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15 : 정말 -로부터, 주변 -들로부터 책임 당하면


정말 너로부터, 주변 사람들로부터 책임질 당하면 어쩌지

→ 참말 네가, 남들이 맡는다고 나서면 어쩌지

→ 참말 너나 둘레에서 맡겠다고 나서면 어쩌지

→ 참으로 너나 남이 억지로 맡으면 어쩌지

《어쩌면, 나의 이야기》(토마 마티외·씨냉, 여성신문사, 2018) 71쪽


입거나 겪고 싶지 않은데 입거나 겪어야 할 적에 영어말씨를 쓰는 분이 있지만, “-로부터 책임질 당하면” 같은 대목은 “-이 맡는다고 나서면”이나 “억지로 맡으면”으로 손질할 만합니다. 바라지 않는데 하기에 ‘억지·어거지’예요. 그냥 있기를 바라는데 굳이 나서기에 ‘나서다’라는 낱말을 씁니다. 마음으로 만나고 오가는 사이라면 도맡거나 떠맡거나 내맡기지 않아요. 마음과 마음으로 어울릴 적에는 어깨동무하면서 함께 맡고 함께 돌볼 테지요. ㅍㄹㄴ


정말(正-) : 1. 거짓이 없이 말 그대로임 2.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한 사실을 말할 때 쓰는 말 3. 자신의 말을 강하게 긍정할 때 쓰는 말 4. = 정말로 5. 어떤 일을 심각하게 여기거나 동의할 때 쓰는 말 6. 어떤 일에 대하여 다짐할 때 쓰는 말 7. 어떤 사람이나 물건 따위에 대하여 화가 나거나 기가 막힘을 나타내는 말

주변(周邊) : 1. 어떤 대상의 둘레 2. = 전두리

책임(責任) : 1. 맡아서 해야 할 임무나 의무 ≒ 책 2. 어떤 일에 관련되어 그 결과에 대하여 지는 의무나 부담. 또는 그 결과로 받는 제재(制裁)

당하다(當-) : 1. 해를 입거나 놀림을 받다 2. 어떤 때나 형편에 이르거나 처하다 3. 맞서 이겨 내다 4. 어떤 사람에게 부당하거나 원하지 않는 일을 겪거나 입다 5. 좋지 않은 일 따위를 직접 겪거나 입다 6. 일이나 책임 따위를 능히 해내거나 감당하다 7. 다른 것에 해당하거나 맞먹다 8. 사리에 마땅하거나 가능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11 : 감사 표현함으로써 표현 좋은 효과 얻


감사를 표현함으로써 표현한 쪽과 받은 쪽 둘 다 좋은 효과를 얻는다

→ 고마워하면 서로 즐겁다

→ 고맙다고 말하면 함께 즐겁다

《비관주의자를 위한 낙관주의 수업》(델핀 뤼쟁뷜·오렐리 페넬/박태신 옮김, 가지출판사, 2018) 178쪽


고마워하면 서로 즐겁습니다. 고맙다고 말하니 함께 즐겁습니다. 고마운 마음이 흐르니 나란히 기뻐요. 고맙게 여기는 눈길과 손길과 마음길이 어울리면서 가만히 꽃이 피고 이야기가 샘솟습니다. 고맙다고 밝히는 한 마디와 한 줄을 주고받으면서 서로서로 웃고 흐뭇합니다. ㅍㄹㄴ


감사(感謝) : 1. 고마움을 나타내는 인사 2. 고맙게 여김. 또는 그런 마음

표현(表現) : 1.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언어나 몸짓 따위의 형상으로 드러내어 나타냄 2. 눈앞에 나타나 보이는 사물의 이러저러한 모양과 상태

효과(效果) : 1. 어떤 목적을 지닌 행위에 의하여 드러나는 보람이나 좋은 결과 2. 소리나 영상 따위로 그 장면에 알맞은 분위기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실감을 자아내는 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810 : 부정적 감정 느낄 필요성 권리 인정


