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집회 集會


 평화적 집회 → 조용한 물결

 집회를 열다 → 모임을 열다

 집회에 참가하다 → 들물결에 가다

 집회 장소를 정하다 → 모임터를 잡다

 집회를 봉쇄하기로 결정하였다 → 촛불바다를 막기로 하였다


  ‘집회(集會)’는 “여러 사람이 어떤 목적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모임. 또는 그런 모임”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랑·-이랑·-과·-와·-뿐·-하고’나 ‘모이다·모여들다·모임·몰려들다·몰려가다’로 손질합니다. ‘구름·구름떼·구름밭·구름무리’나 ‘구름물결·구름바다·구름같다·구름처럼’으로 손질하고, ‘나라너울·나라물결·들불’이나 ‘내달리다·내닫다·내뛰다·달려들다·덤비다’로 손질합니다. ‘너울·너울거리다·너울길·너울판·너울바람·너울결’이나 ‘놀·바다·바닷결’로 손질할 만해요. ‘물결·물꽃·물발·물살·몰개·물결치다·물줄기’나 ‘들고일어나다·들고일어서다·떨치다’로 손질해도 어울립니다. ‘들물결·들너울·들꽃물결·들꽃너울’이나 ‘들빛물결·들빛너울·들풀물결·들풀너울’이나 ‘살림너울·살림물결·살림바다’로 손질하지요. ‘삶너울·삶물결·삶바다·삶꽃너울·삶꽃물결’이나 ‘삶꽃바다·삶빛너울·삶빛물결·삶빛바다’로 손질하고, ‘부릅뜨다·붉눈·붉은눈·씨름·씨름하다’로 손질해 줍니다. ‘아침맞이·어깨동무·해돋이·해뜸’이나 ‘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로 손질할 수 있어요. ‘치닫다·팔짝’이나 ‘초·촛불’이나 ‘촛불물결·촛불너울·촛불모임·촛불바다’로 손질해도 되어요. ㅍㄹㄴ



집회장에 함께 나가 투쟁의 손을 내뻗으며

→ 모임터에 함께 나가 싸우는 손을 내뻗으며

《참된 시작》(박노해, 창비, 1993) 108쪽


각종 가두집회에 나가서

→ 온갖 거리너울에 나가서

→ 여러 거리물결에 나가서

《시사인물사전 8》(강준만, 인물과사상, 2000) 284쪽


오늘 밤 집회에서 말할 거야

→ 오늘 밤 모임에서 말한다

→ 오늘 밤 자리에서 말하지

→ 오늘 밤 모이면 말할게

《해피니스 7》(오시미 슈조/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0) 67쪽


촛불집회의 특징은 자발성이었다

→ 촛불물결은 스스로 모였다

→ 촛불물결은 스스로 일으켰다

《검찰개혁과 촛불시민》(조국백서추진위원회, 오마이북, 2020) 4쪽


집회를 더 대중적으로 만들 수 있는 연사나 공연자를 섭외하기가 훨씬 수월해졌다는 점입니다

→ 더 널리 모일 수 있도록 이끌 사람들을 모시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 더 두루 물결치도록 북돋울 길잡이를 부르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검찰개혁과 촛불시민》(조국백서추진위원회, 오마이북, 2020) 368쪽


집회소에 갈 거야

→ 모임터에 가

→ 모임자리에 가

《마오 21》(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5) 4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자연언어



 자연언어를 이해하는 방식을 연구하여 → 숲말을 익히는 길을 살펴서

 자연언어의 정확한 확립이 중요하다 → 삶말을 똑바로 세워야 한다


자연언어(自然言語) : [언어] 일반 사회에서 자연히 발생하여 쓰이는 언어. 에스페란토 따위의 인공 언어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 자연어



  “자연히 발생하는 언어”로 바라보기에 ‘자연언어·자연어’처럼 낱말을 엮습니다. 그러나 수수하게 ‘말’이라 하면 되어요. 모든 말은 처음에 저절로 사람들 사이에서 깨어났어요. 이윽고 ‘밑말·바탕말·뿌리말’이라 일컬을 이름을 생각할 만합니다. ‘사람말’이며 ‘수수말·쉬운말·투박말’을 생각할 수 있어요. 늘 쓰는 말이기에 ‘늘말·노상말’이나 ‘여느말·나란말’을 생각할 만하지요. ‘숲노래·어머니말·엄마말’이라는 이름도 어울립니다. ‘삶말·살림말’이며 ‘숲말·사랑말·시골말’ 같은 이름도 어울리고요. ㅍㄹㄴ



자연 언어 또한 시대와 사회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기 마련이다

→ 밑말도 때와 곳에 따라 끊임없이 바뀌게 마련이다

→ 살림말도 때와 삶터에 따라 끊임없이 흐른다

《우리말 기본기 다지기》(오경철, 교유서가, 2024)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4.


《사주 인사이트》

 하나사주 글, 혜윰터, 2025.1.25.



