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2.11.

숨은책 542


《普及版 トルストイ全集 1 幼年·少年》

 トルストイ 글

 神田豊穗 옮김

 社翁全集刊行會

 1926.11.5.



  일본굴레(일제강점기) 무렵에 나온 《한글》(조선어학회 펴냄)을 들추다가 ‘톨스토이 옮김글’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이웃말을 헤아리는 몫도 하는 말글지기(국어학자)로구나 싶더군요. 이웃말(외국말)만 할 줄 알기에 옮기지 않습니다. 이웃말과 우리말을 나란히 살피고 환하게 짚을 적에 비로소 옮김책을 여밉니다. 《普及版 トルストイ全集 1 幼年·少年》은 1926년에 나옵니다. 우리나라에서 누가 이무렵에 이 책을 사읽다가 헌책집에 흘러나왔나 하고 한참 쓰다듬으며 생각에 잠겼어요. 톨스토이 글자락을 일본글로 옮긴 일본사람은 일본이 무슨 짓을 일삼는지 낱낱이 알면서 창피하다고 여겼을까요? 일본에서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제 나라가 어떤 바보짓으로 치닫는지 알아차리면서 바보짓을 멈추자며 목소리를 높였을까요? 총칼로는 어떤 살림도 못 짓고, 아무런 사랑도 못 합니다. 오직 맨손과 맨발로 씨앗을 돌보고 가꾸는 들숲에서 살림을 지을 뿐이요, 서로 사랑하는 마음씨를 일굽니다. 수수하게 보금자리에서 살림을 가꾸고 짓는 이웃이 ‘수수하게 짓는 오늘살림 이야기’를 글로 여미기를 바라요. 큰 목소리나 옳은 목소리가 나쁘지 않습니다만, 작은손으로 짓는 작은글씨 하나를 심으면서 이 별을 푸르게 갈닦는다고 느낍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1.7. ‘반 고흐’ 아닌 ‘환 호흐’를



  작은불 하나만 켠 시골집은 그야말로 어둡다. 그러나 이 어두운 시골집은 “눈이 다치지 않을 만큼 밝”기에, 시골사람은 넉넉히 지내고 쉬고 일한다. 햇볕불(백열등)을 켠 작은 시골집일 텐데, 햇볕불을 노랗게 켠 작은 시골집을 서울사람 눈으로 보자면 너무 어두울 테지만, 시골사람으로서는 가장 아늑하면서 포근한 불빛이다.


  햇볕은 눈을 갉지 않는다. 햇볕은 눈을 살린다. 햇볕불 작은빛은 햇볕처럼 눈과 몸을 살리는데, 반짝불(형광등·엘이디)은 눈과 몸을 갉는다.


  네덜란드사람 ‘환 호흐(van Gogh)’ 님이 살던 무렵은 오늘날보다 훨씬 불빛이 적었고, 아예 없었다고도 할 만하다. 그때에는 해가 지면 모든 일을 접게 마련이다. 환 호흐 님이 살던 무렵 켠 촛불이나 작은불은 아주 조그맣게 둘레를 가벼이 밝히는 빛줄기였다. 그렇기에 “감자 먹는 시골 흙지기 살림집”은 “어두운 속마음”을 비춘다기보다는 “밤빛을 품은 포근하면서 고요한 사랑”을 담아내었다고 보아야 알맞지 싶다. 환 호흐 님이 동생하고 주고받은 글을 되읽고, 남긴 글을 돌아볼 적에도, 환 호흐 님은 “시골집에서 아늑한 사랑을 누리고 얻었다”고 밝힌다.


  가만히 보면, 환 호흐 님이 살던 지난날에는 큰고장·서울(도시)에서 본 밤하늘도 별이 쏟아지는 하늘이었다고 느낀다. 말 그대로 “환 호흐라는 붓지기 스스로 본 눈부신 별밤”을 고스란히 그림으로 담았달까. 맨눈으로 미리내를 볼 적에는, 별빛이 노랗기도 하고 하얗기도 하고, 붉거나 파랗기도 할 뿐 아니라, 빛줄기가 죽죽 뻗고 빙그르르 도는 모습까지 느낄 수 있다. “오늘날 서울내기 눈길(현대 도시인 관점)”으로만 환 호흐 님을 읽는다면, 아주 엉뚱하게 바라보기 쉽다고 느낀다.


  별이 쏟아지는 밤에 다른 불빛이 없이 한나절쯤 바라보면 그야말로 별빛이 물결친다. 별이 쏟아지는 밤을 이 나라 이 땅 이 들숲바다에서 누리거나 느끼지 못 한 채 환 호흐 님 그림을 바라본다면, 참 뜬금없고 어이없는 짓이라고 느낀다. 그림보기에 앞서 별보기와 숲보기를 할 노릇이다. 그림읽기에 앞서 별읽기와 숲읽기를 할 일이다. 별을 담아내고 밤을 사랑한 붓지기 마음과 눈빛과 손길을 살피고 읽고 헤아리려면, 우리가 나란히 별과 밤을 온마음과 온눈과 온손으로 맞아들여야 한다.


