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1.18. 지지지



  이제 봄맞이(입춘)가 코앞이라 더 일찍 동트는 한겨울이다. 이른아침부터 논두렁을 걸어서 옆마을로 가는 길도 환하다. 아직 고무신 발바닥은 하얗게 얼지만 언발로 다니는 나날도 얼마 안 남았다고 느낀다.


  시골버스를 기다리며, 또 읍내에 닿아 시외버스를 기다리며, 손발이 나란히 얼지만 손에 붓을 쥐고서 노래를 쓴다. ‘지’하고 얽힌 낱말에 이야기를 담고서 가만히 우리 살림을 돌아본다.


  집다·짓다·짚다·짊다·지내다·지다·질다·짙다 ……, 이런 낱말을 하나로 볼 줄 아는 이웃은 이제 얼마나 있을까.


  마음을 담는 말은 거칠 일이 없으나, 마음이 없는 말은 오직 불(감정)만 들끓기에 마음없이 말하는 이는 늘 스스로 불지르고 둘레도 활활 태워서 같이 수렁에 빠지려고 한다. 이른바 옳고그름은 불씨이다. 마음있는 말은 맑고 밝게 풀씨이다.


  불씨는 다 태우는 잿더미로 간다. 풀씨는 다 살리는 들숲으로 품는다. 불씨는 이내 불바람을 일으켜 몽땅 휘감는다. 풀씨는 이윽고 푸르게 우거져 모두 노래로 바꾼다. 불씨는 곧 불바다로 번져서 모조리 앗아간다. 풀씨는 고스란히 풀꽃과 나무로 자라나니 누구한테나 낟알과 열매를 베푼다.


  나는 먼저 나한테 묻고 아이들한테 묻고 너한테 묻는다. 불씨가 되겠니? 풀씨가 되겠니?


  나는 불수렁 한복판으로 달린다. 혼자만 풀고 품어서 푸지게 누리려는 마음이란 없다. 네가 불수렁 아닌 풀밭에서 함께 맨손 맨발 맨몸으로 뒹굴며 깔깔깔 웃고 춤추며 노래하는 하루를 그린다. 나는 불수렁 한복판에 풀씨를 심으러 간다. 온곳이 푸르게 우거지면서 사랑으로 피어나기를 바라고 바라본다.


  새벽 세 시에 《이오덕 일기》를 되읽어 보는데, 이오덕 어른도 사랑으로 글을 여민 길잡이가 맞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21.


《나는 세계와 맞지 않지만》

 진은영 글, 마음산책, 2024.9.15.



조금 느슨히 움직인다. 고흥읍에서 10:30 버스를 탄다. 사상나루에서 곳간지기님을 만나서 동광동으로 간다. 조촐히 ‘살림씨앗’ 모임을 한다. ‘내려놓다(내리다 + 놓다)’라는 낱말을 둘러싼 살림길을 헤아리면서 뜻풀이를 보태어 본다. 보수동 〈학문서점〉하고 〈파도책방〉을 들르고서 연제동 〈카프카의 밤〉으로 옮긴다. 이응모임(이오덕 읽기 모임) 여덟걸음을 편다. 오늘은 《내가 무슨 선생 노릇을 했다고》라는 책과 ‘글빗(비평)’이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를 풀어낸다. 머리카락이 엉켰으니 빗으로 고른다. 글이 어수선하니 글빗을 한다. 얼레빗에 참빗이 있듯 성글게 글빗질을 할 수 있고 꼼꼼히 글빗질을 할 때가 있다. 글빗질이 없다면 글쓰기(문학창작)가 빛날 수 없다고 느낀다. 《나는 세계와 맞지 않지만》을 읽고서 한숨이 한참 나왔다. 왜 우리는 스스로 글빗을 버리거나 밀칠까? 왜 우리는 스스로 ‘빗글’하고 등진 채 ‘추킴글(주례사비평)’에 사로잡히는가? 참말을 하면 듣기 싫어하니 거짓말을 하는가? 참말을 들려주면서 짚으면 까칠하고 깔끄러워서 밉거나 짜증나는가? 아이들은 둘레 어른이 찬찬히 짚고 알려주는 ‘살림빗’을 기꺼이 넉넉히 고맙게 받아안는다. 아이다운 눈빛을 잊으면 어느 누구도 ‘어른’일 수 없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22.


《내 손으로, 시베리아 횡단열차》

 이다 글·그림, 미술문화, 2024.7.24.



