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72 : 전 세계의 사실 -의 일깨운


전 세계의 나무들이 우리 삶에서 어우러진다는 사실을 우리의 코와 혀에 일깨운다

→ 온누리 나무가 우리 삶에서 어우러지는 줄 코와 혀로 느낀다

→ 우리별 뭇나무가 이 삶에서 어우러진다고 코와 혀로 느낀다

《나무 내음을 맡는 열세 가지 방법》(데이비드 조지 해스컬/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2024) 47쪽


임자말도 풀이말도 얄궂은 보기글입니다. “나무들이 + 사실을 + 일깨운다” 같은 얼거리인데, 엉성하고 어설픈 옮김말씨입니다. 우리는 나무한테서 배우고 바다와 바람한테서 배우되, 나무나 바다나 바람은 우리를 ‘일깨운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이 대목을 눈여겨보아야 합니다. 누가 누구를 일깨운다고 할 적에는 굳이 ‘사람’만 가리킵니다. 사람과 사람 아닌 숨결을 갈라서 높낮이로 여기는 얼거리가 아닙니다. 그저 사람과 사람 아닌 뭇숨결을 찬찬히 보는 길입니다. “아이가 일깨운다”고 하지요. “동무가 일깨운다”고 합니다. “어머니가 일깨운다”고 합니다. 그리고 “꽃한테서 배운다”고 합니다. “빗방울한테서 배운다”고 하고요. 온누리 뭇나무가 이 삶에서 어우러지는 줄 스스로 느낄 노릇입니다. 스스로 코와 혀로 느끼며 배울 노릇입니다. ㅍㄹㄴ


전(全) : ‘모든’ 또는 ‘전체’의 뜻을 나타내는 말

세계(世界) : 1. 지구상의 모든 나라. 또는 인류 사회 전체 2. 집단적 범위를 지닌 특정 사회나 영역 3. 대상이나 현상의 모든 범위

사실(事實) : 1.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에 있는 일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일을 솔직하게 말할 때 쓰는 말 3. 자신의 말이 옳다고 강조할 때 쓰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73 : 시적 정취 건 당연


삶에서 시적 정취가 사라지는 건 당연하다

→ 삶에서 노래멋이 사라질 만하다

→ 살면서 노래빛이 사라지게 마련이다

《시간창고로 가는 길》(신현림, 마음산책, 2001) 37쪽


삶에서 노래멋이 사라질 만한 오늘날입니다. 일이란 모름지기 스스로 일으켜서 누리는 살림길인데, 오늘날에는 살림길이 아니라 돈벌이라는 굴레로 치닫거든요. 돈만 많이 버느라 지치고 힘드니 막상 노래하며 일하기 어렵습니다. 노는 아이도 사라져요. 놀이가 아닌 노닥질이 판치는 바람에, 아무리 노닥노닥하더라도 신나지 않으니 노래하지 않습니다. 노래하려면 즐겁게 일으키는 살림을 지을 노릇입니다. 노래하려면 그저 놀이를 누리고 펴면서 활짝 웃고 춤추는 길로 거듭나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시적(詩的) : 시의 정취를 가진”을 가리킨대요. ‘정취(情趣)’는 “깊은 정서를 자아내는 흥취

정취(情趣) : 깊은 정서를 자아내는 흥취

당연하다(當然-) : 일의 앞뒤 사정을 놓고 볼 때 마땅히 그러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74 : 현대 -의 건강 심란 모호 것


현대는 숲의 건강한 숨결을 심란하고 모호한 것으로 바꿔버렸다

→ 오늘날은 숲이 매캐하고 어지럽다

→ 서울에서는 푸른숲이 뒤숭숭하고 붕뜬다

→ 요즘은 푸른숲이 뒤죽박죽에 아리송하다

《나무 내음을 맡는 열세 가지 방법》(데이비드 조지 해스컬/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2024) 75쪽


