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영어] 리조트resort



리조트(resort) : 재미있게 놀거나 편안히 쉴 수 있는 시설을 갖춘 곳

resort : 1. 휴양지, 리조트 2. 의지, 의존(다른 대안이 없어서, 특히 좋지 못한 것에 기대게 됨을 나타냄) 3. (특정 상황에서의) 제1/마지막/최후의 수단

リゾ-ト(resort) : 리조트, 피서[휴양]지, 행락지



쉬려고 마련하는 곳은 ‘쉼터·나들터·놀이쉼터’에 ‘쉬는터·쉬는곳·쉬는자리’입니다. ‘쉴터·쉴곳·쉴자리’나 ‘쉼뜰·쉼뜨락·쉼밭·쉼채’라 해도 어울립니다. ‘놀이쉼터·놀이터·놀이뜰·놀이뜨락·놀이채’라 할 테고, ‘멋터·멋자리·멋마당·이름터·이름집’으로 나타낼 만합니다. ‘느긋쉼터·느긋터·느긋자리’라 해도 되어요. ‘아늑집·아늑살림·아늑쉼터’나 ‘구경마당·구경터’라 해도 되고요. ㅍㄹㄴ



꿈의 리조트로

→ 꿈놀이뜰로

→ 꿈같은 쉼뜰로

→ 꿈놀이나라로

→ 꿈같은 쉼터로

《희망을 여행하라》(이매진피스·임영신·이혜영, 소나무, 2009) 93쪽


항상 여름인 나라야. 무이네라는 리조트도 있단다

→ 늘 여름인 나라야. 무이네라는 쉼뜨락도 있단다

→ 내내 여름인 나라야. 무이네라는 쉼터도 있단다

《달밤의 호랑지빠귀》(카사이 수이/우혜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2) 78쪽


설명회야. 더러운 리조트 개발업자의!

→ 보임터야. 더럽게 멋터를 만들려는!

《남국의 톰소여 1》(우메/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3) 192쪽


친환경 고급 리조트로 변질됐다

→ 깨끗하고 비싼 놀이뜰로 바뀐다

《진정성이라는 거짓말》(앤드류 포터/노시내 옮김, 마티, 2016) 267쪽


리조트의 지하수 사용에 대해서는 매우 무거운 부담금을 물려야 한다

→ 놀이뜰에서 쓰는 땅밑물에는 매우 무겁게 덧돈을 물려야 한다

→ 놀이채에서 쓰는 밑물에는 매우 무겁게 웃돈을 물려야 한다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하승수, 한티재, 2015) 57쪽


리조트들은 도시도 아니고 시골도 아니다

→ 놀이채는 서울도 아니고 시골도 아니다

→ 나들터는 서울도 아니고 시골도 아니다

《남겨둘 시간이 없답니다》(어슐러 K.르 귄/진서희 옮김, 황금가지, 2019) 3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늦가을나무 (2023.11.7.)

― 순천 〈책방 심다〉



  여수 어린이하고 만나면서 말꽃(문해력 증진)을 나누는 자리를 꾸리려고 이른새벽에 길을 나섭니다. 두다리나 두바퀴(자전거)로 다니는 몸이기에, 고흥에서 여수로 건너가려면 길에서 한나절(4시간)을 너끈히 보냅니다. 돌고돌아서 여수에 가는 길보다, 고흥에서 서울 가는 길이 한결 빠릅니다.


  모든 길을 서울로 빠르게 뚫기에, 아주 빠르게 시골이 텅 빕니다. 길삯만 치르면 누구라도 쉽게 ‘시골끝 + 서울로(脫 시골 + in 서울)’을 이룹니다. 어느덧 석 달째 여수 어린이를 만나면서 ‘살림씨앗’을 한 톨씩 나누어 줍니다. 나고자란 마을을 천천히 돌아보면서 배우기를 바라고, 서둘러서 으뜸자리에 오르려 하기보다는 언제나 모든 곳에서 말씨앗을 누리기를 바란다고 들려줍니다.


  이야기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순천에서 내립니다. 늦가을볕을 누리면서 걷습니다. 서울에서도 시골에서도 큰고을에서도 두다리를 즐기는 이웃은 드뭅니다. 몸닦기(운동)를 하려고 따로 걷거나 달리는 사람은 많아도, 저잣마실을 하거나 바깥일을 보려고 걷는 사람은 아주 드뭅니다.


