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9


하늘을 날도록 펄럭일 수 있는 몸을 ‘날개’라고 한다. ‘날다’는 마음껏 어디로든 움직이면서 홀가분한 몸짓과 마음을 빗대는 뜻으로도 쓴다. 이런 ‘날다’는 한자말 ‘비행(飛行)’으로 적기도 하고, 하늘을 날며 어디로 타고다닐 수 있으면 ‘비행기(飛行機)’라고 한다. 그런데 아이도 어른도 “일본으로 날아간다”나 “날개 타고 갔지”처럼 말하곤 한다. 수수한 우리말 ‘날개·날다’는 진작부터 ‘비행기’를 가리키던 말씨라고 느낀다. 함께 날고 싶다. 몸도 마음도 꿈도 생각도 가볍고 즐겁게 훨훨 하늘로 띄우고 싶다.



눈물마실

나갔다가 들어오는 ‘나들이’이다. 나들이를 하는 몸짓이니 ‘다니다’이고, ‘마실’이다. 몸하고 마음을 쉬고 싶어서 바람을 쐰다. 아름다운 들숲바다를 품으면서 몸도 마음도 푸르게 북돋운다. 그리고 이웃이 겪은 눈물나고 슬픈 생채기나 멍울을 돌아보거나 되새기면서 어깨동무하는 길에 서기도 한다. 눈물앓이를 나란히 하면서 눈물꽃을 돌보고 눈물비로 씻고 눈물노래로 추스른다. 슬픔바다를 함께 헤아리면서 슬픔구름에 띄워 보내고 슬픔가락으로 토닥인다. 어떤 마실을 해볼 수 있을까? 꽃마실과 들마실뿐 아니라, 눈물마실을 하면서 온누리 골골샅샅을 풀어낸다.


눈물마실 (눈물 + 마실) : 밝은 곳을 구경하고서 기뻐하는 길이 아닌, 캄캄한 눈물과 슬픔을 마주하면서 새기는 길. 눈물로 얼룩지면서 슬픈 발자취가 깃들거나 남거나 가득한 곳을 찾아가면서, 우리 삶터 한켠에 흐르는 눈물을 거두거나 달래면서, 앞으로 일구거나 가꿀 사랑길과 살림길을 돌아보려고 하는 마실길. (= 눈물꽃·눈물길·눈물바람·눈물비·눈물빛·눈물구름·눈물앓이·눈물노래·눈물가락·눈물바다·눈물물결·눈물너울·슬픔마실·슬픔꽃·슬픔길·슬픔바람·슬픔비·슬픔빛·슬픔구름·슬픔앓이·슬픔노래·슬픔가락·슬픔바다·슬픔물결·슬픔너울. ← 다크투어리즘Dark Tourism)



어진땀

아이는 앓으면서 자란다. 아기는 알에서 깨어난다. ‘알’을 깨고 나오듯 둘레를 하나하나 보고 받아들이고 배운다고 하기에 ‘알다’라고 한다. 아이가 한창 자라는 길에 땀을 흘리면서 몸이 달아오르곤 하는데, 이때에는 “앓으면서 튼튼히 자라는 길”로 여긴다. 껑충 자라려고 ‘아기땀’을 흘리는 셈이다. 바야흐로 어질게 크려는 땀이니, ‘어진땀·어진불’처럼 가리킬 만하다.


어진땀(어질다 + ㄴ + 땀) : 어질게 자라는 길에 흘리는 땀. 아이가 얼이 차는 길에 몸이 달아오르면서 한동안 앓는 일. (= 어진불·아기땀·아기불. ← 지혜열智慧熱)

어질다 : 1. 얼이 깊고 짙다. 마음이 부드럽고 넉넉하면서 곱고 깊다. 둘레를 부드럽게 보고 살피면서 마음에 담을 줄 알다. 2. 깊고 짙은 얼로 다루거나 하다. 옳고 그름을 바르게 살피면서 부드럽고 넉넉하고 곱게 다루거나 다스리거나 할 줄 알다.



