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2.10.


《삶에 지칠 때 작가가 버티는 법》

 곽재식 글, 북스피어, 2019.10.10.



날은 차츰 풀린다. 오늘도 이른새벽부터 《말밑 꾸러미》 끝손질을 하는데, 어느덧 13시가 훌쩍 넘는다. 일손을 멈추고서 밥을 짓는다. 국을 끓인다. 밥살림을 마치고서 아이들한테 알린 뒤에 다시 글손질을 하다가 등허리를 편다. 오늘도 저녁에 큰아이가 소리내어 책을 읽는다. 어제도 오늘도 큰아이 곁에 가만히 누워서 눈을 감고 목소리를 듣는다. 두 아이한테 여태 책을 얼마나 많이 읽어 주었는지 새록새록 떠오르면서 즐겁다. 아이들이 크면서 새롭게 소리읽기를 해주는 책이란, 더 깊고 넓게 마음으로 스민다. 《삶에 지칠 때 작가가 버티는 법》을 읽었다. 나는 여태 살며 ‘지친’ 날이란 없다. 꽃길을 걸은 적은 아예 없다고 느끼지만, 모든 나날이 가시밭길이었어도 ‘배우는’ 하루였다고 여겼다. 둘레에서 ‘지친다·고단하다·괴롭다·슬프다’고 말하더라도 고개를 갸우뚱한다. 이 삶에는 ‘좋은날·나쁜날’이란 없이, 다 다르게 배우면서 즐기는 날일 테니까. 새벽에 눈을 뜰 수 있으니 고맙다. 날마다 숨을 쉬니 반갑다. 해바람비를 맞이하니 기쁘다. 풀꽃나무와 새는 늘 새롭다. 안 풀리거나 막히는 일이 있다면 ‘집일’을 하고 ‘아이곁’에서 소꿉놀이를 하면 된다. 집일과 아이곁을 품을 적에는 참말로 지칠 까닭이 없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랑살랑 Q 4
아마가쿠레 기도 지음, 오경화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3.

책으로 삶읽기 994


《살랑살랑 Q 4》

 아마가쿠레 기도

 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1.30.



《살랑살랑 Q 4》(아마가쿠레 기도/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을 읽었다. 날마다 반짝반짝 즐겁게 어울리는 두 사람이 새롭게 마주하는 길을 어떻게 열 만한지 차분히 짚는다. 누구나 마음이 자라고 몸이 자란다. 언제나 마음과 몸이 나란히 큰다. 나이가 든 사람도 새삼스레 자란다. 마흔 살이나 예순 살이기에 더 안 크지 않는다. 자라지 않으면 어느새 고약하게 고인다. 크지 않으면 확 굳어서 딱딱하다. 우리가 일을 하건 놀이를 하건 놀이를 하건, 가만히 쉬거나 잠들건, 늘 새롭게 배우고 받아들이면서 숨빛을 잇는 줄 알아볼 노릇이다. 그러니 한마음 한뜻에 한몸으로 나아가려는 둘 사이는 ‘믿음’이 아닌 ‘사랑’이면 넉넉하다. 우리 머리는 우리가 말하고 움직이는 그대로 받아들여서 키워 놓는다. 우리 마음은 우리가 살아가고 꿈을 그리는 그대로 맞아들여서 북돋운다.


ㅍㄹㄴ


“세간에 있는 누군가한테 맞추는 것보단, 눈앞에 있는 우리한테 조잘거리는 편이, 너의 재미난 모습이 더 잘 드러나지 않을까?” (7쪽)


“나는 너 자신이 좋을 때 싫을 때 둘 다 있어도 괜찮다고 생각해. 그 흔들림 사이에서 살고 있는 네가 큐코인 거잖아.” “그건, 자기 자신이 좀 싫을 때가 있어도 괜찮다는 뜻이야?” “나는 네가 너 자신을 싫어할 때도 곁에 있고 싶어.” (77쪽)


“어떻게 할지 정하는 건 하루토잖아. 넌 어떤데? 큐코 너는, 잃어버린 걸 찾지 않고 견딜 수 있어?” (156쪽)


