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 기준 문학동네 동시집 84
김준현 지음, 송선옥 그림 / 문학동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4.12.

노래책시렁 491


《토마토 기준》

 김준현 글

 송선옥 그림

 문학동네

 2022.2.3.



  사람도 ‘숲’입니다. 풀과 나무만 숲을 이루지 않습니다. 늑대와 곰과 여우와 범도 숲을 이룹니다. 멧돼지와 멧토끼와 지렁이와 나비도 숲을 이루고, 풀벌레와 딱정벌레도 나란히 숲을 이룹니다. 누구나 다르면서 어울리는 숲인 줄 느낀다면, 언제나 스스럼없이 파란하늘을 머금는 푸른들녘인 마음으로 살아갈 만하지 싶습니다. 《토마토 기준》을 곰곰이 돌아봅니다. 어린이가 어린배움터에서 고단하게 마련이라 여기는 틀로 “해보자! 해보자!” 하고 북돋우려는 줄거리 같습니다. 그러면 뭘 해봐야 할까요? 배움터 여섯 해를 버텨내고, 이다음 여섯 해도 버텨내어, 이른바 ‘대학졸업장’까지 따내면 될까요? 우리 삶터가 푸른숲이나 아름숲이라면, 어린배움터만 마치고도 삶터 곳곳에서 즐겁게 일할 만해야 맞습니다. 어린배움터조차 안 다니더라도 스스럼없이 꿈을 펼 만한 터전이어야 아름답습니다. 배움길이 아닌 배움수렁에 배움굴레로 옥죄기 때문에 모든 아이들이 괴롭고, 어버이도 고단하고, 배움터 길잡이까지 힘겹습니다. 말로만 꿈(희망)을 품자고 귀여운 말로 속삭이기보다는, 모든 아이들이 저마다 다른 풀씨에 나무씨인 줄 느끼도록 들려주는 이야기로 나아가기를 빕니다. 집안일을 하고, 철빛을 읽고, 새롭게 배우는 기쁜 하루를 누리는 길을 들려줄 적에 비로소 글(문학)이 될 만하다고 봅니다.


ㅍㄹㄴ


김밥을 말자 / 품은 게 많아서 따뜻한 김밥을 말자 // 마르고 여린 김이라도 / 밤하늘처럼 넓고 깊은 품으로 / 계란 걔랑 우엉 부엉 단무지 무지무지 깨소금 깨작깨작 / 어묵을 오물오물 밥알 봐봐 / 안을 만큼 안아 / 데굴데굴 구르자 // 달팽이 집처럼 돌돌 말자 (김밥을 말자/28쪽)


가끔 한숨이 나올 때가 있어 / 마음의 공기가 다 빠져나올 때가 있어 // 그럴 때는 잊지 말고 / 풍선을 불자 // 아픈 병아리 한숨은 노랑 풍선 / 수학 시험 한숨은 빨강 풍선 / 그 아이 불 때마다 나는 한숨은 분홍 풍선 / 비 오는 날 우산 없는 한숨은 파랑 풍선 / 시든 꽃을 든 아이 한숨은 초록 풍선 (한숨 기억/54쪽)


사람한테는 작은 콩 소리가 / 파리한테는 온몸이다 // 파리는 반대편에서 날아오는 스스로의 모습에 / 온몸으로 부딪쳤다 (푸른 고어럼/62쪽)


+


《토마토 기준》(김준현, 문학동네, 2022)