밤새 밖에서 거나꾼이 술에 절어 떠드는 소리를 들었다. 아재만 거나꾼이지 않다. 아가씨 거나꾼도 많다. 술을 자신 늙은분 젊은분 순이돌이 모두 조용히 집으로 걸어가며 밤빛을 돌아보는 마음은 없을까. 아침에 바보눈(바라보고 보살피는 눈) 모임 여덟걸음을 꾸린다. 《작은 새가 좋아요》하고 《내가 진짜 공주님》을 놓고서, 수수하게 여미는 그림책이야말로 아이어른 모두를 사랑으로 이끄는 즐겁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품는다고 들려주면서, 이오덕 어른이 멧골마을 작은배움터에서 늘 걸어서 멧숲을 오르내린 지난날 삶자취를 곁들인다. 글을 쓰거나 읽는 눈길·손길은 바로 우리 삶자락에서, 수수하고 작은 하루에서 찾아보면서 빛나게 마련이다. 《내 손으로, 시베리아 횡단열차》는 손그림으로 꾸민다. ‘손그림’은 알뜰하되, 이야기는 아쉽다. 숱한 분이 잘못 아는데, 중형카메라나 대형카메라로 찍어야 사진이 잘 나오지 않는다. 대학교를 나와야 똑똑하거나 바르지 않다. 서울대학교를 마친들 아름답게 일한다고 여기지 않는다. 똑딱이나 손전화로 찍어도 마음에 사랑을 담아야 아름답고, 배움턱을 디딘 적조차 없어도 사랑으로 살림을 짓기에 아람일꾼이다. ‘손그림·손글씨’에 굳이 매이지 않아도 된다. 사랑이 없으면 메마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23.


《당신 곁에 서려고 이만큼 걸었습니다》

 전순옥 글, 아름다운전태일, 2019.12.3.



캄캄한 새벽에 전철을 탄다. 부산 사상나루에서 시외버스를 타려는데 ‘왼조각달’은 보이고 별은 안 보인다. 큰고장을 벗어나기까지 붐비지만, 광양과 순천을 거쳐 고흥으로 돌아가는 길은 한갓지다. 10:50에 고흥읍 버스나루에 닿는다. 할매할배는 서로 먼저 타려고 장난아니게 밀쳐댄다. 멀거니 지켜본다. 왜 할매할배는 “먼저 타이소?” 같은 말을 서로 못 하거나 안 할까? 나는 11:30 버스를 탄다. 황산마을에서 내려 논두렁을 걷는다. 구름 없이 파랗게 물든 하늘을 보며 바람소리를 듣는다. 겨울쑥은 찬바람에 잎이 꼬부랗다. 집에 닿아 씻고서 18:30까지 죽은듯이 잤다. 오늘 다시 별밤을 맞는다. 《당신 곁에 서려고 이만큼 걸었습니다》를 멍하니 읽었다. 오빠(전태일)를 곁에서 지켜본 동생이 오빠가 더는 갈 수 없던 새길을 한 발자국씩 내딛으며 얼마나 가난하고 배고파야 했는지 또박또박 적는다. 이제 ‘동생’ 전순옥 님은 어린날처럼 배를 곯거나 울지 않으실 테지. 왜 울어야 했고, 어떻게 울어야 했으며, 얼마나 떠돌아야 했고, 얼마나 다치고 아팠는지 차곡차곡 여미었다고 느낀다. 다만, 생채기에 멍울에 응어리를 더 낱낱이 더 길게 더 넓게 담아내어도 되었으리라 본다. 아직 풀어내지 못 한 보따리를 곧 풀어내 주시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1.19.


《주부, 퇴근하겠습니다》

 최진경 글, 혜윰터, 2023.8.17.



어제오늘 만나는 부산이웃님은 “어떻게 윤씨 믿음(지지율)이 치솟을 수 있는가?” 하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든다. 그러나 ‘믿음’은 얼마든지 오를 만하다. ‘믿음’은 ‘사랑’이 아니라 불씨(분노)이기 때문에 참 쉽게 오른다. 잘못을 저지르고도 왜 안 뉘우치는가? 잘못을 빌면 ‘봐주지(용서)’ 않는 나라로 바뀐 터라, 말썽꾼이 오히려 뻣뻣하고 뻔뻔하다. 믿음이란, 마음에 안 들면 죽여없애고도 부아가 안 풀려서 죄다 밀어내고 밀치려는 사납빼기이다. 믿음이 판치는 나라에는 오직 죽음이 감돈다. 부디 어느 누구도 믿지 말자고, ‘스스로 나부터 바라보기’를 하면서 ‘내가 나를 보며 사랑하듯, 나로서 너를 마주하며 사랑하는 어깨동무’를 펼 노릇이라고 이야기한다. 이오덕·권정생 두 분이 우리한테 남긴 씨앗은 ‘사랑빛씨’일 뿐, ‘미움씨’나 ‘불씨’가 아니다. 《주부, 퇴근하겠습니다》를 즐겁게 읽었다. 잘 쓴 꾸러미라고 느낀다. 그러니까 “잘 쓴” 나머지 서툴거나 엉성하거나 허둥지둥하는 ‘아이돌봄길’을 너무 적게 담았다고 느낀다. 글을 쓴 아주머니가 ‘아이를 영 못 돌보는 아저씨’를 집안일에 확 끌어당겨서 더 부딪히고 뒤죽박죽으로 헤매는 하루를 글로 담아 보았다면 ‘아름다운’ 이야기가 되었으리라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