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다



서울에서 아침을 열고서

전철을 타고 갈아타는데

옆으로 앞으로 뒤로

숱한 사람들이 밀고 밀친다


나는 멀뚱히 서다가

다시 걷는다


전철이 들어오니 우르르 내리고

왁자지껄 몰려서 타는데

나는 또 멀거니 서서

다음 전철을 기다린다


앞서간 전철은 미어터졌고

1분 기다려 탄 전철은 널널하다


2025.3.25.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짬짜미 2025.2.23.해.



무슨 일을 하든 얼거리를 짤 노릇이야. 아무 얼거리가 없다면 네가 하려는 일은 아무렇게나 흐르겠지. 잎에 얼거리가 있어. 나무 한 그루에도, 나무뿌리와 나무줄기에도 다 얼거리가 다르게 있어. 구름에도 물방울에도 흙에도 땅에도 얼거리가 있어. 나비한테도 날개에도 손과 발에도 얼거리가 있어. 말에도 얼거리가 있지. 마음에도 생각에도 저마다 달리 얼거리가 있어. 숨을 쉬든 걸어다니든 무엇을 하든 얼거리를 가만히 읽고서 스스로 움직일 길을 짤 노릇이지. 그런데 “일할 얼거리”가 아닌 “끼리끼리 거머쥘 틀”을 몰래 짜는 사람들이 있어. ‘짬짜미’라고 하지. “몰래 짜서 몰래 거머쥐고 몰래 다스리는 틀”일 텐데, 이런 뒷짓·몰래짓인 짬짜미는 그들 스스로 갉고 할퀴에서 죽어가는 굴레야. 돈·길미·힘·이름을 그들끼리 거머쥐려는 짬짜미는 “그들끼리 뭉치는 틀”이기에 다른 사람이 못 들어오는 높은 담벼락이게 마련이야. 닫아건 안쪽에서 보자면 넉넉하거나 서로 좋은 듯싶지만, ‘흐르’지 않는 굴레이고, ‘막힌’ 수렁이기에, 곧 고여서 고린내가 나며 썩어. 썩으니 죽어가지. 썩으며 죽어가는데 ‘짬짜미 담벼락’은 이 담을 더 단단히 틀어쥐는구나. 그래서 ‘담벼락 안쪽’은 더 고이고 썩어문드러지니 그들끼리도 이 고약한 냄새 탓에 죽을맛인데, 쪽창문 하나 못 내는구나. 냄새가 새어나가면 밖에서 다들 눈치를 챌 테니 더 가두고 더 숨기고 더 짬짜미를 해. 썩은잔치를 늘 벌이면서도 죽어가는 줄 모르고, 썩은내를 감추려고 화학약품을 내내 뿌리지. 너는 이런 ‘담안(담 안쪽 : in Seoul)’에 끼고 싶니? 너는 ‘담안’도 ‘담밖’도 아닌 들숲바다를 품어야 하지 않겠니?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의 모험 1 개똥이네 만화방 37
김보통 지음 / 보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26.

만화책시렁 737


《나비의 모험 1》

 김보통

 보리

 2020.1.2.



  싸움(전쟁)은 순이 얼굴도 아니지만, 돌이 얼굴도 아니라고 느껴요. 모든 싸움은 사람 얼굴이 아닌, 사나운 겉모습이고, 사람빛을 잊고 잃으면서 서슬퍼런 허울이자 탈이지 싶습니다. 흔히 ‘전쟁 = 남성성’처럼 잘못 짚는데, ‘싸움 = 사납짓’일 뿐입니다. 싸움불굿에 얽매이면 순이와 돌이 모두 사람길을 잊으면서 사람씨앗을 잃기에 그저 허울스럽고 허수아비처럼 ‘우두머리 꼭두각시’로 뒹굽니다. 《나비의 모험 1》을 읽으며 ‘새길(모험)’이 무엇일는지 헤아려 봅니다. 굳이 일(사건·사고)이 터져야 한다고 여겨야 하지 않습니다. 고양이를 그리는 듯하지만 ‘겉모습만 고양이’일 뿐, ‘그냥 사람 얼굴과 몸짓과 모습과 마음’일 뿐인 줄거리라고 느낍니다. 사람은 다들 바쁘게 서울에 모여서 웅성거리느라 스스로 앞가림을 못 하고 스스로 실마리를 못 풀까요? 우리나라에서는 고양이한테 ‘나비’라는 이름을 슬쩍 얹기도 합니다. 따로 ‘잔나비’라 일컫는 숲짐승이 있습니다. 꽃가루받이를 하려고 날개돋이를 한 애벌레를 ‘나비’라 합니다. 모두 다른 몸빛과 마음빛으로 어울리는 푸른별입니다. ‘털없는 사람’이란 없기도 합니다. 우리 살갗은 털이 없으면 바로 메말라버려요. 고양이나 개와는 ‘다른 털’인 사람입니다. ‘고양이 그림(캐릭터)’으로 아이들한테 귀엽게 다가가려 하지 말고, ‘고양이 마음’과 ‘사람 마음’을 푸르게 잇는 길을 그려야 비로소 ‘새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ㅍㄹㄴ


