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종종거리는 (2025.4.30.)

― 인천 〈나비날다〉



  올해는 첫봄 한봄 늦봄 모두 부드럽게 찾아와서 차분하게 흐릅니다. 올여름도 보드랍게 스미면서 찬찬히 흐르겠다고 느낍니다. 겨울끝도 봄끝도 넉넉히 누릴 즐거운 철빛입니다. 왁자지껄하게 함께 나들이하는 하루가 있고, 조용히 혼자 마실하는 길이 있습니다. 일이 바쁘면 서두를 테지만, 일이 바쁘기에 느긋할 만합니다.


  마주하고 바라보는 마음에 따라서 스스로 짓는 발걸음이라고 봅니다. 좋기에 좋거나 나쁘기에 나쁘지 않아요. 마음을 다스리는 길에 맞추어 늘 다른 삶입니다.


  종종거려야 할 적에는 종종걸음을 칩니다. 뚜벅뚜벅 나아갈 적에는 뚜벅걸음입니다. 이따금 달리고, 곧잘 내달리고, 으레 멈추고, 자꾸 숨을 돌리면서, 날마다 새롭게 감도는 바람맛을 헤아립니다. 《말밑 꾸러미》를 한창 매듭짓던 이태에 걸쳐서 인천 배다리책거리에서 ‘말밑수다’를 폈습니다. 이미 끝냈다고 여기던 꾸러미였지만, 이웃님한테 새록새록 보태어 들려주는 동안 “아직 갈 길이 한참 있네” 하고 되새기며 가다듬고 손질했습니다. 이제 다 손질했으려나 하고 되짚다가 “이봐, 길이 끝나면 늘 새길로 있잖아?” 하고 돌아보며 고쳐쓰고 추슬렀습니다.


  종종걸음이 될 적마다 총총별빛을 올려다봅니다. 총총한 시골밤을 고스란히 품으면서 초롱초롱 붓끝으로 거듭나자고 생각합니다. 너는 스스로 별입니다. 나도 스스로 별입니다. 너랑 나는 자그맣게 온누리요, 나하고 너는 나란히 온빛이면서, 함께 온꽃입니다. 스스로 반짝이기에 어깨동무로 반짝반짝하고, 밤과 낮을 밝혀요.


  한봄볕을 듬뿍 쬐면서 〈나비날다〉에 찾아듭니다. 골목꽃과 마을나무를 눈여겨보며 걷다가 책집에서 다리를 쉽니다. 다릿심이 조금 돌아오면 골마루를 거닙니다. 등허리를 펴고 팔다리를 주무르면서 책을 살핍니다. 이 책을 집어서 죽 읽습니다. 저 책을 꺼내어 살살 읽습니다. 어느 고을 어느 이웃이 어느 철바람을 쐬면서 붓을 쥐었을까 하고 어림합니다. 철이 흘러도 철볕과 철꽃을 모르면서 붓을 놀리는 이웃이 있고, 날마다 새롭게 거듭나는 철길과 철눈을 품으면서 붓꽃을 피우는 이웃이 있습니다.


  저는 오늘까지 걸어온 길만큼 읽고 익혀서 일굽니다. 저는 오늘부터 새로 걸어갈 길에 따라서 읽어내고 무르익어서 이야기를 폅니다. 제가 마주하는 이웃님도 오늘까지 살핀 다음 오늘부터 살펴볼 말씨 한 톨을 주고받습니다.


  작은몸으로 해맑게 노래하는 종달새입니다. 조곤조곤 나누는 말마디에 조그맣게 맺는 꽃망울이 깃듭니다. 해는 높아갑니다. 낮이 차츰 깁니다. 깊어가는 봄을 느끼면서 살살 돋는 풀포기가 늘어납니다. 봄날을 걸을 수 있어서 온하루가 기쁩니다.


ㅍㄹㄴ


《헌책 식당》(하라다 히카/김영주 옮김, 문학동네, 2024.10.29.)

#古本食堂 #原田ひ香

《웃음과 비탄의 거래》(마크 트웨인/정소영 옮김, 온다프레스, 2022.1.17.)

#MarkTwain

《태교 이야기》(람사정, BOOKK, 2025.1.31.)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0. 새벽 일손



  마을 할배가 새벽 네 시 무렵에 나물짐 도와줄 수 있겠느냐 물으시기에 그리하겠다고 여쭌다. 마을 할매 다섯 분은 이미 새벽 두 시부터 곤드레를 베셨지 싶다. 베어낸 곤드레는 자루를 갈라서 담고서 보쌈처럼 나물쌈을 한다. 다만 나물쌈 한 보따리는 30킬로그램 즈음 될 듯싶다.


