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3.25. 악플이란 없다



  우리는 으레 ‘악플’이란 이름을 붙이지만, 정작 ‘악플’은 없다. “배우려 하지 않기에 귀를 닫고 눈을 감고 등을 돌리고 마음을 막은 사람들이 보여주는 미움불씨”를 볼 뿐이다.


  적잖은 사람들은 ‘악플’이라는 이름인 ‘미움불씨’를 심는다. 배우려 하지 않기 때문에 쓴소리를 하나도 안 들을 뿐 아니라, 싫은소리가 오히려 피와 살이 되는 이바지말인 줄 몰라보니까.


  우리가 어떤 소리가 ‘싫다’고 느낄 적에는, 우리 스스로 마음을 사랑으로 다스리지 못 하거나 않는다는 뜻이다. 싫은 소리란 없고, 좋은 소리도 없다. 다시 말해서, 누가 나나 너를 추킨다(칭찬)고 해서 즐거울 일이란 없다. 스스로 꿈으로 그린 길을 걸어갈 적에 즐겁다. 남이 나나 너를 추키더라도 하나도 안 즐겁다. 그래서 남이 나나 너를 깎아내리거나 할퀴거나 갉더라도 아랑곳할 까닭이 없다. 그저 그분들은 스스로 안 배우려고 하는 나머지, “그분들뿐 아니라 우리까지 안 배우면서 같이 구렁텅이에 박혀서 쌈박질을 벌이기”를 바란다. 그래서 ‘악플’이라는 이름인 미움불씨를 훅훅 날리고 심고 뿌린다.


  가만히 보자. 그야말로 어디에도 ‘악플’은 없다. 이 글자락(악플)을 읽거나 스치는 사람이 확 타오르면서 이글이글 ‘다른 미움불길’을 일으키려는 장작이 있을 뿐이다. 때린이(가해자)는 맞은이(피해자)가 때린이하고 똑같이 주먹을 휘두르기를 바란다. 그래서 둘레 여러 사람들이 “아니, 누가 때린놈이고 누가 맞은놈이야? 둘 다 진흙수렁 싸움판이잖아?” 하고 느끼기를 바란다.


  미움불씨일 뿐인 악플을 심으려는 누가 있다면, 즐겁게 지나가면 된다. 우리는 우리 하루를 꿈으로 그려서 생각씨앗을 심을 뿐이다. 예부터 미운아이한테 떡 하나 더 준다고 했듯이, 미움불씨를 심는 이들한테 빙그레 웃음을 짓고서 지나가면 된다. 우리가 그분들한테 할 만한 말이란 오직 하나이니, “즐겁게 배우셔요. 언제나 즐겁게 하루를 그리셔요.”이다.


  수저를 안 쥐려고 하는 사람한테 억지로 수저를 쥐여 준들, 이분들은 밥을 맛나게 못 즐긴다. 스스로 수저를 쥐고서 느긋이 먹으려고 해야 비로소 맛을 느끼고 밥차림에 깃든 손길을 느끼면서, 밥살림이란 늘 사랑이라는 대목을 어렴풋이 헤아린다. 그러니 미움불씨가 둘레에서 이래저래 퍼지면 가만히 마음을 다독이면서 우리 꿈그림을 다시 생각할 노릇이다. 이다음에 새삼스레 방긋방긋 웃으면서 노래하고 춤을 추면 된다.


  일본말씨로 “무지의 소치”란, 우리말씨로 “어리석은 짓”이다. 또는 “얼뜬 짓”이나 “모르는 짓”이다. 배우려 하지 않으니 모를 수밖에 없고, 모르니 어리석고, 어리석으니 얼뜬다. 얼뜬 짓을 하는 사람더러 “넌 왜 얼뜬 짓을 하니?” 하고 물은들 또다시 미움불씨를 마구마구 뱉을 뿐이다.


  우리는 ‘사람’이라서 악플에 불끈하거나 발끈하기 쉽다고 말씀하는 분이 제법 있다만, 우리는 ‘사람’이기에 어떤 악플이나 미움불씨도 ‘사랑’으로 풀고 녹이고 달래면서, 우리 스스로 그저 스스럼없이 꿈길을 걸어갈 만하다. 굳이 안 달려도 된다. 거닐면 된다. 바람을 읽고 하늘을 마시고 들꽃과 동무하면서 찬찬히 걷는 동안 모든 수수께끼를 풀 수 있고, 언제나 활활 날개를 펴면서 홀가분히 노래할 수 있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이다음으로 2025.3.14.쇠.