#ゆらゆらQ #雨?ギド


+


오늘은 이 젤리를 소개하겠습니다

→ 오늘은 이 말랑이를 다룹니다

→ 오늘은 이 묵을 얘기합니다

4쪽


인플루언서를 너무 깔보고 있네

→ 꽃글님을 너무 깔보네

→ 꽃글지기를 너무 깔보네

5쪽


유구한 시간을 신의 심부름꾼으로서 살게 될지도 모른다

→ 긴긴 날을 하늘 심부름꾼으로서 살지도 모른다

→ 오랜 나날을 빛심부름꾼으로서 살지도 모른다

13쪽


혼자서 고민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 혼자서 걱정하지 않기를 바라

→ 혼자서 근심하지 마

25쪽


네 영혼을 쫓아낸 누군가가 네 몸속에 들어가 있다

→ 네 넋을 쫓아낸 누가 네 몸에 들어갔다

→ 네 빛을 쫓아낸 누가 네 몸으로 들어갔다

55쪽


그 투망은 어떻게 구해야 해?

→ 그 그물은 어떻게 얻어?

→ 그 반두는 어떻게 찾아?

136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그멜 심해수족관 8
스기시타 키요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3.

책으로 삶읽기 999


《마그멜 심해수족관 8》

 스기시타 키요미

 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2.12.31.



《마그멜 심해수족관 8》(스기시타 키요미/문기업 옮김, 대원씨아이, 2022)을 읽었다. 바다밑 이야기를 바탕으로 뭍사람 살림길을 넌지시 얹는 얼거리이기는 한데, 어쩐지 갈수록 바다밑하고 동떨어진 곳으로 헤맨다고 느낀다. 바다밑 이야기로 더 그릴 줄거리가 없다면 그만 그리는 쪽이 낫지 않을까. 자꾸자꾸 이쪽도 끌어당기고 저쪽도 잡아당겨서 이어가야 할까. 이른바 ‘좋은뜻’으로 ‘좋게좋게’ 잇는 길이 ‘나쁠’ 일은 없다. 그러나 좋은뜻만 앞세우느라 막상 바다와 뭍이 얽힌 수수께끼로 다가서는 길하고는 한참 먼 채 곁가지만 건드리는구나 싶다. 바다밑 이웃은 “알 수 없는” 목숨붙이라고 할 수 없다. 바닷가 이웃조차 제대로 알지 못 하는 사람이지 않은가? 들풀과 나무 한 그루가 얼마나 깊고 너른 숨붙이인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몇일까? 더 나아가 ‘나’라고 하는 사람 스스로도 어떤 삶인지 모른다고 하는 《마그멜 심해수족관》 줄거리인데, 모르고 모르고 또 모르니까 여기저기 들쑤시면서 헤매는 얼거리로 갈팡질팡인가 싶기도 하다.


ㅍㄹㄴ


“이런 일은 대학의 수의학부에서 배우나요?” “아니요. 사육을 해봐야 비로소 알 수 있는 일들뿐이에요. 우리가 사육하는 생물은 미지의 생물이니까요.” (131쪽)


“몸의 성별을 눈으로 보면 알 수 있듯이, 마음의 성별을 눈으로 보면 알 수 있다면 조금은 이해해 줄까요?” (168쪽)


“제 옆에도 그런 말을 해주는 사람이 있었다면 좋았을 텐데.” “그러면 내가 너에게 같은 말을 해줄게.” (175쪽)


#マグメル深海水族館

+


시각 장애도 사람마다 얼마나 보이지 않는가는

→ 감은눈도 사람마다 얼마나 보이지 않는가는

→ 눈먼꽃도 사람마다 얼마나 보이지 않는가는

17쪽


역시 심해는 그로테스크한 동물뿐이구나

→ 깊바다는 무서운 짐승뿐이구나

→ 깊바다는 우락부락 짐승뿐이구나

25쪽


아주 작은 공방이

→ 아주 작은 다툼이

→ 아주 작은 싸움이

40쪽


저런 좁은 사각형 안에서 줄지어 헤엄치는 것보다는

→ 저런 좁고 네모난 틀에서 줄지어 헤엄치기보다는

→ 저런 좁고 네모난 곳에서 줄지어 헤엄치기보다는

92쪽


잘 처신하고 있으니 괜찮아요

→ 잘 하니까 걱정없어요

→ 잘 돌보니까 됐어요

→ 잘 다루니까 됐어요

144쪽


소수자라도 아무 문제는 없는데

→ 작은이라도 아무 일 없는데

→ 작은길이라도 되는데

145쪽


적에게 습격당할 때 더미가 될 가짜 자신이란 말이야

→ 놈이 칠 때 눈속임이 될 몸이란 말이야

→ 놈이 달려들 때 속이는 몸이란 말이야

→ 놈이 들이칠 때 꾸미는 몸이란 말이야

165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직계비속·직계존속



 직계비속의 범위가 → 어디까지 핏줄인지 / 누구까지 아이인지

 직계존속한테서 증여를 받다 → 한집안한테서 물려받는다 / 어버이한테서 받다


직계비속(直系卑屬) : [법률] 자기로부터 직계로 이어져 내려가는 혈족. 아들, 딸, 손자, 증손 등을 이른다

직계존속(直系尊屬) : [법률] 조상으로부터 직계로 내려와 자기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 부모, 조부모 등을 이른다



