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에게 - 희망엄마 인순이가 가슴으로 쓰는 편지
인순이 지음 / 명진출판사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2025.1.29.

읽었습니다 331



  아쉽다고 더 들여다볼 수 있으나, 더 살펴보더라도 이다음에 다시 보면 으레 또 아쉬운 데가 나오게 마련입니다. 오늘 펴는 자리가 그야말로 빈틈없을 수 있는데, 오늘은 마음에 차더라도 뒷날 돌아보면 꼭 어느 곳이 조금 모자랐다고 느낄 만합니다. 그날그날 빈틈없이 마친다면 굳이 이튿날 새로 아침을 맞이할 까닭이 없어요. 언제나 일을 덜 마치기에 밤에 느긋이 쉬고서 새벽을 마주하는구나 싶습니다. 《딸에게》를 읽어 보았습니다. 딸한테 남기고픈 말을 그러모았을 텐데, 왠지 ‘이야기’보다는 ‘겉옷’ 같습니다. 딸이건 아들이건 안 사랑하는 어버이가 없을 텐데, 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에 굳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두 나라 시민권’을 얻어야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돈과 이름과 힘이 있으면 슬그머니 미국으로 갈 테지요. 그런데 참말로 아이를 사랑한다면 미국이 아니라 이 나라 시골이나 들숲메에 깃들어서 “아이가 들숲바람과 멧숨결을 품으며 태어나는 보금자리”를 같이 누릴 일이지 싶습니다. 아이는 어디에서 태어나든 어버이가 곁에서 품으면 됩니다. 미국을 오가며 낳을 목돈이 있다면, 이미 시골집 한 채를 장만하고도 남습니다.


《딸에게》(인순이, 명진출판, 2013.1.20.)


ㅅㄴㄹ


당일 나는 부산으로 내려갔어

→ 그날 나는 부산으로 갔어

22쪽


그 사실을 알고 나서 서운함이 앞서 울컥 눈물이

→ 그 일을 알고 나서 서운해서 울컥 눈물이

25쪽


참 많이 고민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너를 낳았다. 원정출산이라고 비난받으리라는 걱정보다 딸을 보호하고 싶다는 간절함이 더 컸다

→ 참 많이 걱정하다가 미국으로 건너가 너를 낳았다. 먼낳이라고 손가락질받으리라는 걱정보다 딸을 애틋이 지키고 싶었다

30쪽


사랑의 아이러니, 또는 사랑의 어려움은 이 때문이 아닌가 싶다

→ 이 때문에 사랑이 엇갈리고 어려운가 싶다

→ 이 때문에 사랑이 얄궂고 어려운가 싶다

95쪽


누군가를 신뢰한다는 것이 무엇일까

→ 누구를 믿는 일이란 무엇일까

→ 남을 어떻게 믿을까

→ 이웃을 어떻게 믿을까

→ 믿는 마음은 무엇일까

130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사용후기



 사용후기를 작성해 주시면 → 맺음글을 써 주시면

 사용후기를 작성 중인데 → 뒷글을 쓰는데

 다른 사람의 사용후기는 중요하지 않다 → 다른 사람 느낌글은 대수롭지 않다


사용후기 : x

사용(使用) : 1. 일정한 목적이나 기능에 맞게 씀 2. 사람을 다루어 이용함. ‘부림’, ‘씀’으로 순화

후기(後記) : 1. 본문 끝에 덧붙여 기록함. 또는 그런 글 2. 뒷날의 기록



  무엇을 쓰거나 누린 뒤에 글을 남기기도 합니다. 읽거나 보고서 글을 쓰기도 합니다. 이때에는 ‘느낌글·느낌풀이’라 할 만하고, ‘뒷글·뒷말’이라 할 수 있어요. ‘뒷얘기·뒷이야기’나 ‘맺음글·맺는글·맺음말·맺는말’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이 쿠키에 매겨진 별점이랑 사용 후기 안 봤어?

→ 이 바삭이에 매긴 별꽃이랑 뒷글 안 봤어?

→ 이 바삭이에 매긴 별받이랑 느낌글 안 봤어?

