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어디서나 한 걸음 (2022.8.22.)

― 부천 〈이지헌북스〉



  쉬멍쉬멍 움직입니다. 이른새벽에 서울로 길을 나섰고, 서울일을 마친 뒤에 전철에서 책을 읽고 노래를 쓰고 꾸벅꾸벅 졸기도 하다가 부천에 닿습니다. 오늘 저녁에 부천 원미동 〈용서점〉에서 수다꽃을 펴기 앞서 부천 중동 〈이지헌북스〉를 들릅니다.


  책집마실을 하기에 책을 살피고 읽고 장만하는데, 곧잘 모퉁이 쪽걸상에 앉아서 책꽂이에 기댑니다. 밖에서 새벽부터 밤까지 쉬잖고 움직여야 할 적에는 살짝 눈을 붙일 짬을 냅니다. 무릎에 책을 얹고서 머리와 어깨를 책꽂이에 기대고서 가만히 있노라면 어느새 기운이 차오릅니다. 이 새빛으로 다시 일어섭니다.


  아름다이 오가는 발걸음이 하나둘 모여 마을 한켠에 조그맣게 싹트는 곳이 마을책집이로구나 싶습니다. 더 많거나 좋거나 훌륭한 책이 모여야 하지 않습니다. 함께 읽고 같이 생각하고 나란히 뜻을 모으는 책이면 넉넉합니다. 우리가 손수 쓴 책으로 이야기를 펴고 생각을 지피면 그야말로 눈부십니다.


  책을 잘 읽어내야 하지 않습니다. 살림하는 손길로 책을 쥐면 넉넉합니다. 글을 잘 써내야 하지 않습니다. 사랑하는 손끝으로 글을 쓰면 아름답습니다. 잘 하든 못 하든 신나게 맡기고 지켜보면 돼요. 좋으냐 나쁘냐 안 가를 노릇입니다. 다만 “믿으면서 맡기”지는 말아야지요. “사랑으로 맡길” 뿐입니다. 가르치기(훈수)만 하지 말고, 함께 길을 가는 걸음새로 마주하면 됩니다.


  우리가 읽는 모든 책은 우리를 꾸짖거나 나무라지 않아요. 그저 ‘줄거리’에 ‘이야기’를 녹여서 들려줍니다. 우리가 스스로 줄줄이 읽으려 할 적에 비로소 스스로 배우는 살림그릇인 책입니다. 책은 어떤 길도 안 알려주고 안 짚습니다. 오직 우리 스스로 생각하고 살피고 짚으면서 길을 내라고 속삭입니다.


  아주 조그마한 책 하나요, 이 조그만 책을 쥐는 자그마한 사람입니다. 작은이는 작은책을 쥔 작은손으로 작은길을 그립니다. 작은꿈은 작은씨와 같기에, 우리 마음자리에 작은노래로 스밉니다.


  온누리는 작은누리입니다. 우리별은 작은별입니다. 온나라는 작은나라입니다. 작은뜻과 작은꿈이 만나서 작은밭이 푸릇합니다. 저마다 작게작게 씻어요. 누구나 작게작게 자라요. 풀씨도 나무씨도 얼마나 작은가요. 사람씨도 참 작습니다.


  어디서나 한 걸음을 딛습니다. 풀싹이 가볍게 돋고, 풀개구리가 가볍게 뛰고, 풀벌레가 가볍게 웁니다. 나무씨가 여러해에 걸쳐 천천히 줄기를 올리면서 어느새 듬직하게 섭니다. 책꽃씨 한 톨을 책집에서 나누어 받았으니 새길을 또 나섭니다.


ㅍㄹㄴ


《여성해방론》(마르크스·엥겔스·레닌·스탈린/조금안 옮김, 동녘, 1988.10.20.)

《민중연극론》(아우구스또 보알/민혜숙 옮김, 창작과비평사, 1985.2.10.)

- 폐기분 2020년 추가분 ⑥

- 부천시립도서관

《예술가와 역사의식》(최종태, 지식산업사, 1986.8.20.)

- 폐기분 2020년 추가분 ⑥

- 부천시립도서관

《재미있는 음악 이야기》(야마시타 타츠로오/이정훈 옮김, 진화당, 1992.9.30.)

《世界의 音樂家七十人》(최영환, 신문화사, 1974.10.15.)

