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0조각의 비가 ㅣ 민음의 시 254
이선영 지음 / 민음사 / 2019년 2월
평점 :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3.25.
노래책시렁 488
《60조각의 비가》
이선영
민음사
2019.2.28.
어느 낱말을 골라서 말을 할 적에는, 어느 낱말에 흐르는 삶을 우리 마음으로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낱말만으로는 마음을 나타내지 못 합니다. 낱말을 엮어서 이야기를 이루어야 비로소 마음을 나타냅니다. 바느질이나 뜨개질처럼 낱말을 차근차근 엮고 맺기에 비로소 말을 나눌 수 있습니다. ‘낱말엮기’를 ‘말길(문법)’이라고 합니다. 말길을 차근차근 짚을 줄 알아야 말을 말답게 할 뿐 아니라, 서로서로 마음을 고스란히 나눕니다. 《60조각의 비가》는 아무래도 ‘悲歌’를 예순 조각 나누어서 풀어낸다는 뜻일 테지요. 그런데 한글로 ‘비가’라 적으면 “하늘에서 내리는 비가” 어떻다는 소리인지 갸우뚱하게 마련입니다. 그렇다고 한자로 ‘悲歌’처럼 적으면, 글담(문자권력)을 쥔 몇몇만 알아봅니다. 마음을 풀어내려는 글이라면 ‘눈물노래’나 ‘눈물글’처럼 쓸 수 있습니다. ‘울음노래’나 ‘울음글’이라 할 수 있어요. 또는 ‘비노래’나 ‘빗물노래’로도 얼마든지 눈물과 울음뿐 아니라, 눈물과 울음을 씻는 마음까지 아우를 만합니다. ‘문학’이라는 틀에 가두기에 오히려 ‘문학’하고 멉니다. ‘글’과 ‘노래’에 얹을 ‘말’과 ‘마음’을 바라보고 다가서야 비로소 ‘글꽃’이 피어날 수 있습니다.
ㅍㄹㄴ
가을 하늘에 비누 거품처럼 물씬 피어오른 구름 / 그 속에 빠져 거품 휘저으며 발장구 치고 싶은 구름 / 그 위를 가볍게 올라타 입바람을 불어 대며 놀리고 싶은 구름 / 단풍구름 홍초구름 억새구름 (구름 비가/26쪽)
나는 내 시의 팔레트에 / 내 삶을 덩어리째 던져 넣지만 / 그들은 그들 시의 피사체에 / 이미지만을 던져 넣는다 (이미지들, 내 입으론 안 붙어지는/38쪽)
+
《60조각의 비가》(이선영, 민음사, 2019)
나의 탄생보다 먼저 드높고 눈부신 역사를 축조하며
→ 태어나는 나보다 먼저 드높고 눈부신 길을 쌓으며
→ 내가 나기 앞서 드높고 눈부신 발걸음을 올리며
32
터지고 깨져도 저라는 게 있다는 것이다
→ 터지고 깨져도 제가 있단다
34
내가 길의 왼편을 걸어갈 때 나비는 길의 오른편으로 날아오고 있었다
→ 내가 왼길로 걸어갈 때 나비는 오른길로 날아온다
→ 내가 왼켠으로 걸어갈 때 나비는 오른켠으로 날아온다
96
직립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일이던가
→ 곧추서기란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 곧서기란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 바로서기란 얼마나 놀라운가
120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