이럴 때는 부정적 감정을 느낄 필요성과 권리를 인정하도록 하자

→ 이럴 때는 나쁘게 느껴도 된다고 여기자

→ 이럴 때는 싫어해도 된다고 받아들이자

→ 이럴 때는 꺼려도 된다고 받아들이자

《비관주의자를 위한 낙관주의 수업》(델핀 뤼쟁뷜·오렐리 페넬/박태신 옮김, 가지출판사, 2018) 116쪽


나쁘게 느끼건 좋게 느끼건 대수롭지 않습니다. 무엇을 느끼는지 지켜볼 노릇이고, 어떻게 가꾸거나 바꾸면서 맞이할는지 헤아리면 됩니다. 이 보기글은 “나쁘게 느껴도 된다”라 하면 될 말을 “부정적 감정을 느낄 필요성과 권리를 인정하도록”처럼 길게 늘어뜨립니다. 그러나 “-도 된다”라 하면 그만입니다. “-도 된다고 받아들이다”나 “-도 된다고 여기다”라 하면 넉넉합니다. ㅍㄹㄴ


부정적(否定的) : 1. 그렇지 아니하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아니하다고 반대하는 2. 바람직하지 못한

감정(感情) :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

필요(必要) : 반드시 요구되는 바가 있음

-성(性) : ‘성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권리(權利) : 1. 권세와 이익 2. [법률] 어떤 일을 행하거나 타인에 대하여 당연히 요구할 수 있는 힘이나 자격. 공권, 사권, 사회권이 있다

인정(認定) : 1. 확실히 그렇다고 여김 2. [법률]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어떤 사실의 존재 여부나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결정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32 : 부캐 부르 자아 운용 능력자


요즘에는 부캐라고 부르며 여러 자아를 운용하는 사람을 능력자로 여긴다

→ 요즘에는 곁빛이라 하며 여러 나를 돌보는 사람을 대단하다고 여긴다

→ 요즘에는 다른꽃이라며 여러 나를 부리는 사람을 빼어나다고 여긴다

《가장 사적인 평범》(부희령, 교유서가, 2024) 10쪽


일본말씨인 ‘부캐’입니다. 오롯이 나를 나로서 다루는 하나인 빛이 아닌, 다른 빛살을 나타내려는 길이라면 ‘다른빛·다른꽃’이나 ‘곁빛’처럼 새말을 엮을 만합니다. 나를 여러 모습으로 돌볼 수 있어요. 나를 여러 길로 펼칠 수 있습니다. 대단하거나 빼어날 수 있지만, 우리는 누구나 “여러 나”로 살아가요. 어버이 곁에서는 아이요, 아이 곁에서는 어버이인 나입니다. 너와 나는 서로 다르게 마주보고, 숲에서 바다에서 들에서 다 다른 사람인 나이기도 합니다. ㅍㄹㄴ


부캐 : x

副キャラクタ- : x

자아(自我) : 1. [심리]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정신 분석학에서는 이드(id), 초자아와 함께 성격을 구성하는 한 요소로, 현실 원리에 따라 이드의 원초적 욕망과 초자아의 양심을 조정한다 2. [철학] 대상의 세계와 구별된 인식·행위의 주체이며, 체험 내용이 변화해도 동일성을 지속하여, 작용·반응·체험·사고·의욕의 작용을 하는 의식의 통일체 ≒ 나·셀프·에고·자기

운용(運用) : 무엇을 움직이게 하거나 부리어 씀

능력자(能力者) : [법률] 법률 행위를 할 자격이 있는 사람. 금치산자, 한정 치산자, 미성년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이 해당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933 : 겨울의 숲


겨울의 숲은 이렇게나 조용하구나

→ 겨울숲은 이렇게나 조용하구나

→ 겨울은 이렇게 숲이 조용하구나

《늑대의 딸 3》(코다마 유키/정우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5) 110쪽


‘-의’를 섣불리 붙이면 두루뭉술합니다. “겨울의 숲”은 무슨 뜻일까요? 겨울을 맞이한 숲인가요, 겨울에 보는 숲인가요, 겨울을 보내는 숲인가요? ‘겨울숲’이라고 붙여쓰기를 할 적에는, 겨울을 맞이하거나 보내는 숲이라는 뜻입니다. “겨울은 숲이 조용하구나”처럼 토씨를 ‘-은’으로 손볼 적에는, 겨울에 보는 숲이 어떠한 결인 줄 나타냅니다.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