꽃고리

꽃으로 꾸미거나 꽃처럼 꾸린다. 치렁치렁 꾸미면서 가볍게 치레를 한다. 줄지어 피어나는 꽃처럼 꾸미니 곱다. 치렁치렁 늘어뜨리는 머리카락이 햇빛을 받아서 반짝이는, 치렁거리를 줄로 이으니 눈부시다.


꽃고리 (꽃 + 고리) : 1. 꽃을 넉넉하거나 푸짐하게 묶거나 엮은 곱고 눈부신 것. (= 꽃다발·꽃바구니·꽃보따리·꽃자루·치렁고리. ← 화환花環) 2. 꽃처럼 곱게 꾸민 글·종이·노리개 들을 줄로 이어서 길게 드리운 것. (= 치렁고리. ← 화환花環, 가랜드garland) 3. 짝을 맺는 두 사람이 서로 한마음과 한뜻으로 한길을 나아간다고 하는 뜻을 나타내고 나누려고 손가락에 끼우는 고리. 사랑을 담아서 둘이 하나인 마음을 나타내고 나누려고 손가락에 끼우는 고리. (= 꽃가락지·사랑고리·사랑가락지·치렁고리. ← 웨딩링, 결혼반지, 혼례반지, 혼인반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말꽃삶 38 글을 잘 쓰고 싶다면

― ‘문학’을 내려놓아야 한다



  글을 잘 쓰고 싶어하는 이웃님이 꽤 많습니다만, 제발 글을 잘 안 써도 되니 걱정하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 누구나 글을 써야 하지 않고, 더더구나 누구나 글을 잘 써야 하지 않은데, 먼저 말부터 즐겁게 할 노릇이거든요. ‘말’이란 ‘마음’을 담은 소리입니다. 우리는 서로 ‘마음소리’인 ‘말’을 두런두런 오순도순 나눌 줄 알면 됩니다. 마음을 말로 차근차근 차곡차곡 주고받을 적에 비로소 숨결을 틔우고 생각을 열어요.


  다만, 말도 굳이 잘 해야 하지 않습니다. 그저 마음을 찬찬히 펴면 됩니다. 내 마음을 너한테 펴고, 네 마음을 내 귀로 가만히 들으면 되어요. ‘나누다’하고 ‘주고받다’하고 ‘오가다’라는 낱말을 곱씹을 노릇인데, 이 세 낱말은 어느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밀어대는 길이 아닙니다. 이쪽에서 부드럽고 상냥하게 저쪽으로 띄우고, 저쪽도 이쪽으로 보드랍고 사근사근 건네는 길입니다.


 나누다 + 주고받다 + 오가다


  혼자만 떠들 적에는 재미없습니다. 한 사람만 말할 적에는 고단하고 괴롭고 지칩니다. 함께 이야기하기에 나란히 웃고 같이 걸어가는 길을 찾습니다. 서로 마음을 말로 나누기에, 여태 모르거나 놓치거나 지나치거나 잊은 마음을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종잇조각도 나누어 들면 한결 가볍다고 합니다. 가벼운 종이라서 더 가볍지 않아요. 작든 크든 ‘나누’려는 마음을 먼저 세우기에 함께 느긋하면서 즐겁다는 뜻입니다. 바늘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옛말도 매한가지예요. 도둑질을 자꾸 하니, 어느새 바늘뿐 아니라 소까지 대놓고 훔친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아주 조그마한 일부터 나누고 주고받고 오가는 마음을 북돋울 적에, 나중에는 어떤 큰일이건 홀가분하면서 넉넉하게 나누고 주고받고 오갈 수 있습니다.


 잘 쓰고 싶다는 마음 → 자랑하고 싶다는 글


  어느 누구도 굳이 글을 잘 써야 하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 대목을 좀 짚어야 합니다. 누가 글을 “잘 쓴다”고 여긴다면, 반드시 어느 누구는 글을 “못 쓴다”고 여기게 마련입니다. “못 쓴 글”이 있기에 “잘 쓴 글”이 있어요.