- 보급특가 700원 새글씨

《빠빠라기》(에리히 쇼이어만/두행숙 옮김, 두풍, 1981.10.31.첫/1990.8.10.고침판)

- 90.8.10. 〈글방〉

《85 직장체육 우수 사례집》(편집부, 한국사회체육진흥회, 1985.12.29.)

- “우리는 지금 4천만 국민 모두가 그동안 새마을운동을 통해 이룩하 국가발전을 바탕으로 2천년대를 향해 새로운 기대와 희망을 안고 전진의 속도를 가숙화하고 있읍니다. 또 인류 평화의 상징이자 대제전인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준비에 정부와 국민이 하나가 되어 만전을 기하고 있읍니다.”(발간사)

《어느 인생 이야기》(부산 가르멜 여자 수도원 옮김, 분도출판사, 1990.10.25.첫/1992.3.1.2벌)

《中國美術史》(마이클 설리반/김경자·김기수 옮김, 지식산업사, 1978.6.첫/1989.3.15.4벌)

《中國의 運命, 蔣介石과 毛澤東》(蔣介石·董顯光/이동식·우재윤 옮김, 양서각, 1967.12.10.)

《생각하는 어린이들 1》(송명호, 글수레, 1987.)

- 한국아동문학회 추천

《아이가 TV와 친하면 커서도 어머니와 멀어진다》(이와사 교오꼬/홍결실 옮김, 청맥, 1994.3.20.)

《金閣寺 外》(미시마 유키오·이시사카 요오지로/편집부 옮김, 주부생활사, 1976.2.1.)

- 《주부생활》 2월호 별책부록

《語文硏究 29》(남광우 엮음, 일조각, 1981.5.25.)

- 새까맣게 한자투성이 철책(계간지)

- “特輯, 國語醇化運動의 虛와 實”

《語文硏究 34》(남광우 엮음, 일조각, 1982.6.30.)

《1800字 千字文·明心寶鑑》(思草人 엮음, 혜원출판사, 1982.4.20.)

- 교보문고 스티커

《한국 선사 문화의 연구》(이융조, 평민사, 1980.3.1.)

《사랑하는 나의 大學》(김동선, 태멘, 1981.10.15.첫/1981.11.20.2벌)

《레이더스》(캠벨블랙/박미옥 옮김, 태멘, 1982.3.5.)

- Raiders

《그대는 별로 뜨고》(김소엽, 문학세계사, 1987.6.10.첫/1987.8.1.4벌)

《공처일기》(하나글, 영락문화출판사, 1989.1.25.)

《하마의 라디오》(토오야마 시게토시/손정원 옮김, 한솔수북, 2008.8.20.)

《엄마는 요술쟁이 제2부 4》(문계주, 서울문화사, 1998.3.28.)

《캔디 캔디》(이가라시 유미꼬/김두순 옮김, 일신사, 1979.9.15.)

《獨逸國民한테 告함》(피히테/황문수 옮김, 범우사, 1978.12.20.)

- ‘동남도서판매주식회사’ 한서부. 서울 중구 충무로1가 25-9

- 外煥銀行忠武路支店

《나팔수》(이덕자, 동아일보사, 1979.6.1.첫/1979.10.8.4벌)

- 소명여자종합고등학교도서관

《增補 師任堂의 生涯와 藝術》(이은상, 성문각, 1962.9.1.첫/1966.8.1.증보/1970.8.8.증보3벌)

- ‘보물 제 165호 오죽헌 기념’ 강릉

《歷史란 무엇인가》(E.H.카아/길현모 옮김, 탐구당, 1966./2004.2.25.)

- 4000원

- 책자취(간기) 갈이

《三星文化文庫 88 우리 歷史를 어떻게 볼 것인가》(이기백 외, 삼성미술문화재단, 1976.5.20.첫/1980.1.5.중판)

- 500원 / 800원

- 1983.4.6. 교보

- 淑大 金惠景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3-07 1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을 보니 22년에 부천 이지헌북스에 다녀오셨네요.아무래도 지방에 계시다보니 이제는 예전보다는 헌책방 나들이가 좀 어려우신 것 같아요^^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책은 어디 있는가 (2022.6.18.)

― 순천 〈책마실〉



  나부터 품고 싶은 책이지만 알아볼 사람이 드물는지 모르겠다고 느낄 적에는, 누가 이 책을 알아보고서 손길을 내밀면 그지없이 반갑게 마련입니다. 책으로 태어났다고 할 적에는 이미 알아볼 사람이 있다는 뜻이요, 알아볼 이웃을 즐겁게 기다리면서 설렌다는 마음이지 싶습니다.