  땅에 씨앗을 심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이 ‘씨앗’을 알 턱이 없고, ‘말씨(말씨앗)’와 ‘글씨(글씨앗)’도 까맣게 모르게 마련이다. 하루 내내 나무 곁에 서서 나무바람과 나무그늘과 나뭇잎빛을 마주하는 살림이 아니라면, 어떻게 나무를 안다고 함부로 말할 수 있는가?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2.10. 촛불바람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이른바 ‘파라핀’과 ‘콩기름(소이왁스)’으로 빚은 초를 태우면 쇳덩이가 부릉부릉하며 내뿜는 매캐한 기운이 나란히 나옵니다. 요사이는 빛끊이(정전)가 아주 없다시피 하지만, 지난날에는 툭하면 빛끊이였고, 하룻내 빛끊이라든지 여러 날 빛끊이도 있었습니다. 집집마다 초를 수북하게 두며 살림했어요. 어릴 적(1970∼80해무렵)에 온마을이 빛끊이로 캄캄하면 어머니나 언니나 저는 초를 후다닥 챙겨서 집안 곳곳에 켰습니다. 그무렵에는 잘 몰랐지만, 그때는 모두 ‘파라핀초’였고, 빛끊이인 동안에 초를 켜고 나면 으레 멍하고 어지럽고 골이 아팠습니다.


  서울이며 큰고장으로 바깥일을 보러 다녀올 적에는 끝없고 엄청난 부릉물결 한복판을 가로질러야 하는데, 이때마다 숨막힙니다. 모든 쇳덩이에서 어마어마하게 매캐바람이 나오거든요. 우리가 처음 초를 빚을 무렵에는 몸앓이를 일으킬 까닭이 없는 덩이를 반죽했을 테지만, 값싸다는 핑계로 몸앓이를 일으키는 초가 그득그득 번졌습니다.


  촛불보기를 하려는 뜻으로 벌꿀초를 오랜만에 장만했습니다. 촛불보기를 하려면 날마다 할 노릇이라, 벌꿀초를 잔뜩 들일 노릇인데, 한 해 미루고 세 해 미루고 다섯 해 미루며 보냈어요. 살림돈을 헤아리며 끙끙대다가 값싼 파라핀초를 그냥 쓰기도 했지만, 파라핀초를 태우고 나면 뿌연 기운을 빼느라 애먹었습니다.


  책을 스무 자락 안 사면 얼마든지 벌꿀초를 꾸러미로 장만할 수 있습니다. 집에 쌓은 책부터 읽고서 치우자고 여기며 드디어 벌꿀초를 두 꾸러미 장만했고, 하루 한나절씩 벌꿀초를 태웁니다. 촛불에서 심지와 불기둥 사이 어둠곳을 바라봅니다. 마음에 깃든 찌꺼기를 태우면서, 마음에 담을 그림을 헤아리려는 길이 촛불보기입니다. 무엇을 바라보려는 눈빛인지 되새기면서 ‘말없는 마음’을 읽고 이으려는 촛불보기예요.


  우리는 촛불물결로 모지리 한 사람을 우두머리 자리에서 끌어내린 적이 있는데, 그때 벌꿀초를 쓴 사람은 몇이었을까요? 파라핀초만 가득한 촛불모임에 낄 적마다 저나 아이들은 끝없이 재채기를 하고 숨막혔는데, 둘레에서 파라핀초가 몸을 어떻게 갉는지 느끼는 사람은 아주 없다시피 했습니다. 아무래도 오늘날은 웬만한 집마다 쇳덩이(자동차)를 몰기 때문에, 쇳덩이에서 퍼지는 끔찍한 죽음기운을 하나도 안 느낄 뿐 아니라 죽음냄새에 길든 탓일 테지요.


  촛불바람을 일으킬 적에도 ‘아무 초’로나 일으킬 수 없습니다. 책읽기를 할 적에도 ‘아무 책’이나 읽힐 수 없습니다. 글을 쓸 적에도 ‘아무 낱말’이나 고를 수 없습니다. 하물며 낱말책을 엮거나 읽거나 쓸 적에도 ‘아무 낱말’이나 다룰 수 없고, 아이를 낳아 돌보는 보금자리에서 ‘아무 낱말’이나 섣불리 쓸 수 없어요.


  그러나 우리는 ‘아무’를 그닥 눈여겨보지 않습니다. ‘좋은뜻’이라든지 ‘좋은책’이라든지 ‘좋은말’이라든지 ‘좋은길’이면 다 된다고 쉽게 끝내고 지나가기 일쑤입니다. 그렇다면 헤아려 볼 노릇입니다. 쓰레기(농약·비닐·비료·농기계)를 하나도 안 쓴 논밭과 들숲바다에서 거둔 낟알과 나물과 열매가 어떤 맛인지 다 잊었을까요? 쓰레기를 듬뿍 쓴 낟알과 나물과 열매에 길들었을까요? 아직 늦겨울인 둘쨋달이지만, 벌써 딸기가 나오는데, 둘쨋달에 나오는 밭딸기는 모두 ‘쓰레기딸기(비닐집에서 기름을 태워서 빨리 키운 딸기)’입니다. 들딸기하고 멧딸기는 닷째달은 되어야 비로소 들숲메에서 맺어요.