꽃으로 피지 않고서 맺는 열매란 없어. 씨앗을 품지 않는 열매도 없어. 꽃과 잎이 살찌우고, 가지와 줄기가 북돋우고, 뿌리가 받치면서 곱게 영그는 열매야. 꽃은 스스럼없이 피어나고서 기꺼이 져. 씨앗은 열매 한켠에 알맞게 자리를 잡지. 이다음으로 땅에 드리워서 자라려면, 땅한테도 고맙다고 여쭈려고 달며 푸진 물빛(속살)을 품는 씨앗이야. 땅은 나무와 풀을 반기면서 언제나 까무잡잡 구수하게 살림터를 이뤄. 나무와 풀은 즐겁게 땅에 깃들면서 푸릇푸릇 싱그럽게 살림빛을 맺어. 사람은 속으로 무슨 씨를 품을까? 사람은 이다음으로 무엇을 할 셈일까? ‘씨앗’이란, 아기를 낳는 몸빛만 가리키지 않아. 씨앗이란, 손으로 일구는 솜씨에, 마음으로 담는 마음씨가 늘 어울린단다. 오늘을 살면서 이다음으로 내딛을 길을 헤아리렴. 오늘을 마무리하는 밤에 스스로 “고마워.” 하고 속삭이며 눈을 감으렴. 오늘을 여는 새벽에 스스로 “반가워.” 하고 속살이며 눈을 뜨렴. 이다음으로 할 일이 잔뜩 있지? 아무리 많구나 싶은 일이어도 한꺼번에 못 해치워. 다 하나하나 하지. 아무리 실컷 먹더라도 하나하나 집어서 따로따로 먹는단다. 그러니까 오늘 하루 할 만큼 즐겁게 하고서 닫으렴. 폭 닫고서 푹 쉬고, 활짝 열고서 환하게 하렴. 미처 매듭을 못 지었으니 이제부터 매듭을 지어. 아직 덜익었으니 이제부터 찬찬히 익어. 오늘은 어제와 모레를 이으면서, 이다음을 기쁘게 맞이하려는 길목이야. 길목 한복판에서 온곳을 둘러봐.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0조각의 비가 민음의 시 254
이선영 지음 / 민음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3.25.

노래책시렁 488


《60조각의 비가》

 이선영

 민음사

 2019.2.28.



  어느 낱말을 골라서 말을 할 적에는, 어느 낱말에 흐르는 삶을 우리 마음으로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낱말만으로는 마음을 나타내지 못 합니다. 낱말을 엮어서 이야기를 이루어야 비로소 마음을 나타냅니다. 바느질이나 뜨개질처럼 낱말을 차근차근 엮고 맺기에 비로소 말을 나눌 수 있습니다. ‘낱말엮기’를 ‘말길(문법)’이라고 합니다. 말길을 차근차근 짚을 줄 알아야 말을 말답게 할 뿐 아니라, 서로서로 마음을 고스란히 나눕니다. 《60조각의 비가》는 아무래도 ‘悲歌’를 예순 조각 나누어서 풀어낸다는 뜻일 테지요. 그런데 한글로 ‘비가’라 적으면 “하늘에서 내리는 비가” 어떻다는 소리인지 갸우뚱하게 마련입니다. 그렇다고 한자로 ‘悲歌’처럼 적으면, 글담(문자권력)을 쥔 몇몇만 알아봅니다. 마음을 풀어내려는 글이라면 ‘눈물노래’나 ‘눈물글’처럼 쓸 수 있습니다. ‘울음노래’나 ‘울음글’이라 할 수 있어요. 또는 ‘비노래’나 ‘빗물노래’로도 얼마든지 눈물과 울음뿐 아니라, 눈물과 울음을 씻는 마음까지 아우를 만합니다. ‘문학’이라는 틀에 가두기에 오히려 ‘문학’하고 멉니다. ‘글’과 ‘노래’에 얹을 ‘말’과 ‘마음’을 바라보고 다가서야 비로소 ‘글꽃’이 피어날 수 있습니다.


ㅍㄹㄴ


가을 하늘에 비누 거품처럼 물씬 피어오른 구름 / 그 속에 빠져 거품 휘저으며 발장구 치고 싶은 구름 / 그 위를 가볍게 올라타 입바람을 불어 대며 놀리고 싶은 구름 / 단풍구름 홍초구름 억새구름 (구름 비가/26쪽)


나는 내 시의 팔레트에 / 내 삶을 덩어리째 던져 넣지만 / 그들은 그들 시의 피사체에 / 이미지만을 던져 넣는다 (이미지들, 내 입으론 안 붙어지는/38쪽)


+


《60조각의 비가》(이선영, 민음사, 2019)


나의 탄생보다 먼저 드높고 눈부신 역사를 축조하며

→ 태어나는 나보다 먼저 드높고 눈부신 길을 쌓으며

→ 내가 나기 앞서 드높고 눈부신 발걸음을 올리며

32


터지고 깨져도 저라는 게 있다는 것이다

→ 터지고 깨져도 제가 있단다

34


내가 길의 왼편을 걸어갈 때 나비는 길의 오른편으로 날아오고 있었다

→ 내가 왼길로 걸어갈 때 나비는 오른길로 날아온다

→ 내가 왼켠으로 걸어갈 때 나비는 오른켠으로 날아온다

96


직립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일이던가

→ 곧추서기란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 곧서기란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 바로서기란 얼마나 놀라운가

120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담 프티 4
다카오 시게루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25.