‘약해빠진 인간 녀석들. 무리 지어 살지 않고는 배기질 못하는군. 무슨 생각으로 털도 없이 태어나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가려는 건지…….’ 인간들이 사는 마을을 순찰하고 있었다. 혹시나 곤경에 처한 인간을 보게 되면 구하기 위해서였다. (7쪽)


‘흐흐흐,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군. 이걸 누구한테 자랑한담? 아! 그렇지! 검둥이한테 알려줘야겠다.’ (143쪽)


+


《나비의 모험 1》(김보통, 보리, 2020)


약해빠진 인간 녀석들

→ 가냘픈 사람 녀석들

→ 골골대는 녀석들

7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가려는 건지

→ 이 거친 곳을 살아가려는지

→ 이 벅찬 곳을 살아가려는지

7


인간들이 사는 마을을 순찰하고 있었다

→ 사람이 사는 마을을 돌아본다

→ 사람마을을 둘러본다

7


혹시나 곤경에 처한 인간을 보게 되면 구하기 위해서였다

→ 어려운 사람을 보면 도우려는 뜻이다

→ 힘든 사람을 보면 돕고 싶기 때문이다

7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군

→ 그래서 새롭게 알았군

→ 고맙게 새로 배웠군

143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신 문학동네 시인선 190
김개미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3.26.

노래책시렁 489


《작은 신》

 김개미

 문학동네

 2023.3.31.



  글을 못 쓰겠다고, 더구나 ‘시’라면 아주 못 쓰겠다고 여쭙는 이웃님이 많아요. 이웃님 말씀을 가만히 듣고서 종이를 꺼냅니다. 붓을 쥐고서 “나 / 시를 못 써요. / 무서워. / 시를 쓰라고 하면 / 난 달아날래.”처럼 다섯 줄을 슥슥 적어서 건넵니다. “이 다섯 줄은 이웃님이 ‘입으로 쓴 시’예요. 저는 옆에서 그저 이웃님 말씀을 받아적었어요.” 하고 보탭니다. 우리는 누구나 시를 써야 하지도 않고, 안 써야 하지도 않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글을 써야 하지도 않고, 안 써야 하지도 않습니다. 누구나 제 삶을 이야기하고 나누고 옮기고 그리면 즐거우면서 넉넉합니다. 《작은 신》을 읽었습니다. 아무래도 ‘현대 시문학’이라면 이렇게 써야 하는구나 싶습니다. 이렇게 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시문학’이 널리 퍼지면 노래가 무서워서 달아날 뿐 아니라, 글을 엄두조차 못 낼 이웃님이 외려 부쩍 늘어날 듯싶습니다. 시골에서 살고 싶어서 서울을 떠난 분이 ‘시골할매마냥 호미질을 할’ 수 없습니다. ‘시골할배처럼 낫질을 할’ 수도 없습니다. 서툴든 어설프든 다 다른 손길로 천천히 호미질과 낫질을 하며 아주 느긋이 ‘흙일’을 ‘흙살림’으로 받아들이고 녹이면 될 뿐입니다. 삶을 말하고, 이 말을 그리면 노래입니다.