톡, 셔틀콕을 톡

→ 톡, 깃공을 톡

→ 톡, 깃털공을 톡

12쪽


더 아래층에서 기다리는 누군가를 향해

→ 더 밑칸에서 기다리는 누구한테

→ 더 밑에서 기다리는 사람한테

23쪽


세상의 절반은 어둠에 담갔다 꺼내는

→ 온누리 한켠은 어둠에 담가서 꺼내는

→ 온누리 한쪽은 어둠에 담가서 꺼내는

48쪽


인공호흡을 하듯이 후― 후― 불어 넣자

→ 숨을 후 후 불어넣자

→ 후 후 불어넣자

→ 숨살림을 후 후 하자

54쪽


개구리를 노리는 중이야

→ 개구리를 노려

56쪽


반대편에서 날아오는 스스로의 모습에

→ 저켠에서 날아오는 제 모습에

62쪽


하나씩 들고 다녔음 좋겠다

→ 하나씩 들고 다니길 빈다

→ 하나씩 들고 다니길 바라

78쪽


너를 위해 동시 한 편 써 줄게

→ 너한테 노래 하나 쓸게

→ 너한테 노래 한 자락 쓸게

97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생식능력



 생식능력이 너무 부족하다 → 너무 못 퍼뜨린다 / 너무 못 심는다

 생식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 더 낳을 수 있도록

 현저하게 저하된 생식능력으로는 → 뚝 떨어진 씨앗으로는


생식능력(生殖能力) : [수의] 동물의 암컷이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난자 생산 능력. 얼마나 많은 난자를 형성하고 성숙시켜, 배란할 수 있는지의 여부로 나타낸다



  낳거나 심는 결을 나타낼 적에는 ‘거두다·거두어들이다·거둬들이다’나 ‘나다·나오다·낳다·내놓다’라 할 만합니다. ‘태어나다·태나다·퍼뜨리다·퍼지다’나 ‘힘·불힘·심’이라 할 수 있고, ‘생기다·생겨나다·이루다’라 하면 됩니다. ‘잣다·자아내다·자아올리다·짓다’나 ‘심다·씨·씨알·씨앗·알씨’라 할 만하며, ‘얻다·얻어들이다’나 ‘슬다·흘레·흘레하다’로 나타내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생식 능력이 퇴화한 일개미는

→ 낳지 못하는 일개미는

→ 씨알이 사라진 일개미는

《개와 샌드백 下》(카오리 오자키/박소현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3) 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소견 所見


 짧은 소견 → 짧은 눈

 소견을 내세우다 → 뜻을 내세우다

 소견을 밝히다 → 생각을 밝히다

 소견을 피력하다 → 깜냥을 말하다

 소견이 환하다 → 눈길이 환하다

 그는 소견이 좁다 → 그는 눈이 좁다

 저의 소견은 → 제 뜻은


  ‘소견(所見)’은 “어떤 일이나 사물을 살펴보고 가지게 되는 생각이나 의견”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깜냥·뜻·생각’이나 ‘나름대로·그 나름대로·제 나름대로·내 나름대로’로 다듬습니다. “내 생각·내 눈”이나 ‘눈·눈길·눈금·눈빛·눈매’로 다듬고, ‘눈높이·눈썰미·눈망울’이나 ‘밝히다·밝힘글·틀·틀거리’로 다듬을 만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소견’을 넷 더 싣지만 모두 털어냅니다. ㅍㄹㄴ



소견(小犬) : [천문] = 작은개자리

소견(召見) :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불러서 만나 봄

소견(消遣) : = 소일(消日)

소견(素絹) : 1. 흰빛의 견 2. [불교] 거칠고 나쁜 견직물로 만든 흰 법복(法服)



좁은 소견으로는 아무것도 풀리지 않는다

→ 좁은 눈으로는 아무것도 풀리지 않는다

→ 좁은 눈길로는 아무것도 풀리지 않는다

→ 좁은 눈매로는 아무것도 풀리지 않는다

《쌀은 주권이다》(윤석원, 콩나물시루, 2016) 210쪽


제 이기심이자 좁은 소견이었음을 깨달았습니다

→ 제멋대로에 좁았다고 깨달았습니다

→ 저만 알고 생각이 좁은 줄 깨달았습니다

《개화 소년 나가신다》(류은, 책과함께어린이, 2018) 171쪽


사실 정신은 티가 안 나는 것이기 때문에 의학적으로 소견서를 안 적어놓으면

→ 그런데 마음은 티가 안 나기 때문에 돌봄손으로 밝힘글을 안 적어놓으면

《싸울게요, 안 죽었으니까》(김진주, 얼룩소, 2024) 9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측근 側近