만화책시렁 736


《마담 프티 4》

 타카오 시게루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7.5.15.



  오늘날 우리 터전을 보면, 마을과 집과 배움터 모두 말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틀하고 한참 멀어요. 그냥그냥 익숙한 대로 말을 하려고 하면 오히려 서로 마음을 나누는 길하고 멀고 맙니다. 한자말이나 영어를 잘 모르기에 마음을 못 나누지 않습니다. 마음을 그리는 말인 줄 몰라볼 뿐 아니라, 말에 마음을 담기보다는 뜻만 앞세우느라 서로 담벼락이 높습니다. 《마담 프티 4》을 읽는데 한참 쳇바퀴입니다. 돈과 이름과 힘이 있으면서 얼굴과 몸매도 이쁘장한 사람들을 잔뜩 그리고픈 붓끝이 나쁠 일은 없다지만, 쳇바퀴를 도는 붓끝에는 아무 살림빛이 없게 마련입니다. 번드르르한 옷차림이 삶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드날리는 이름이 삶을 높이지 않습니다. 넉넉한 주머니로 삶을 누리지 않습니다. 꿈이 없는 채 앙갚음을 해본들 다른 앙갚음을 일으키는 불씨일 뿐입니다. 꿈을 그리는 사람이라면 앙갚음이 아닌 꿈짓기를 합니다. 글쓰기를 놓고 본다면, 몇몇 일본말씨나 일본한자말을 안 써야 한다고 여기는 분이 많되, 정작 ‘몇몇 말씨’를 뺀 ‘모든 말씨’는 아예 안 들여다보기 일쑤입니다. 보려면 다 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다듬으려면 모두 다듬어야지요. 다만 하루아침에 다 다듬지 못 할 뿐이니 차근차근 스무 해나 마흔 해에 걸쳐서 다듬으면 됩니다.


ㅍㄹㄴ


‘혹시, 나, 이용해 먹기가 쉬운가?’ (36쪽)


“넌 좋은 아이야. 착하고 솔직하고 똑똑하고, 정말 사랑받았구나. 강아지처럼.” (71쪽)


‘그렇게 생각했던 사람에게도 그런 사연이 있었다니.’ (127쪽)


+


《마담 프티 4》(타카오 시게루/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7)


천재일우의 기회였는데

→ 다시없는 때였는데

→ 대단한 틈이었는데

→ 엄청난 길이었는데

28쪽


조련이야. 그건. 그만 잊어

→ 길들이기야. 그만 잊어

→ 다스리기야. 그만 잊어

71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3.8.


《20세기형 인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 열어라》

 손석춘·강만길 이야기, 알마, 2012.10.10.



아침부터 구름이 짙다. 하룻내 하얀날이다. 이슬비가 듣는 동 마는 동 하다. 우리 집에서는 첫쨋달부터 멧개구리가 깼고, 요즈막에도 군데군데에서 개구리 울음소리를 듣는다. 셋쨋달이고, 봄비도 내렸고 흙이 녹으면서 푸릇푸릇 봄풀이 돋고, 벌과 파리도 한둘씩 나타난다. 개구리가 깨어날 만하다. 《20세기형 인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 열어라》는 책이름이 길지만 두께는 얇다. 손석춘·강만길 두 분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여겨서 가만히 읽다가 놀랐다. 북녘을 드나들며 ‘고은’이 술에 절어 시를 읊은 이야기까지 나오는데, 참 추레하다. 북녘에서까지 혀가 고부라져서 말도 제대로 못 했다는 고은이라니, 왜 이런 고은을 제대로 못 나무랐는가? 그러나 고은 하나뿐일까. 글쓴님은 노무현·김대중은 나무라지 못 하고 “딱하다”고만 말하면서 이명박·박근혜만 나무란다. 그런데 넷 다 나무라야 하지 않을까? 네 사람이 어느 대목에서 아쉽거나 안타까웠는지 똑바로 짚을 때에 비로소 아이들한테 앞날을 밝히고 물려줄 수 있다. ‘그들’만 탓해서는 새길을 못 연다. 남한테만 비출 거울이 아닌, 우리 민낯부터 들여다볼 거울이어야지 싶다. 술은 집에서 조용히 혼자 드시고, 몸소 책숲마실을 다니면서 마을을 느끼고 읽어야 할 텐데.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