  “잘 쓴 글”이란 으레 “널리 보이고 싶은 글”입니다. “자랑하고 싶은 글”이지요. “못 쓴 글”이란 늘 “안 보이고 싶은 글”입니다. “감추거나 숨기고 싶은 창피한 글”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우리 손으로 우리 삶을 옮긴 말이나 글이 창피할 수 있을까요? 오늘 어떤 밥을 차려서 먹고서 어떻게 설거지를 했다고 담는 수수한 글이 창피하거나 감출 이야기일까요? 늦잠 탓에 하루를 그르쳤다는 이야기가 부끄럽거나 못난 이야기일까요? 아닙니다. 길에서 돌에 걸려 자빠졌든, 누구한테 크게 속아서 돈을 잃든, 누가 나를 때리거나 괴롭혀서 아프고 슬프든, 이웃을 도우면서 온마음에 환하게 별빛이 쏟아졌든, 그냥그냥 아무 일을 안 하고 하루를 보냈다고 느끼든, 또 뭔가 어지르거나 엎어지면서 고달팠든, 이 모든 다 다른 삶을 우리 눈으로 보고 우리 손으로 옮기면 넉넉합니다.


 못 쓴 글이라는 마음 → 나와 남을 빗댄 굴레


  못 쓴 글하고 잘 쓴 글은 따로 없습니다. 그런데 “못 쓴 글”을 굳이 꼽아 본다면, “나와 남을 자꾸 빗대느라, 스스로 제살을 갉고 깎는 굴레”라고 볼 수는 있습니다. 나는 내 삶을 쓸 뿐이기에, 훌륭하거나 아름답거나 대단하거나 뛰어난 남하고 나를 빗대거나 견주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저 사람처럼 훌륭하거나 놀라워야 “글을 잘 쓰”지 않습니다.


  더욱이 어떤 보람(문학상)을 받았기에 “잘 쓴 글”이지 않습니다. 어떤 보람을 받은 글은 “보람을 받은 글”일 뿐입니다. 띄어쓰기나 맞춤길이 틀린 글이라면 “띄어쓰기나 맞춤길이 틀린 글”일 뿐입니다. 그러나 띄어쓰기나 맞춤길은 반듯하되, 아무런 줄거리나 이야기가 없다면 ‘시늉글’이에요. ‘겉글·겉멋글’이라 여길 만합니다.


  우리는 띄어쓰기를 꼼꼼히 맞출 수 있으나, 말을 하면서 “또박또박 띄어쓰기를 하며 말하지는 않”습니다. 말을 하다가 더듬을 수 있고, 소리가 샐 수 있습니다. 어물어물 중얼중얼 갈팡질팡 헤매면서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더듬더듬 어물어물 말을 하더라도 “내가 들려주고 싶은 마음을 말로 옮기”면 반갑고 사랑스럽고 고맙습니다. 물처럼 줄줄줄 흐르는 말씨이되, 도무지 알맹이도 줄거리도 없이 혼자 떠들기만 한다면, 이런 말에는 아무 마음이 안 흐른다고 여깁니다.


 번듯하게 차려입은 옷 = 번듯하게 꾸민 글


  번듯하게 옷을 차려입기에 멋스러운 사람이지 않습니다. 그저 “차려입은 옷”이고, “몸을 꾸민 옷”입니다. 번듯하게 꾸민 글은 그냥 “차려쓴 글”이고, “겉을 꾸민 글”입니다. 까맣고 커다란 쇳덩이(자동차)를 굴리기에, 이런 쇳덩이를 굴리는 사람이 높거나 대단하지 않습니다. 두다리로 걷는 사람이기에 모자라거나 못나지 않습니다.


  오늘날 숱한 글은 “번듯하게 차려입은 옷”이거나 “까맣고 커다란 쇳덩이”하고 닮더군요. 차분히 짚으면서 생각을 북돋아 보기를 바라요. 보기좋은 글씨로 적기에 “잘 쓴 글”이지 않겠지요? 보기좋게 차려입기에 “착한 사람”이지 않겠지요? 돈이 많거나 이름을 드날리거나 힘이 세기에 “훌륭한 사람”일 수는 없겠지요?


  글쓰기와 말하기도 이와 같습니다. 나라지기(대통령)가 말을 했기에 훌륭하지 않습니다. 어떤 보람(문학상)을 받은 분이 썼기에 대단한 글이지 않습니다. 우리는 말을 하거나 글을 읽을 적에 ‘마음’만 바라볼 노릇입니다. ‘자리(신분·계급·지위)’는 아예 안 쳐다보아야 비로소 마음과 말과 글을 읽어내게 마련입니다. 오직 ‘마음’만 헤아려야 줄거리를 알아차리고 이야기를 알아듣습니다.