이 보기글은 “현대는 (무엇을) (어떻게) 바꿔버렸다”인 얼거리인데, 우리말씨로 보자면 ‘현대’를 임자말로 안 삼습니다. 우리말씨로는 “오늘날은 이러하다”라든지 “요즘은 이렇게 나아간다”처럼 씁니다. “숲의 건강한 숨결”을 “심란하고 모호한 것으로 바꿔버렸”다고 하는데, 한마디로 “숲이 매캐하고 어지럽”다는 소리입니다. 푸른숲이 뒤숭숭하거나 뒤죽박죽이 되었다는 뜻이에요. 임자말이 제대로 없이 말을 하거나 글을 쓸 적에는 숨기거나 감추는 속뜻이 있게 마련입니다. ‘오늘날’이라기보다는,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 숲을 망가뜨린다고 해야 할 텐데, 슬쩍 임자말을 뭉뚱그려서 마치 남일이라도 구경하는 듯이 쓰지는 말아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현대(現代) : 1. 지금의 시대 2. [역사] 역사학의 시대 구분 가운데 사상(思想)이나 그 밖의 것이 현재와 같다고 생각되는 때부터 지금까지의 시기

건강하다(健康-) :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아무 탈이 없고 튼튼하다

심란하다(心亂-) : 마음이 어수선하다 ≒ 심산하다(心散-)

모호(模糊) : 말이나 태도가 흐리터분하여 분명하지 않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75 : 전날 -의 행복 기대감 전쟁 낳 기아의 현장 목도


전날 밤의 온갖 행복한 기대감은 사라지고, 전쟁이 낳은 기아의 현장을 목도하고 있었다

→ 지난밤에 즐겁게 그리던 꿈은 사라지고, 불바다 탓에 굶주리는 삶을 바라보았다

→ 간밤에 푸르게 그리던 마음은 사라지고, 불더미에서 배곯는 모습을 마주하였다

《뱅뱅클럽》(그레그 마리노비치·주앙 실바/김성민 옮김, 월간사진, 2013) 170쪽


지난밤과 오늘은 다릅니다. 간밤에 슬프거나 외로웠어도 새로 맞는 아침은 다를 만합니다. 어젯밤에는 잔뜩 부풀고 즐겁고 꿈을 그렸다지만, 막상 새벽이 지나면서 으스스한 맨모습을 바라보아야 할 수 있습니다. 불바다로 이글이글 타버리는 곳에는 가난하고 굶주리는 이웃과 아이들이 있어요. 불더미에서는 뭘 심어서 가꾸지 못 합니다. 누가 싸우라고 시키는가요. 무엇 때문에 싸워야 하는가요. 서로 나누면서 함께 살아갈 길을 헤아려야 비로소 사람일 텐데. ㅍㄹㄴ


전날(前-) : 1. 일정한 날을 기준으로 한 바로 앞 날 ≒ 선시·전일 2. 이전의 어느 날. 또는 얼마 전 ≒ 선시·앞날

행복(幸福) : 1. 복된 좋은 운수 2.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

기대(期待) :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기다림

-감(感) : ‘느낌’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

전쟁(戰爭) : 1.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 군려·병과·병혁·전역·전화 2. 극심한 경쟁이나 혼란 또는 어떤 문제에 대한 아주 적극적인 대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아(飢餓/饑餓) : 먹을 것이 없어 배를 곯는 것 = 굶주림

현장(現場) : 1. 사물이 현재 있는 곳 ≒ 실지·현지 2. 일이 생긴 그 자리 3. 일을 실제 진행하거나 작업하는 그곳

목도(目睹) : = 목격(目擊)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76 : -와의 이별 -지고 있다는 걸 실감하게 됩


쿠지마와의 이별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걸 실감하게 됩니다

→ 쿠지마와 곧 헤어져야 하는 줄 깨닫습니다

→ 쿠지마가 머잖아 떠아냐 하는 줄 느낍니다

《쿠지마 노래하면 집이 파다닥 5》(콘노 아키라/이은주 옮김, 미우, 2025) 52쪽


헤어져야 하는 줄 깨닫기에 슬프다고 여깁니다. 곧 떠나야 하는 사랑스러운 님이 애틋하기에 자꾸 가라앉는 마음입니다. 가까이 다가오는 날을 깊이 느낍니다. 더는 하루하루 안 줄어들기를 바라지만, 마침내 서로 떨어져야 할 적에는 뼛속까지 시큰할 테지요. 그런데 헤어지기에 새롭게 만날 수 있고, 다시 만나며 새로 헤어지고, 또 만나며 언제나 반가이 맞이합니다. ㅍㄹㄴ


이별(離別) : 서로 갈리어 떨어짐

실감(實感) : 실제로 체험하는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