  요즈음은 마을가게에까지 포도술이 잔뜩 들어섭니다. 숱한 포도술은 값도 맛도 빛깔도 다릅니다. 나고자란 포도밭도 다를 테지요. 날마다 숱하게 태어나는 책도 다 다른 삶터에서 하루를 일구는 사람이 다 다른 눈빛과 손길로 여밉니다. 그런데 갈수록 “다 다른 삶을 들려주는 이야기”보다는 “어쩐지 비슷비슷하게 맞추는 줄거리”에 갇히는 듯싶습니다.


  스스로 되읽을 글을 쓰는지 되새길 일입니다. 아이한테 물려줄 아름빛을 담은 책을 곁에 두는지 곱씹을 노릇입니다. 멋과 맛에 휩쓸리는 책쓰기나 책읽기이지 않은가 하고 돌아보아야지 싶습니다.


  순천으로 가볍게 숨돌리러 마실하면서 〈책마실〉에 들릅니다. 작은 듯하지만 작지 않은 책터를 이어받아서 꾸리는구나 싶은데, 가까이에서도 멀리에서도 살며시 ‘책마실’을 누릴 만한 곳이라고 느낍니다. 제가 순천사람이라면 적어도 이레마다 책마실을 하리라 생각합니다.


  우리 집 곁님은 커피콩을 여러모로 다룹니다. 절구에 빻아서 내리기도 하고, 뚝배기에 여린불로 오래 끓여내기도 합니다. 그냥 손으로 갈아서 뜨거운 물을 붓고서 누리기도 합니다. 이 길과 저 살림을 지켜보노라면 다 다르게 거치는 손끝을 따라서 다 다른 내음과 빛이 흐릅니다. 무엇보다도 손으로 커피콩을 다루면 온집안이 조용하고 아늑해요. 찻집에서는 큰틀로 큰소리를 내며 갈기에 시끄럽습니다.


  큰책집에 수북하게 쌓은 책은 ‘찻집 큰틀 큰소리 커피갈기’와 같다고 느껴요. 아무래도 더 많은 사람들은 찻집마실을 하겠지요. 집에서 호젓이 손수 갈거나 내리는 사람은 적겠지요.


  연향도서관 곁에 있는 은행나무길을 따라서 오가는 마을책집을 헤아려 봅니다. 우리가 두다리로 뚜벅뚜벅 책숲마실을 다닌다면, 누구보다 우리 스스로 빛나고 거듭납니다. 우리 마을이 새롭게 반짝입니다. 낯설거나 처음 마주하는 책을 새삼스레 들추면서 스스로 피어나는 책꽃이게 마련입니다.


  여름에 여름골목을 같이 거닐 이웃님을 그립니다. 겨울에 겨울골목을 함께 거닐며 찬바람을 웃으며 맞이할 이웃님을 그립니다. 다 다르며 새로운 손끝을 그립니다.


ㅍㄹㄴ


《수피의 가르침》(이드레스 샤흐/박상준 옮김, 고려원, 1988.9.23.)

《김홍신의 인간手帖》(김홍신, 수레, 1986.9.10.)

《길에 관한 명상》(최인훈, 청하, 1989.3.25.)

《尹心悳 현해탄에 핀 석죽화》(유민영, 안암문화사, 1984.1.5.)

《달개비의 몸짓》(흙빛문학 동인회, 현대기획, 1985.10.26.)

《헤세문고 2 크늘프》(헤르만 헤세/홍석연 옮김, 문지사, 1987.4.30.)

《金潤成 詩選》(김윤성, 탐구당, 1982.7.1.)

《소서노召西奴》(안명옥, 문학의전당, 2005.12.20.첫/2006.4.20.3벌)

《하늘님, 나라를 처음 세우시고》(최래옥, 고려원, 1989.11.25.첫/1989.12.20.2벌)

《붓다의 호흡과 명상》(정태혁 엮어 옮김, 정신세계사, 1991.1.24.)

《印度佛敎思想史》(에드워드 콘즈/안성두·주민황 옮김, 민족사, 1988.12.30.첫/1990.1.25.2벌)

《내가 사랑한 책들》(오쇼 라즈니쉬/류시화 옮김, 동광출판사, 1991.6.10.)

