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심장박동



 심장박동이 불규칙하다 → 가슴이 널을 뛰다

 두근두근 계속되는 심장박동에 의하여 → 자꾸 두근두근하여

 열정과 인내의 심장박동이다 → 뜨겁고 견디는 고동이다


심장박동(心臟搏動) : [의학] 심장이 주기적으로 오므라졌다 부풀었다 하는 운동. 심방과 심실의 신축에 의하여 일어난다 ≒ 심첨박동



  숨을 쉬면 가슴이 뛰어요. 가슴이 뛰니 두근거리고, 이때에 고동이 친다고 합니다. 이런 결을 살피면서 ‘숨·숨쉬다·쉬다’나 ‘가슴·가슴뛰다’라 하면 되고, ‘두근거리다·뛰다’나 ‘고동·고동치다·기운’라 하면 됩니다. ㅅㄴㄹ



그때는 아마 호흡도 심장 박동도 아주 좋을 것이다

→ 그때는 아마 숨도 가슴도 아주 고르리라

→ 그때는 아마 숨결도 고동도 아주 나으리라

《천천히 읽기를 권함》(야마무라 오사무, 송태욱 옮김, 샨티, 2003) 38쪽


그녀는 멀리서라도 그를 보면 언제나 심장박동이 빨라진다고 말했다

→ 그이는 멀리서라도 보면 언제나 가슴이 뛴다고 말했다

→ 멀리서라도 보면 언제나 두근거린다고 말했다

《시간의 목소리》(에두아르도 갈레아노/김현균 옮김, 후마니타스, 2011) 21쪽


순간 심장박동이 빨라지더니 눈두덩이 뜨거워짐을 느꼈습니다

→ 문득 가슴이 빨리 뛰더니 눈두덩이 뜨겁다고 느꼈습니다

→ 갑자기 가슴이 빨리 뛰더니 눈두덩이 뜨뜻했습니다

《포근하게 그림책처럼》(제님씨, 헤르츠나인, 2017) 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일격필살



 일격필살로 오리사냥 → 한칼에 오리사냥 / 냉큼 오리사냥

 일격필살로 제압하다 → 한주먹으로 누르다 / 그냥 찍어누르다


일격필살 : x

일격(一擊): 한 번 침. 또는 그런 공격

필살(必殺) : 반드시 죽임



  ‘일격필살’은 낱말책에 없습니다. ‘일격 + 필살’ 얼개일 텐데 일본말씨이지 싶습니다. ‘끝내다·끝내기·첫판박살’이나 ‘쐐기·쐐기박다·쐐기치다’로 고쳐씁니다. ‘주먹·한주먹·한칼·한칼베기’나 ‘죽·죽죽·쭉·쫙’으로 고쳐쓰고, ‘찍어누르다·허물다·부수다’나 ‘깨부수다·깨뜨리다·무너뜨리다’로 고쳐써요. ‘곧바로·곧장·냉큼·대뜸·댓바람’이나 ‘한달음·한숨에·두말없다·바로·바로길’이나 ‘세다·크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달인을 상대로 미친듯이 싸우면서 일격필살을 노리는 건 불가능하다

→ 꾼하고 미친듯이 싸우면서 한주먹을 노릴 수 없다

→ 머드러기랑 미친듯이 싸우면서 쐐기를 노릴 수 없다

《창천의 권 16》(부론손·하라 테츠오/오경화 옮김, 학산문화사, 2008) 139쪽


일격필살로 죽이는 수밖에 없어

→ 냉큼 죽이는 수밖에 없어

→ 곧바로 죽이는 수밖에 없어

→ 한칼에 죽이는 수밖에 없어

《러브 인 하우스 1》(타카스카 유에/윤현 옮김, 학산문화사, 2018) 154쪽


일격필살할 실력이 필요해

→ 한주먹에 보낼 솜씨여야지

→ 한칼에 끊을 솜씨여야 해

《보석의 나라 1》(이치카와 하루코/신혜선 옮김, YNK MEDIA, 2019) 2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23 : -들의 열기 안


갓 구운 빵들의 열기로 가게 안이 후끈거린다

→ 가게는 갓 구운 빵으로 후끈거린다

→ 가게는 갓 구운 빵기운으로 후끈거린다

《위저드 베이커리》(구병모, 창비, 2009) 18쪽


우리말로는 밥이나 빵을 ‘-들’로 안 셉니다. “갓 지은 밥”이나 “갓 구운 빵”이라고만 합니다. 가게가 후끈거릴 적에도 “가게가 후끈”이라 할 뿐, “가게 안”이라 안 합니다. 빵을 갓 구웠으니 ‘후끈’하지요. “열기로 후끈”이라 하면 겹말입니다. ㅍㄹㄴ


열기(熱氣) : 1. 뜨거운 기운 2. 몸에 열이 있는 기운 3. 뜨겁게 가열된 기체 4. 흥분한 분위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22 : 문제적 특성 갖고 있을 경우


이런 문제적 특성을 갖고 있을 경우

→ 이렇게 고약하면

→ 이렇게 골칫덩이라면

→ 이렇게 못나면

→ 이렇게 바보스러우면

《위저드 베이커리》(구병모, 창비, 2009) 16쪽


낱말책에 없는 ‘문제적’이기는 한데, “문제적 특성을 갖고 있을 경우”처럼 길게 늘어뜨릴 까닭이 없이 “고약하면”이나 “골치라면”이나 “말썽이라면”이나 “엉터리라면”이나 “바보같다면”이라 하면 됩니다. ㅍㄹㄴ


문제적 : x

문제(問題) : 1. 해답을 요구하는 물음 2. 논쟁, 논의, 연구 따위의 대상이 되는 것 3. 해결하기 어렵거나 난처한 대상 4. 귀찮은 일이나 말썽 5. 어떤 사물과 관련되는 일

특성(特性) : 일정한 사물에만 있는 특수한 성질 ≒ 특이성

경우(境遇) : 1. 사리나 도리 2. 놓여 있는 조건이나 놓이게 된 형편이나 사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21 : 존재론적 속 인연


존재론적 슬픔 속에서 만난 인연

→ 타고난 슬픔으로 만난 끈

→ 처음부터 슬프게 만난 사이

《아름다운 사람 권정생》(이충렬, 산처럼, 2018) 150쪽


처음부터 슬프게 태어난 두 사람이 만납니다. 어떤 끈이기에 슬픈 삶을 걷다가 만나는지 돌아봅니다. 어떤 사이라서 슬프게 눈물짓다가 문득 만나서 서로 달래는지 헤아립니다. ㅍㄹㄴ


존재론적(存在論的) : [철학] 존재론에 관한

인연(因緣) : 1. 사람들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 ≒ 연고 2. 어떤 사물과 관계되는 연줄 3. 일의 내력 또는 이유 4. [불교] 인(因)과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인은 결과를 만드는 직접적인 힘이고, 연은 그를 돕는 외적이고 간접적인 힘이다 ≒ 유연 5. [불교] 원인이 되는 결과의 과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