《위저드 베이커리》(구병모, 창비, 2009) 7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해방신학



 가난으로부터의 해방을 설파하는 해방신학 → 가난에서 벗어나자고 외치는 열린눈

 그는 해방신학의 아버지였다 → 그는 트인눈을 낳았다 / 그는 트인길을 걸었다

 해방신학으로 세상을 사유하다 → 열린믿음으로 온누리를 보다


해방신학(解放神學) : [가톨릭] 가톨릭 신학 사조의 하나. 1960년대 말기에 일어난 것으로, 교회는 억압받는 자의 해방을 위하여 혁명 운동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여태까지는 너무 갇히거나 닫힌 채 사람들 곁에 없었다고 여겨서, 이제부터 길을 열고 틔우려는 목소리와 몸짓과 발걸음이 있었어요. 이는 ‘열린믿음·열린길’입니다. ‘열린눈·열린뜻·열린마음’이에요. ‘틔움믿음·틔운길’이면서 ‘트다·트인길’입니다. ‘트인눈·트인뜻·트인마음’이기도 합니다. ㅅㄴㄹ



무엇보다도 이 책에서는 그런 의미로 해방신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 무엇보다도 이 책에서는 그런 뜻으로 열린길이라는 낱말을 쓰려 한다

→ 무엇보다도 이 책에서는 그런 뜻으로 트인길이라는 말을 쓸 생각이다

《해방신학 입문》(레오나르도 보프/김수복 옮김, 한마당, 1987) 28쪽


해방신학의 세 가지 차원은 모두 억압 앞에서 신앙을 생각하는 형태인 것이다

→ 열린믿음에서 세 가지 길은 모두 사슬터에서 믿음을 생각하는 얼개이다

→ 틔움믿음에서 세 가지 틀은 모두 굴레에서 믿음을 생각한다

《해방신학 입문》(레오나르도 보프/김수복 옮김, 한마당, 1987) 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가감승제



 가감승제를 자유롭게 해서 → 네셈을 가볍게 해서

 가감승제의 기본부터 학습하여 → 덧뺄나곱 바탕부터 배워

 가감승제의 원칙에 의거하여 → 네갈래셈을 따라서


가감승제(加減乘除) : [수학]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아울러 이르는 말



  네 가지로 하는 셈을 말할 적에는 ‘네셈’이라 하면 됩니다. ‘네가지셈·네갈래셈’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단출히 ‘덧뺄나곱’이라 하거나 “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처럼 그대로 밝힐 수 있습니다. ㅅㄴㄹ



가감승제 부호 중 무엇을 잘못 눌렀는지, 계산이 어그러졌다

→ 덧뺄나곱 가운데 무엇을 잘못 눌렀는지, 셈이 어그러졌다

→ 네가지셈 가운데 무엇을 잘못 눌렀는지, 값이 어그러졌다

《위저드 베이커리》(구병모, 창비, 2009) 3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연주


 누구의 연주였을까 → 누가 탔을까 / 누가 뜯었을까

 아침의 연주를 선사하는 새들 → 아침노래를 베푸는 새


  ‘연주(演奏)’는 “악기를 다루어 곡을 표현하거나 들려주는 일”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다루다’나 ‘들려주다·선보이다’나 ‘뜯다·켜다·타다’로 풀어낼 만하고, ‘틀다·뽑다·치다’나 ‘누르다·짚다·불다’로 풀어내고, ‘가락꽃·노래·노래하다’나 ‘읊다·읊조리다·속삭이다’로 풀어내면 되어요. ㅅㄴㄹ



〈레퀴엠〉의 연주를 위해서 헤르나루스 성당에 간신히 갔으나

→ 〈레퀴엠〉을 들려주려고 헤르나루스 절집에 겨우 갔으나

→ 〈레퀴엠〉을 치려고 헤르나루스 절집에 힘들게 갔으나

→ 〈레퀴엠〉을 해보려고 헤르나루스 절집에 악착같이 갔으나

《슈베르트》(폴 란돌미/김자경 옮김, 신구문화사, 1977) 134쪽


모두의 연주를 들으러 세계 각지로 가 보고 싶어

→ 모든 가락꽃을 들으러 이곳저곳 가 보고 싶어

→ 모두 들려주는 노래를 찾아 두루 가 보고 싶어

《노다메 칸타빌레 25》(니노미야 토모코/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1) 172쪽


재즈에서의 즉흥연주가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과정이라고는 할 수 없다

→ 널노래에서 바로가락이 빈터에서 새롭게 짓는 길이라고는 할 수 없다

→ 가락꽃에서 바람노래가 없다가 생기는 발판이라고는 할 수 없다

《재즈, 끝나지 않은 물음》(남예지, 갈마바람, 2022) 2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