  베고 담고 묶고 나르자면 젊은일손이 꽤 들 텐데, 이 시골에서 놉을 찾을 길은 드물다고 한다. 아니, 젊은 일손은 많다. 시골아이가 새벽에 함께 일하고서 일삯을 받으면 된다. 시골이기에 있는 시골밭일을 일철마다 일삯을 12∼20만 원쯤 받으며 신나게 해보면, 초·중·고등학교 가르침이 얼마나 쉽고 스스로 애쓸 길인지 느끼리라.


  굳이 시골에서 편의점이나 피시방이나 배달 곁일만 찾으려니 일자리가 있겠는가. 손발과 온몸을 흙과 바람과 숲과 해한테 맞추어 움직이는 배움길이야말로 서울에서는 아예 어림조차 못할 대단한 살림빛이다.


  흙을 만지면 손에 흙물이 든다. 흙물이란 싱그러이 살림물이다. 우리나라 헌책집 일꾼도 으레 까무잡잡 일손빛이었다. 일하는 손길에는 흙책과 땀책과 멧새책이 부드러이 감돈다. 오늘 새벽에도 꾀꼬리가 우렁차게 새날을 알려준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25-06-21 0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란놀님 손을 보니 제가 부끄러워집니다.
‘놉‘이란 말을 오늘 여기서 처음 보고 알게 되었어요.
다른 글에서 ‘남새‘라는 말을 쓰신 것을 보고 풀과 같은 뜻 아닌가해서 사전을 찾아보기도 했는데 같은 뜻이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파란놀 2025-06-21 09:30   좋아요 0 | URL
여러모로 보면 저부터 스스로 부끄러운 손입니다. 저는 어제 새벽에 고작 두 시간 반을 일손을 도왔을 뿐인데, 시골 할매할배는 늘 이보다 시커멓게 흙물이 들도록 일하시거든요. 그렇지만 일손을 거들거나 도울 적에는 따로 사진을 못 찍게 마련이라, 흙물 든 손으로 사진기를 못 쥐니까요, 집으로 돌아가서 얼른 씻고서 전남 고흥에서 부산으로 일하러 나서는 시외버스에서 숨돌리고서 손전화로 찰칵 남겨 보았어요.

시골 할매할배를 그리고 기리는 마음이라서, 이래저래 부끄럽기만 합니다.

시골일을 하는 어르신은 요새도 ‘놉’이라고 하셔요. ‘인부’ 같은 일본말을 모르시기도 하다고 느껴요. 여러모로 보면, ‘놉’은 ‘놈’하고 말밑이 같다고 느낍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
댓글저장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20. 입틀막 하는 자유화



  서울에서는 예전 대통령이 ‘올라오시’면서 한껏 잔치판이라 한다. ‘서울국제도서전’을 사유화로 거머쥐려는 이들은 도종환 씨도 옆구리에 끼고서 활짝 웃는다. 이분들은 ‘도서전 사유화 반대’라는 작은소리를 내는 사람을 보고서 ‘관변단체’라거나 ‘출판노조’ 쪽 아니냐고 지청구를 한다.


  고개를 갸우뚱한다. 출판노조 사람이 어떻게 관변단체와 손을 잡지? 말이나 되는가? 예전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꾼을 거느려서 기념사진을 쏟아내어 새뜸(언론)에 뿌리는 이들이야말로 관변단체이지 않은가?


  작가와 출판단체라면, 누구를 지지하건 말건 누가 뽑히건 말건, 책잔치 자리에는 정치인과 지자체장은 그저 손님 하나로만 받아야 할 뿐, 기념사진도 기념사도 안 해야 마땅하다. 관변과 금을 그어야 책과 말이 제자리이지 않은가?


  책잔치 임자(주인공)는 유명작가나 대형출판사가 아니며, 이분들일 수 없다. 책잔치에는 예전 대통령이나 정치꾼이 찰칵찰칵 찍으면서 웃음마당을 벌이는 곳이 아니며, 이럴 수도 없다. 모든 글지기와 책지기와 책집지기와 책손, 이렇게 넷이 어깨동무로 너나없이 어울릴 노릇인 책잔치여야 맞고 마땅하다.


  ‘도서전 사유화(서울국제도서전·부산국제아동도서전)’가 거리끼지 않다면 ‘수다판(자유토론)’을 나라 곳곳에서 벌여야 마땅하다. 뒤(밀실)에서 기자들한테 밥사주고 모시면서 보도자료만 내는 일이야말로 관변단체 모습이라고 느낀다.


