깨뜨리다

 정적이 감돌다 → 고요가 감돌다

 정적이 흘렀다 → 고요가 흘렀다


  ‘정적(靜寂)’은 “고요하여 괴괴함”을 뜻한다고 합니다. ‘고요하다’를 찾아보면 “조용하고 잠잠하다”를 뜻한다 하고, ‘괴괴하다’는 “쓸쓸한 느낌이 들 정도로 아주 고요하다”를 뜻한다 해요. ‘조용하다’는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고 고요하다”를 뜻한다 하고, ‘잠잠(潛潛)하다’는 “분위기나 활동 따위가 소란하지 않고 조용하다”를 뜻한다 합니다. 그러니까 ‘정적 = 고요 + 고요’인 꼴이고, ‘고요 = 조용 + 잠잠’인 꼴이며, ‘고요 = 조용 + 조용’인데, ‘조용 = 고요’인 셈입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뜻풀이가 엉망진창으로 돌림풀이일 뿐입니다. ‘조용하다’고 할 적에는 소리가 매우 낮습니다. 그래서 “조용히 말하렴”처럼 쓰기도 해요. 이와 달리 “고요히 말하렴”처럼 쓰지 못합니다. ‘조용’이라는 우리말은 소리가 매우 낮고 몸짓도 아주 느린 느낌을 나타낸다면, ‘고요’라는 우리말은 소리도 몸짓도 아무것도 없이 멎었다고 할 만한 느낌을 나타냅니다. 이러구러 한자말 ‘정적(靜寂)’은 ‘고요·고요하다·고요빛·고요숨’이나 ‘고즈넉하다·고즈넉이·가만히·가만가만’으로 고쳐씁니다. ‘감은눈·감은빛·점잖다·조용하다’나 ‘다소곳하다·얌전하다·오솔하다’로 고쳐써요. ‘떠나다·사라지다·쥐죽다’나 ‘새근새근·숨죽이다·자다·잠들다’로 고쳐쓰고, ‘없다·소리없다·허전하다·죽다’로 고쳐쓰지요. ‘호젓하다·잔잔하다·지긋하다’나 ‘차분하다·참하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정적만이 감돌던 밤하늘

→ 고요만이 감돌던 밤하늘

→ 아뭇소리 없던 밤하늘

→ 죽음만이 감돌던 밤하늘

→ 모두 죽은 듯한 밤하늘

《체르노빌의 아이들》(히로세 다카시/육후연 옮김, 프로메테우스출판사, 2006) 10쪽


캄캄한 밤과 정적이 사라진 탓

→ 캄캄한 밤과 고요가 사라진 탓

→ 캄캄밤과 참한빛이 사라진 탓

《마녀 배달부 키키 2》(가도노 에이코/권남희 옮김, 소년한길, 2011) 8쪽


고요한 아침시간. 바다는 정적에 싸여 있다

→ 고요한 아침. 바다는 고요에 싸였다

→ 고요한 아침. 바다는 그저 고요하다

→ 고요한 아침. 바다도 고요할 뿐이다

→ 고요한 아침. 바다는 소리도 몸짓도 없다

《은빛 물고기》(고형렬, 최측의농간, 2016) 188쪽


정적이 흘렀다

→ 고요가 흘렀다

→ 고요했다

→ 쥐죽은 듯했다

→ 아뭇소리 없다

《로알드 달의 위대한 단독 비행》(로알드 달/최지현 옮김, 살림Friends, 2016) 97쪽


이 선전문을 읽고서 우리는 잠시 정적헤 휩싸였습니다

→ 이 알림글을 읽고서 우리는 한동안 고요했습니다

→ 이 글월을 읽고서 우리는 한동안 입을 다물습니다

→ 이 글자락을 읽고서 우리는 한동안 말이 없습니다

《플랜던 농업학교의 돼지》(미야자와 겐지/차주연 옮김, 달팽이, 2016) 103쪽


어둡고 깊은 밤 고요한 정적 속에서 조용히 산짐승들의 휴식처가 되었을 때

→ 어둡고 깊은 밤 고요한 곳에서 멧짐승 쉼터가 되었을 때

→ 어둡고 깊은 밤 고요히 멧짐승 쉼터가 되었을 때

《안녕, 동백숲 작은 집》(하얼과 페달, 열매하나, 2018) 52쪽


정적만 흐를 뿐이에요

→ 고요하기만 해요

→ 아뭇소리가 없어요

《어둠 속에 혼자서》(콘스탄체 외르벡 닐센·외위빈 토르세테르/정철우 옮김, 분홍고래, 2022) 22쪽


타오 씨의 엉뚱한 대답에 잠시 정적이 흐른다

→ 타오 씨가 엉뚱히 말하니 살짝 조용하다

→ 타오 씨가 엉뚱히 말해서 한동안 조용하다

《타오 씨 이야기》(장재은, 사계절, 2024) 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