 측근에 있는 사람 → 옆에 있는 사람

 측근에다 두고 있으면서 → 옆사람한테다 두면서

 왕의 측근 → 임금 오른팔


  ‘측근(側近)’은 “1. 곁의 가까운 곳 2. 곁에서 가까이 모시는 사람 = 측근자”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곁사람·곁지기’나 ‘곁일꾼·곁잡이·곁꾼·곁일지기·곁도움이’로 고쳐씁니다. ‘옆사람·옆지기·옆님·옆꾼’이나 ‘팔·오른손·오른팔·왼손·왼팔’로 고쳐쓸 수 있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측근(側根)’을 “[식물] 고등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져 나간 작은 뿌리 = 곁뿌리”로 풀이하며 싣지만 ‘곁가지’로 고쳐쓸 노릇입니다. ㅍㄹㄴ



측근들이 어려울 때 보좌했다는 그 부채의식을 벗어나지 못한 점도 크다

→ 곁일꾼이 어려울 때 도왔다는 그 빚넋을 벗어나지 못한 대목도 크다

→ 곁사람이 어려울 때 거들었다는 그 짐넋을 벗어나지 못하기도 했다

《다시 쓰는 간신열전》(함규진, 페이퍼로드, 2007) 83쪽


측근으로 삼아 주시겠다니 영광스럽기 짝이 없군

→ 왼팔로 삼아 주시겠다니 고맙기 짝이 없군

→ 오른팔로 삼아 주시겠다니 반갑기 짝이 없군

《사이보그 009 완결편 1》(이시노모리 쇼타로·오노데라 조·하야세 마사토/강동욱 옮김, 미우, 2018) 85쪽


너희 측근도 마찬가지다. 정말로 주인을 위한다면 의자에 묶어 두고서라도 공부를 시켜라

→ 너희 곁일꾼도 마찬가지다. 참말로 님을 섬긴다면 걸상에 묶어 두고서라도 가르쳐라

→ 너희 옆사람도 마찬가지다. 참으로 님을 모신다면 걸상에 묶어 두고서라도 가르쳐라

《책벌레의 하극상 3부 6》(카즈키 미야·카즈키 히카루·시이나 유우/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4) 148쪽


다른 사람들에게 걱정시키지 않으려고 티를 안 내다 보니 측근들도 내가 정말 괜찮은 줄 알았다

→ 다른 사람이 걱정하지 않도록 티를 안 내다 보니 곁사람도 내가 참말 나은 줄 알았다

→ 다른 사람이 걱정을 안 하도록 티를 안 내다 보니 옆사람도 내가 참말 나은 줄 알았다

《싸울게요, 안 죽었으니까》(김진주, 얼룩소, 2024) 11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큐티클cuticle



큐티클(cuticle) : [생명] 생물의 체표 세포에서 분비하여 생긴 딱딱한 층. 몸을 보호하고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구실을 한다. 식물에서는 주로 각피소나 납으로 이루어지며, 절지동물에서는 경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외골격을 형성한다 = 각피

cuticle : (손톱·발톱 뿌리 부분을 덮고 있는) 단단한 피부층, 각피

キュ-ティクル(cuticle) : 1. 큐티클 2. 머리털의 겉면. 표피. 외피 3. 손톱의 거스러미



우리 낱말책은 ‘큐티클(cuticle)’을 올림말로 삼습니다만, ‘가죽·갗’이나 ‘겉·겉가죽·겉살’로 풀어낼 노릇입니다. ‘겉모습·겉빛·겉자락·겉차림·겉결’이나 ‘꺼풀·까풀·껍데기·겉껍데기’로 풀어내고, ‘너울·덮개·마개’로 풀어냅니다. ‘바깥·밖·바깥모습·밖모습·보자기’로 풀어낼 만하고, ‘씌우개·씌우다’로 풀어내지요. ‘영·이엉·지붕·청’이나 ‘허물·허우대·허울’로 풀어낼 수도 있습니다. ㅍㄹㄴ



다음 순서는 손톱 주위에 큐티클이 잘 붙게 하는 용액을 바르는 거였다

→ 다음은 손톱 둘레에 껍데기가 잘 붙도록 풀을 바른다

→ 다음은 손톱 둘레에 까풀이 잘 붙도록 풀을 바른다

《비행운》(김애란, 문학과지성사, 2012) 2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