ㅍㄹㄴ


천사는 약하고 아파서 / 내가 천사가 되어주어야 하는 천사였습니다 / 나는 살을 떼어 먹이고 / 관절과 눈물을 바쳤습니다 / 천사는 뛰지 못했지만 뛰고 싶어해서 / 나는 천사를 업고 산을 뛰어올랐습니다 / 천사가 친구를 원해서 / 나는 사람들의 발아래 머리를 조아렸습니다 / 천사를 천사처럼 입히고 꾸미는 일로 / 나는 매일 행복하고 피곤하고 바빴습니다 (나의 천사/16쪽)


들쥐는 어째서 태양이 이글거리는 대낮에 / 눈알을 닦으며 사람의 길을 가로질러가고 / 머리가 커다란 해바라기는 어째서 / 태양에 몰두하지 않고 바닥을 살피는 걸까 // 시계를 잃어버리고 어쩔 줄 모르는 것이 / 나만은 아닌 모양이다 // 누가 음악을 들으며 지나간다 / 듣고 싶지 않은데 너무 잘 들린다 / 아는 노래인데 제목을 모르겠다 (조용한 여름/50쪽)


+


《작은 신》(김개미, 문학동네, 2023)


매일 아침 절벽 아래 떨어진 참혹한 인간을 발견한다

→ 아침마다 벼랑에서 떨어진 끔찍한 사람을 본다

→ 아침이면 낭떠러지서 떨어진 섬찟한 사람을 본다

5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아무것도 아닌 인간 제로의 인간

→ 아무것도 못 떠올리는 아무것도 아닌 사람 빈 사람

→ 아무것도 모르는 아무것도 아닌 사람 안 계신 사람

5


기다림은 그의 전문이 아니지만 그가 할 일은 그것뿐이다

→ 그는 기다리지 못 하지만 기다릴 뿐이다

→ 그는 못 기다리지만 기다릴 뿐이다

5


나의 집에 천사가 왔습니다

→ 우리 집에 꽃님이 옵니다

→ 울 집에 빛살이 옵니다

16


친구를 원해서 나는 사람들의 발아래 머리를 조아렸습니다

→ 동무를 바라서 사람들 발밑에 머리를 조아립니다

16


병이 낫고 광휘에 둘러싸인 천사에게 가진 것 없고 초라한 천사는 필요 없으니까요

→ 다 낫고 빛에 둘러싸인 꽃님한테 빈털털이 초라한 꽃님은 쓸모없으니까요

16


들쥐는 어째서 태양이 이글거리는 대낮에

→ 들뛰는 어째서 이글거리는 대낮에

50


해바라기는 어째서 태양에 몰두하지 않고 바닥을 살피는 걸까

→ 해바라기는 어째서 해를 바라지 않고 바닥을 살필까

→ 해바라기는 어째서 해를 바라보지 않고 바닥을 살필까

50


시계를 잃어버리고 어쩔 줄 모르는 것이 나만은 아닌 모양이다

→ 나만 때바늘을 잃어버리고 어쩔 줄 모르지 않나 보다

→ 나만 똑딱이를 잃어버리고 어쩔 줄 모르지 않는가 보다

50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3.22.


《전설의 초콜릿》

 미야니시 타츠야 글·그림/고향옥 옮김, 달리, 2024.1.26.



멧불이 번지는 온나라이다. 마음에도 들숲에도 불이 이글이글하다. 우리 마음은 늘 날씨로도 나타난다. 따스하게 헤아리면서 마주하고 말을 섞고 마음을 사랑으로 지필 적에는 따스한 봄결일 텐데, 미워하고 등돌리고 손가락질하는 마음이 불거지면, 그만 멀쩡한 들숲메까지 타오르고 만다. ‘놈들’은 다 쇠고랑을 찬다. 걱정할 일이 없다. 목소리를 높이다가 놈들한테 막말을 하면서 빌미를 내주지 말자. 그저 우리가 바라는 아름나라 앞그림을 바라보자. 새나라 새터 새일꾼을 바랄 적에는 ‘밉놈쓸기(적폐청산)’가 아니라 ‘살림짓기(아름답고 알차게 할 일을 하기)’를 바라볼 노릇이라고 느낀다. 《전설의 초콜릿》를 여러 달에 걸쳐서 되읽고 돌아보고 아이들하고 얘기했다. 어느 날 갑자기 길고양이한테 따뜻하게 손길을 내민 어느 아가씨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어느 아가씨도 길고양이 못잖게 삶에 지치고 치이고 고달프다가 문득 길고양이를 바라보면서 달콤이(초콜릿)를 건넸다고 느낀다. 아프고 앓기에 오히려 더 베풀고 나누면서 스스로 사랑하는 길을 열었다고 본다. 돈이 많기에 둘레에 나누거나 베풀지 않는다. 마음을 스스로 사랑씨앗으로 일구기에 가난살림에도 얼마든지 나누며 베푼다. 미야니시 타츠야 님 그림책은 다 사랑얘기이다.


#みやにしたつや #でんせつのチョコレト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