- 〈자성서점〉 광양농협 옆 2-0232

《미나마타의 붉은 바다》(하라다 마사즈미/오애영 옮김, 우리교육, 1995.1.10.첫/2011.8.18.고침14벌)

《남북 어린이가 함께 보는 전래동화 10 금강산 이야기》(권정생·이현주 엮음, 사계절, 1991.12.25.)

《설문대 할마님, 어떵옵데가?》(이성준, 각, 2012.10.15.)

《순천만, 시민사회 물결치다》(박두규, 이매진, 2008.1.10.)

《창조적 삶의 즐거움》(김재은, 까치, 1991.3.20.)

《김치, 한국인의 먹거리》(주영하, 도서출판 공간, 1994.6.20.)

- 김치라는 말이 한자어 침채(沈菜)에서 나왔다는 국어학자 이기문 교수의 입장을 필자는 따른다. 다만 한자어 침채 대신에 우리말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이 침채라는 한자어로 옮겨진 것이 아닌가 하는 나름대로의 생각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35쪽)

《학교는 왜 가난한가》(한국교육연구소 엮음, 우리교육, 1991.6.20.)

《仙人入門》(高藤聰一郞/김종오 옮김, 정신세계사, 1985.6.8.처음/1985.7.1.2벌)

《가이아, 생명체로서의 지구》(J.E.러브록/홍욱희 옮김, 범양사, 1990.1.20.)

《계몽사문고 100 미운 새끼오리의 꿈》(안데르센/이원수 옮김, 계몽사, 1980.8.18.)

- The Fairy Tale of My Life: An Autobiography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사주팔자



 사주팔자가 사납다 → 삶꽃이 사납다

 사주팔자를 잘 타고나다 → 길을 잘 타고나다

 아내 될 사람의 사주팔자보다 → 곁님 될 사람 삶길보다


사주팔자(四柱八字) : 1. [민속] 사주의 간지(干支)가 되는 여덟 글자. 예를 들어, ‘갑자년, 무진월, 임신일, 갑인시’에 태어난 경우, ‘갑자, 무진, 임신, 갑인’의 여덟 글자를 말한다 2. [민속] 타고난 운수



  나고지는 여러 길과 고리를 헤아리면서 삶을 읽는다고 합니다. 이때에는 ‘길·길눈·길꽃’이라 할 만하고, ‘네길·네곬·고리·네걸음·네고리’라 해도 어울립니다. 수수하게 ‘살다·살아가다·살아오다·살아내다’나 ‘살림·살림하다·-살이·삶’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삶길·사는길·삶꽃·삶맛·삶멋’이라고도 하지요. ‘살아갈 길·살아온 길·삶소리’나 ‘하루·하루꽃·하루빛·하루길’이라 할 수 있습니다. ㅍㄹㄴ



사주팔자에 없는 쵸코바만 빨아대는 계집들같이

→ 네고리에 없는 달콤막대만 빨아대는 계집같이

→ 삶꽃에 없는 달달막대만 빨아대는 계집같이

→ 길눈에 없는 깜달막대만 빨아대는 계집같이

《겨울 공화국》(양성우, 실천문학사, 1977) 64쪽


사주팔자란 우리에게 새겨진 자연의 기운을 뜻합니다

→ 삶길이란 우리한테 새긴 푸른기운을 뜻합니다

→ 하루길이란 우리한테 새긴 숲기운을 뜻합니다

《사주 인사이트》(하나사주, 혜윰터, 2025)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불행 중 다행



 정말 불행 중 다행이다 → 참으로 애먹었다

 결과적으로는 불행 중 다행이니 → 그래도 고마우니


불행중다행 : x

불행(不幸) : 1. 행복하지 아니함 2. 행복하지 아니한 일. 또는 그런 운수

중(中) : [의존명사] 1. 여럿의 가운데 2. 무엇을 하는 동안 3. 어떤 상태에 있는 동안 4. 어떤 시간의 한계를 넘지 않는 동안 5. 안이나 속

다행(多幸) : 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음 ≒ 행(幸)



  낱말책에 없기도 하지만 굳이 실을 까닭이 없는 “불행 중 다행”입니다. 쓰임새나 뜻을 헤아린다면 ‘가까스로·겨우·하다못해’나 ‘그래도·그나마·이나마·망정·그럭저럭’으로 풀어낼 만합니다. ‘낫다·숨돌리다·한숨돌리다’로 풀어내고, ‘애먹다·애오라지·어렵다·힘겹다’로 풀어내요. ‘두손들다·두 손을 들다·쓸어내리다’나 ‘꽃보라·꽃비·단비’로 풀어낼 수 있습니다. ‘봄꽃비·여름꽃비·가을꽃비·겨울꽃비’나 ‘봄단비·여름단비·가을단비·겨울단비’로 풀어도 어울려요. ‘반갑다·고맙다·기쁘다’로 풀어내기도 합니다. ㅍㄹㄴ