 글을 잘 쓰고 싶다면 → 문학 내려놓기 + 살림짓는 사랑으로


  글을 잘 쓰고 싶다면, 길은 늘 오로지 하나입니다. 먼저 ‘문학’을 내려놓을 노릇입니다. ‘시·소설·수필·희곡’이라는 무늬(형식)는 다 내려놓아야 합니다. 이러고서 우리가 스스로 짓는 살림을 사랑으로 돌보는 눈길과 손길과 발길과 마음길과 숨길과 하루길을 살필 노릇입니다.


  글을 쓰고 보니 ‘시’가 될 수 있고 ‘소설’이 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틀에 짜거나 맞추려고 한다면, 이때에는 ‘글’이 아니라 ‘글시늉·글흉내·글척’입니다. 글이란, 말을 옮긴 그림입니다. 말로 나누려고 하는 마음소리를 눈으로도 보고 느끼고 살펴서 아로새기려고 종이에 그리는 ‘글’입니다.


  글부터 쓰려고 하지 말아요. 말부터 할 일이고, 마음을 말로 나타내고서 귀담아들을 일입니다. 마음부터 서로 나누면서 말을 하나하나 곱새기고 곱씹은 다음에, 느긋이 글로 옮기고 담고 얹으면 즐겁습니다.


 입으로 말을 하면서 글을 쓰기


  글쓰기가 익숙하지 않을 적에는 말을 하면서 쓰면 됩니다. 입으로 소리를 내면서 글을 쓰기로 해요. 한집안을 이룬 짝꿍이나 아이나 어른한테 들려주듯, 반가운 동무나 이웃하고 이야기하듯, 입으로 말소리를 내면서, 이 말소리를 그대로 글로 옮겨 봐요. ‘문학’을 하려고 나서면 문학도 아니고 글도 아니기 일쑤입니다. 그저 글·말·마음이라는 세고리를 살피면서 삶·살림·사랑이라는 또다른 세고리를 나란히 헤아리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1.17. 미워하는 마음 없이



  총에 맞아 고꾸라진 우두머리 박씨 곁에 앉아서 술자리를 모셨다는 어느 분이 부른 노래로 “백만 송이 장미”가 있다. 이 노래를 즐기는 분이 많은데 막상 노랫말처럼 “미워하는 마음 없이” 이웃을 마주하는 분은 대단히 드물다.


  워낙 드물거나 힘들기에 아예 노래로 부르는구나 싶은데, 노래로 부르지만 우리는 서로 미워하고 물어뜯기에 바쁘다. 미워하는 마음 가득히 할퀴고 빼앗고 담을 치고 끼리끼리 노는 나라이다.


  사랑은 오직 사랑이다. 지난날에는 옳고그름을 가르는 글은 드물었다. 왜냐하면 옳고그름은 “우두머리 틀(논리)”이다. 우두머리는 그들만 옳다고 여기면서 사람들을 길들인다. 그런데 우두머리를 끌어내리는 사람들도 우두머리하고 똑같은 틀을 쓰기 일쑤이다. 프랑스에서 목아지치기는 끝없는 목아지치기로 이었다. 이른바 ‘단두대’를 왜 그만두었을까? 미움질로는 손가락질로도 성에 안 차서 물어뜯고 죽여야 하는데, 죽여놓고도 주검을 찢는데, 이러고도 성에 안 차게 마련이다.