새삼스레 얼어붙는 하루이다. 한낮에도 집안이 13∼14℃를 찍는다. 겨울날씨를 보면 한겨울보다 첫겨울과 끝겨울이 더 매섭다고 느낀다. 바야흐로 막바지에 얼어붙으면서 모든 부스러기를 떨구는 바람이라고 본다. 여름에는 더위로 씻고 턴다면, 겨울에는 추위로 씻고 터는 삶이다. 《사주 인사이트》를 읽으면서 곱씹는다. 사주(四柱)라고 한다면 ‘네길’이기도 하지만 ‘길눈’이기도 하다. 네길을 읽으려는 분은 으레 책을 펴던데, 우리는 누구나 책을 안 펴더라도 네길이건 여덟길이건 다 읽는다고 느낀다. 눈을 감고서 스스로 마음빛을 바라보면 내가 여태 걸어온 길과 오늘 걷는 길과 앞으로 걸어갈 길을 볼 수 있다. 또한 너랑 내가 오롯이 마음빛으로 마주할 적에는 서로서로 어떤 숨결과 꿈씨로 이날 이때까지 살림하면서 어울릴 만했는지 알아차릴 수 있다. 누구라도 언제라도 스스로 보고 느끼고 알 테지만, 어쩐지 ‘내가 나를 어떻게 봐?’ 하고 못미덥다면 가끔은 책을 들출 만하다. 책이란 길잡이 노릇을 할 수 있되, 숲에 가득한 나무 가운데 한 그루이다. 모든 사람은 푸른별에서 함께 살아가며 살림을 짓는 작은빛 하나이다. 이 대목을 받아들이면 된다. 이 별에서 뜻없는 나무도 작은빛도 사람도 없이 모두 사랑이라는 빛이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3.


《너에게 닿기를 번외편 운명의 사람 2》

 시이나 카루호/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2.1.15.



부드럽게 돋는 아침해를 바라본다. 늦겨울비가 지나간 자리에 바람이 매섭지만 볕만큼은 넉넉하다. 볕살을 느긋이 누리면서 아침글을 여민다. 집안일을 하고, 밥살림을 추스른 뒤, 17:00 시골버스로 읍내 나래터로 간다. 이웃 세 분한테 책을 부친다. 찬바람이 온몸으로 스미지만 뚜벅뚜벅 걸으면서 책을 읽는다. 멧길이나 들길이나 숲길이나 바닷가를 거닐 적에는 책을 안 쥔다. 서울·큰고장·시골 읍내라면 눈을 둘 만한 데가 없으니 책을 쥔다. 가볍게 저잣마실을 보고서 18:30 시골버스를 탄다. 마을 앞에 내리니 두 아이가 마중을 왔다. “오! 어떻게 알고서?” “이때쯤 올 테니까요.” 손짐과 등짐을 두 아이한테 맡기고서 저물녘 고샅을 걸으며 집으로 돌아온다. 《너에게 닿기를 번외편 운명의 사람 2》을 읽었다. 굳이 뒷얘기(번외편)를 그렸구나 싶다. 《너에게 닿기를》은 구태여 길디길게 줄거리를 늘여붙여서 ‘짝맺기 + 짝맺기’를 밀당으로 다투면서 맺었다. 서로 바라보는 마음을 그릴 적에는 빛나지만, 서로 밀당을 일삼으면서 장난을 칠 적에는 거꾸로 빛바랜다. 사랑은 밀거나 당기지 않는다. 사랑은 그저 품는다. 사랑은 언제나 품으면서 푼다. 사랑이 아니기에 밀당에 끼리질에 장난질이 춤출 뿐이다.


#しいなかるほ #椎名??

#君に届け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2.


《한 옛날에…》

 클라우디우스 글·그림/이현주 옮김, 분도출판사, 1986.



해님이 가득 비추면서 푸근하게 감싸는 하루이다. 어제 비가 시원스레 씻었는데 먼지가 제법 보인다. 흙빛은 까무잡잡하게 바뀌면서 한결 부드럽다. 때까치가 꽁지를 까딱이면서 우리를 지켜본다. 책을 장만할 적에는 ‘나중에 아이랑 함께 읽거나 아이한테 물려줄 만할까?’ 하고 헤아린다. 아이들하게 함께 들추면서 생각을 나눌 책이 곧잘 있되, 웬만한 책은 혼자 읽고서 치운다.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이란 이름이 붙지만 막상 어린이한테 읽힐 만하지 않은 책이 너무 많다. 어른책 가운데 푸름이가 곰곰이 배울 만한 책은 너무 적다. 다들 무슨 줄거리를 책으로 엮는 셈일까? 《한 옛날에…》를 오랜만에 되읽고서 두 아이한테 건넨다. 두 아이 모두 이 책이 아름답다고 이야기한다. 책이름은 “한 옛날에”이지만, 옛날 옛적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오늘 우리가 눈앞에서 마주하는 삶이 얼마나 어리석은지 스스로 알아차려야 한다는 줄거리를 들려준다. 눈밝은 이라면 오늘날 마주하는 숱한 싸움판·돈판·이름판은 예전부터 늘 도사린 줄 안다. 눈감은 이라면 오늘날만 시커먼 줄 잘못 여길 테지. 나라(정부)가 서고 서울(도시)이 늘기에 사람이 사람빛을 잃는다.


#Claudius #OnceUponaTime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