  철을 잊기에 철을 잃고, 철을 잃기에 눈빛을 잊습니다. 모든 사람이 서울에서 몽땅 떠날 수는 없다지만, ‘서울살이 민낯’과 ‘모지리는 누구인가?’를 곰곰이 읽을 노릇입니다. ‘바보스런 나 탓’을 하자는 뜻이 아니라, 우리가 여태 어떤 굴레에 길들면서 ‘눈뜨기를 등졌’는지 돌아볼 일입니다. 눈뜨기를 왜 어떻게 얼마나 등진 채 ‘좋게좋게’ 넘어왔는지 고스란히 바라볼 때라야 ‘좋은책’을 내려놓고서 ‘숲책·마음책·사랑책·살림책·보금책·아이곁에서 노래하는 꿈씨앗책’을 손에 쥘 수 있습니다.


ㅍㄹㄴ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요요 擾擾


 시국이 음산하고 요요하다 → 나라가 어둡고 뒤숭숭하다


  ‘요요하다(擾擾-)’는 “뒤숭숭하고 어수선하다”를 뜻한다고 하지만, 그야말로 쓸데없는 한자말입니다. 뜻대로 ‘뒤숭숭하다’나 ‘어수선하다·어지럽다’로 바로잡을 노릇입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뜬금없는 한자말 ‘요요하다’를 자그마치 아홉 가지 더 싣는데 싹 걷어치울 일입니다. ㅍㄹㄴ



요요하다(了了-) : 1. 눈치가 빠르고 똑똑하다 2. 뚜렷하고 분명하다

요요하다(夭夭-) : 1. 나이가 젊고 아름답다 2. 생기가 있고 얼굴빛이 환하고 부드럽다 3. 어떤 물건이 가냘프고 아름답다

요요하다(姚姚-) : 아주 어여쁘고 아리땁다

요요하다(??-) : 1. 맵시가 있고 날씬하다 2. 산들거리는 바람이 부드럽다 3. 소리가 길고도 간드러지다 4. 드리워진 나뭇가지 따위가 길게 휘늘어져 있다

요요하다(搖搖-) : 1. 자꾸 흔들리다. 또는 자꾸 흔들다 2. 마음이 흔들려 안정되지 아니하고 들뜨다

요요하다(寥寥-) : 1. 고요하고 쓸쓸하다 2. 매우 적고 드물다

요요하다(遙遙-) : 매우 멀고 아득하다

요요하다(嶢嶢-) : 1. 몹시 위태롭다 2. 뜻이 깊고 높다

요요하다(撓撓-) : 물건 따위가 자꾸 흔들려 어지럽다



서로가 망연자실 속에 잊음(잊어줌)과 기다림(기다려줌)이라는 딜레마를 피할 수가 없었던 요요(擾擾)한 일이 상기되어

→ 서로가 넋을 잃고 잊고 기다려야 하는 고빗사위를 벗어날 수가 없어 뒤숭숭하던 일이 떠올라

《소걸음으로 천리를 간다》(정수일, 창비, 2004) 2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영애 令愛


 대통령의 영애(令愛)와 친교의 시간을 가졌다 → 나라지기 따님과 사귀었다

 그분의 영애(令愛)한테 무례하군 → 그분 아이한테 버릇없군


  ‘영애(令愛)’는 “윗사람의 딸을 높여 이르는 말 ≒ 규애·애옥·영교·영녀·영랑·영양·영원·옥녀”처럼 뜻풀이를 하지만, ‘가시내·가스나·갓님’이나 ‘따님’으로 고쳐씁니다. ‘딸·딸내미·딸아이’나 ‘아이·작다’나 ‘숲씨·숲이’로 고쳐써도 되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영애(靈艾)’를 “신령스러운 쑥”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왕족이나 귀족 영애가 쓰는 이름 아닌가

→ 임금씨나 나리 따님이 쓰는 이름 아닌가

→ 임금집과 감투꾼 딸이 쓰는 이름 아닌가

《아르슬란 전기 10》(아라카와 히로무·타나카 요시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9) 89쪽


오노 재벌의 영애라는 자각을 잊은 건 아니시겠죠

→ 오노 돈집 딸아이인 줄 잊지 않으셨겠죠

→ 오노 돈꽃 따님인 줄 잊지 않으셨겠죠

《하이스코어 걸 1》(오시키리 렌스케/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19) 93쪽


말씀드린 영애입니다

→ 말씀한 딸입니다

→ 여쭌 딸아이입니다

《천막의 자두가르 1》(토마토수프/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 1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