  예부터 우리는 얼뜨기한테도 국밥 한 그릇을 베풀었다. 이제 붙잡힌 그들한테 날마다 소맥 한 모금만 쉰 해 동안 베풀어서 그곳(감옥)에서 조용히 잊힌 채 살도록 하면 된다. 사랑을 따스히 베풀어 주자. 미워하는 마음 없이 아낌없이 쉰 해 동안 날마다 한 모금씩만 베풀어 주자. 그리고 그들한테 호미와 낫과 텃밭 10평을 나눠주자. 곁밥(안주)은 손수 심고 가꾸어서 먹으라고 베풀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중앙권력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을 교체해야 → 서울힘과 시골힘을 바꿔야

 중앙권력으로부터의 침탈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 나라힘으로 가로채는 짓을 막고자

 중앙권력을 폐지하여 모두가 연결된 세상 → 벼슬힘을 걷어내어 모두 어울리는 누리


중앙권력 : x

중앙(中央) : 1. 사방의 중심이 되는 한가운데 2. 양쪽 끝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지점 3. 중심이 되는 중요한 곳 4. 지방에 상대하여 수도를 이르는 말

권력(權力) : 남을 복종시키거나 지배할 수 있는 공인된 권리와 힘. 특히 국가나 정부가 국민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강제력을 이른다



  나라에서 크게 휘두르는 힘이란, 사람들을 하나하나 헤아리거나 아끼는 길하고 멉니다. ‘나라·나라힘’은 으레 굴레나 수렁으로 치닫습니다. 이른바 ‘벼슬·벼슬힘’일 텐데, ‘감투·감투힘’에는 아무 살림이 없고, 어떤 사랑도 없습니다. 그래서 ‘나리·놈·놈팡이’는 스스로 갉으면서 이웃을 깎으려고 하더군요. 어울리는 우리로서 빛나는 삶이 아니라면, 딱딱하게 갇힌 ‘모둠길·모둠틀·무리’입니다. 그저 ‘손아귀·손힘’만 휘두르려고 들 테지요. ‘힘·힘꾼’이 아니라, 살림꾼과 사랑이로서 만날 노릇입니다. 바야흐로 ‘서울·서울나라·서울힘’을 걷어낼 때입니다. ㅅㄴㄹ



인적·경제적 자원과 중앙권력을 계속 연결하는 일에도 달린 문제였다

→ 사람·살림과 나라힘을 이을 적에도 얽히는 일이다

→ 몸값·돈살림과 나라를 이어갈 적에도 얽힌다

《세계제국사》(제인 버뱅크·프레더릭 쿠퍼/이재만 옮김, 책과함께, 2016) 4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즐문토기



 즐문토기가 대량으로 출토되었다 → 빗살흙그릇이 잔뜩 나왔따

 즐문토기가 최초로 발견된 지역 → 빗살그릇이처음 나온 곳


즐문토기(櫛文土器) : [역사] 표면에 빗살 같은 줄이 새겨지거나 그어져 있는 신석기 시대의 토기. 붉은 찰흙을 이용하여 표면에 빗살 같은 평행선이나 물결 모양을 이룬 점선 따위의 기하학적 무늬를 넣어 얄팍하게 만들었다. 핀란드, 러시아, 몽골, 한국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 빗살무늬토기



  빗살로 무늬를 넣는다면 ‘빗살그릇’입니다. 빗살무늬를 넣은 흙그릇이라면 ‘빗살흙그릇’이지요. ‘빗살무늬흙그릇’처럼 길게 말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무문토기(無文土器)’라면 ‘민무늬흙그릇’이라 할 만하고, ‘융기문토기(隆起文土器)’라 하면 ‘덧무늬흙그릇’이라 할 만하지요. ‘압문토기(壓文土器)’일 적에는 ‘누른무늬흙그릇’이라 하면 되어요. ㅅㄴㄹ



여러가지 계통과 다양한 요소가 홉합 가미(加味)되어 있으나, 그 기본을 이루는 특징은 즐문토기(櫛文土器)로 파악된다

→ 여러 가지가 섞였으나 바탕은 빗살그릇이라고 본다

→ 여러 가지를 담았는데 밑동은 빗살흙그릇이다

《韓民族의 國難克服史》(이선근, 휘문출판사, 1978) 24쪽


아아, 이건 마치 즐문토기(櫛文土器,빗살무늬 토기)와 비슷하군, 하고 그는 건물 가까이 다가가 생각했다

→ 그는 ‘아아 마치 빗살무늬흙그릇과 비슷하군’ 하고 여기며 집 가까이 다가간다

《문명의 산책자》(이케자와 나쓰키/노재영 옮김, 산책자, 2009) 25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