  ‘도서전 사유화 반대 이야기마당’을 막으려는 그들은 무엇이 구려서 숨겨야 하기에 안절부절을 못 하는지, 그야말로 딱하다. 반대 목소리에 귀기울여야 출판인 아닌가? 반대 목소리를 찍어누르려는 그대들은 관변일 뿐 아니라 독재라고 느낀다. 누가 입틀막을 하겠는가? 참(진실)이 두려우니 뒤에서 수군거리는구나 싶다. 참낯이 드러날까 싶어서 들숲을 모두 불태우려고 하는구나.


https://blog.naver.com/no_priv_sibf/223896590508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숲노래 노래꽃

시를 씁니다 ― 52. 로자 파크스



  우리는 모든 사람을 알아볼 수 없을는지 모르지만, “모두 알아볼 수 없다”기보다는 “모두 알아보려는 마음이 없기에 알아보지 못 한다”고 해야 알맞다고 느낍니다. 먼저 마음부터 활짝 열면서 생각해 봐요. 마음을 닫으니 옆에 누가 있는지 모릅니다. 마음을 닫아걸기에 둘레에 있는 사람뿐 아니라 풀꽃나무와 새와 벌나비를 하나도 모릅니다. “너무 많”아서 못 알아본다고 느끼지 않아요. 마음이 없거나 마음을 닫은 탓에 안 알아볼 뿐이지 싶습니다. ‘로자 파크스’라는 미국사람이 있습니다. ‘버스 보이콧’으로 ‘민권운동’을 지폈다고 알려진 분인데, 막상 이분은 ‘어깨동무(민권운동)’을 1930년대부터 했습니다. 또한 1955년에 온마을 이웃하고 함께 ‘걷기(버스 보이콧)’를 하면서 담벼락(흑백차별) 가운데 하나를 허물고 나서도, 2005년에 숨을 거두는 날까지 꾸준히 어깨동무(민권운동)라는 길을 걸었어요. 어릴적에 할머니 할아버지한테서 배운 살림을 고스란히 품었고, ‘얼뜬 흰살갗’만 있지 않고 ‘눈뜬 흰살갗’도 많은 줄 알아본 로자 파크스 님이라지요. 살갗이 희거나 검기 때문에 얼뜨지 않다고, 스스로 새롭게 바라보고 배우면서 살림길을 익히려 하지 않기에 ‘어느 살갗이든’ 눈뜨거나 얼뜨다고 밝히는 걸음걸이였어요. 어깨동무로 나아가자는 검은살갗도 숱하게 목숨을 잃고 고되었고, 이 길을 나란히 걸은 숱한 흰살갗도 따돌림과 가난을 견디었을 뿐 아니라, 목숨을 잃어도 어깨동무를 이었다고 합니다. 함께 걸으면서 함께 눈뜨는 살림빛입니다.



로자 파크스 Rosa Parks 1913∼2005


땅 한 뙈기에 심으면

나무도 풀도 남새도 자라

땅 한 자락서 거두면

너도 나도 우리도 먹어


아버지 곁에는 어머니

할머니 곁으로 할아버지

작은새 둘레로 큰새 큰숲

작은꽃 포근히 큰들 큰벌


아이가 힘들면 어른이 안아

이웃이 지치면 서로 거들어

어른도 고단하니 앉고 싶지

동무랑 나란히 걸으며 수다


손으로 가꾸고 빚고 지어

다리로 다니고 잇고 선다

눈으로 살피고 보고 알아

꿈으로 만나고 살고 그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19. 사진을 받으면



  예전에는, 1993년까지 푸른배움터를 다니는 동안, 누구한테 찍히는 일은 매우 드물고 ‘내 사진’이 적었는데, 그나마 나는 조금은 있었다. 사진 한 자락 없는 동무가 수두록했다. 졸업사진에 처음 찍히고 주민등록증 받으려고 비로소 찍히는 동무가 흔했다.


  나는 1998년에 내 찰킥이를 장만해서 마을책집을 찍되 내가 나를 찍는 일은 참으로 드물다. 필름사진이 저물면서 비로소 내 사진을 얻는다. 더없이 고맙다.


  우리는 사진이 가볍고 넘치는 만큼 밥도 자가용도 대중교통도 학교도 이모저모 다 가볍고 넘친다. 굳이 무거워야 하지는 않다. 가벼운 만큼 누구나 누리며 살림길을 북돋우면 아름답고 즐거울 텐데, 어쩐지 자꾸 몇몇 손아귀에 붙들리는 돈벌이 굴레가 늘어난다고 느낀다.


  책을 왜 읽고 글을 왜 쓰나? 대학교를 왜 다녀야 하고, 입시학원에 아이를 왜 밀어넣어야 하나?


  가볍게 누릴 수 있는 터전이지만 정작 함부로 펴면서 스스로 빛을 잊고 잃지 싶다. 어느 책이든 읽으면 되고, 무슨 글이든 쓰면 되는데, 아무 책이나 읽으면서 아무 글이나 쓰지는 않는가? ‘아무 책’과 ‘아무 글’이란, “서울에서 돈과 이름과 힘을 얻는 길을 돕는 책과 글”이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