  피로 이으면서 딸이며 아들을 가리킬 적에는 ‘딸아들·아들딸’이나 ‘아이·아이들’이라 하면 됩니다. 피로 이을 적에 어버이를 가리키면 ‘어버이·엄마아빠·아빠엄마’나 ‘한어버이’라 하면 되어요. 여럿을 뭉뚱그려서 피로 잇는다고 할 적에는 “피로 잇다·피로 맺다”라 할 수 있습니다. ‘피·핏줄·한핏줄’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집·집안·집길·집줄기·집꽃’이나 ‘집사람·집안사람·집내기·집이름’이기도 하며, ‘한집·한집안’이나 ‘한님·한줄기·한지붕’이기도 합니다. ‘겨레·겨레붙이’나 ‘곁사람·살붙이·피붙이’라든지 ‘씨내림·씨마을·씨줄’이라 해도 어울려요. ‘온집·온집안·온지붕’이나 ‘우리·울·저희’라 해도 되어요. ㅍㄹㄴ



3세이든 4세이든 고려인의 직계비속이기만 하면

→ 셋째이든 넷째이든 고려사람 핏줄이기만 하면

→ 석길이든 넉길이든 고려사람 한핏줄이라면

→ 셋째이든 넷째이든 고려사람 딸아들이면

《10대와 통하는 생활 속 법률 문해력》(서창효와 네 사람, 철수와영희, 2024) 102쪽


농사를 짓는 직계존속이 있다면

→ 논밭을 짓는 핏줄이 있다면

→ 땅을 짓는 살붙이가 있다면

→ 흙을 짓는 한집안이 있다면

→ 논밭을 짓는 어버이가 있다면

《너무나 정치적인 시골살이》(양미, 동녘, 2024) 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자연숭배



 자연숭배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 숲넋을 북돋았다

 경건하게 자연숭배를 한다 → 참하게 풀꽃바라기를 한다

 자연숭배로부터 영적 세계의 믿음으로 진화 → 숲바라기부터 넋길을 믿도록 거듭남


자연숭배(自然崇拜) : [종교 일반] 특정한 자연 현상이나 자연물을 신성시하고 숭배하는 일. 원시 종교의 한 경향이며, 크게 태양·달·별·비·바람·천둥 따위의 천체 현상과, 대지·불·물·강·산악·암석 따위의 지상 현상, 그리고 수목이나 동식물 따위가 대상이 된다 ≒ 자연물 숭배·천연물 숭배·천연 숭배



  숲을 바라보며 섬기는 마음이라면 ‘숲바라기·숲사랑’이나 ‘풀바라기·풀꽃바라기’라 할 만합니다. ‘풀사랑·푸른사랑·풀꽃사랑’이라 해도 어울립니다.‘숲길·숲결·숲으로’나 ‘숲넋·숲눈·숲답다·숲뜻·숲빛’이나 ‘숲사랑·숲살림·숲짓기·숲하루’로 담아낼 만합니다. 숲처럼 나아갈 적에는 꾸미지 않아요. ‘꾸밈없다·수수하다·투박하다·그대로·있는 그대로·거짓없다’라 할 만하고, ‘푸른길·풀빛길’이나 ‘푸르다’로 나타내어도 어울려요. ‘들꽃·들빛·들사랑’이나 ‘들살림·들하루’이라든지 ‘해바람·해바람비·해바람비흙’으로 나타낼 만하지요. ‘부드럽다·보드랍다·푸근하다·따뜻하다·따사롭다·아늑하다’로 나타내어도 되고요. ㅍㄹㄴ



경건한 의미에서 볼 때에는 자연숭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다

→ 거룩하게 볼 때에는 숲사랑에서 먼 듯하다

→ 드높이며 볼 때에는 숲넋하고 동떨어진 듯하다

《나비》(헤르만 헤세/홍경호 옮김, 범우사, 1989) 2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