준공 날짜가 가까운 집으로 옮겨 살게 되었으니 그것은 불행 중 다행이었다

→ 공사를 마칠 날이 가까운 집으로 옮겨 살았으니 그나마 나았다

→ 곧 다 지을 집으로 옮겨 살았으니 이럭저럭 나았다

→ 머잖아 다 지을 집으로 옮겨 살았으니 아쉬우면서도 조금 나았다

→ 이제 다 지을 집으로 옮겨 살았으니 힘들면서도 살짝 나았다

《이바구 저바구》(예용해, 까치, 1979) 95쪽


그 가운데 불행 중 다행으로 싹을 틔운 잡초가 있다고 해도

→ 그 가운데 가까스로 싹을 틔운 잡풀이 있다고 해도

→ 그 가운데 어렵사리 싹을 틔운 풀이 있다고 해도

→ 그 가운데 힘겹게 싹을 틔운 풀이 있다고 해도

→ 그 가운데 꿋꿋하게 싹을 틔운 풀이 있다고 해도

《즐거운 불편》(후쿠오카 켄세이/김경인 옮김, 달팽이, 2004) 81쪽


그렇게 생각하면 불행 중 다행인 거지

→ 그렇게 생각하면 그나마 낫지

→ 그렇게 생각하면 그래도 낫지

→ 그렇게 생각하면 좀 낫지

《일상 1》(아라이 케이이치/금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8) 7쪽


하지만 폭주했다곤 해도 그 레벨에 멈춘 건 불행 중 다행이었어

→ 그런데 오두방정이라 해도 그쯤에서 멈춰서 숨돌렸어

→ 그러나 망나니라곤 해도 그 눈금에서 멈춰서 나았어

《일상 2》(아라이 케이이치/금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8) 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문답무용もんどうむよう



もんどうむよう(問答無用) : 문답무용; 논의를 해도 아무런 이익이 없음; 또, 논의의 필요성이 없음. (= 問答無益)

문답무용 : x

문답(問答) : 물음과 대답. 또는 서로 묻고 대답함

무용(無用) : 1. 쓸모가 없음 2. 볼일이 없음 ≒ 무요


 이번에는 문답무용이다 → 이제는 빈소리이다 / 이제는 덧없다

 이 사건에 대해서는 문답무용이다 → 이 일은 한갓되다 / 이 일은 묻지 마라



  ‘문답무용’은 한자로 ‘問答無用’일 테지만, 일본말로는 ‘もんどうむよう’입니다. 우리말로는 ‘묻거나 말거나·묻든지 말든지·한갓되다’로 고쳐씁니다. “말하지 않다·말을 안 하다·말을 않다”로 고쳐쓰고, ‘덧없다·부질없다·하릴없다·재미없다·하찮다’나 ‘쓸모없다·쓸데없다·삽질·쓰레기’로 고쳐쓸 만합니다. ‘보잘것없다·보람없다·크잖다·같잖다’나 ‘물거품·빈소리·뻘·시들하다·시들다·시시하다’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알량하다·자잘하다·좀스럽다·쭉정이’나 ‘부스러기·지스러기·지푸라기·짚풀·쪽·쪼가리’로 고쳐씁니다. ‘허방·허탕·허튼·헛것·혹’이나 ‘군것·군더더기·꼽·곱·검불·돌·자갈’로 고쳐써도 됩니다. ㅍㄹㄴ



정말 비정상적인 녀석이구나. 문답무용!

→ 참말 엉뚱한 녀석이구나. 말을 말자!

→ 참 생뚱맞은 녀석이구나. 묻지 말자!

《시끌별 녀석들 15》(타카하시 루미코/이승원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13쪽


뭐랄까, 문답무용의 존재?

→ 뭐랄까, 묻든지 말든지?

→ 뭐랄까, 묻거나 말거나?

→ 뭐랄까, 덧없달까?

→ 뭐랄까, 부질없달까?

《솔로 이야기 10》(타니카와 후미코/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23) 17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