  따로 걸으려 하기보다는, 일하거나 살림하는 길에 걸어야 몸이 튼튼합니다. 하루가 느긋할 적에만 책을 읽기보다는, 빠듯하거나 바쁠 적에 쪽틈을 내어 읽어야 마음이 빛납니다. 쉼날에만 아이하고 논다면 어버이가 아니에요. 이레 내내 아이하고 놀고 수다를 떨고 집살림을 함께 일굴 적에 비로소 어버이입니다.


  〈책방 심다〉에 닿습니다. 순천마실을 하는 분이 자주 들르는 듯합니다. 책손님이 붐빌 적에는 찰칵이를 손에 쥐기 어렵습니다. ‘사람을 안 찍으려’고 하더라도 ‘찰칵이 탓에 책을 못 보’는 분이 있어요. 지난날에는 살림찍기(스냅사진)로 찰칵 한 자락을 얻고서 책집에 빛꽃(사진)을 맡겨서 ‘찍힌 책손님’한테 건네곤 했지만, 요사이는 책집손님을 찰칵 찍을 수 없습니다.


  얼굴빛(초상권)은 꼭 지킬 노릇입니다. 여기에 살림빛을 가만히 생각해 봅니다. 무엇을 어떻게 왜 담으려 하는지 살피지 않는다면, 글·그림·빛꽃은 모두 후줄근합니다. 좋아 보이는 빛이 아니라, 살림하는 사랑을 옮길 적에 비로소 빛나요.


  이야기를 그리기에 ‘빛(창조)’입니다. 이야기는 뒷전인 채 줄거리만 내세우거나 목소리만 높이거나 껍데기를 꾸미면 ‘빚’입니다. 돈을 많이 벌어서 가난한 이웃한테 베풀어야 아름답지 않습니다. 돈을 안 벌더라도 따스히 나누는 손길이면 아름답습니다. 책을 덜 읽더라도 아이 곁에서 살림을 사랑하는 손길로 빙그레 웃는 어른이라면 아름답습니다. 늦가을볕이 늦가을나무 가지마다 고이 내려앉습니다.


ㅍㄹㄴ


《순면과 벌꿀》(슬로보트, 어떤우주, 2023.7.20.)

《서점의 시대》(강성호, 나무연필, 2023.10.31.)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길 한복판에서 찍은 사진은,

자전거를 달리면서

문득 찰칵 담은 모습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25-03-02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래전 숲노래님의 헌책방 책을 가지고 순천의 형설서점을 다녀온 기억이 납니다.근데 헌책방이 사라지는 요즘 순천에 또다른 헌책방이 생긴것을 보니 무척 반갑네요^^

파란놀 2025-03-02 18:07   좋아요 0 | URL
<책방 심다>는 헌책집이 아닌 새책집입니다.

순천에는 마을책집이 여럿 싹텄고
헌책집으로는 <책마실>이라는 곳이 있어요.

헌책집이 꼭 사라지기만 하지는 않아요.
닫는 곳이 있지만 여는 곳이 있고,
모두 다르게 빛납니다 ^^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어린이와 동무하는 (2023.12.9.)

― 대구 〈북셀러 호재〉



  우리나라에 책집이 태어난 지는 기껏 온해(100년)로 칠 만하지만, 책집이라는 데는 언제나 어린이한테 쉼터 노릇이었습니다. 예나 이제나 어느 고을을 보든, ‘나이든 사람’이 쉬거나 누릴 자리는 줄줄이 넘칩니다. 이와 달리 ‘어린이와 푸름이’가 쉬거나 누릴 자리는 눈씻고 보아도 찾기 어렵습니다. 서울길을 거닐든 부산골목을 다니든 매한가지입니다. ‘가게’란, 사람들이 돈을 써서 사고파는 얼거리인 터라, 어린손님이나 푸른손님을 반길 수 없어요.


  그런데 숱한 가게 가운데 책가게만큼은 어린이와 푸름이도 홀가분히 드나들 수 있습니다. 더구나 책가게에서는 어린이와 푸름이가 책을 안 사더라도, 그저 훑거나 읽고서 나가더라도 대견하게 바라보곤 합니다.


  대구 〈북셀러 호재〉를 찾아갑니다. 책집지기 아이는 책집 한켠에서 놀기도 하고 자기도 하고 먹기도 합니다. 책집지기가 일하는 자리에서 책집아이도 무럭무럭 자랍니다.


  오늘 우리는 아이하고 얼마나 어깨동무를 하는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어버이와 어른이 일하는 곳에서 아이들이 실컷 뛰놀다가 쉬다가 먹다가 잠들 수 있을까요? 아이하고 어른을 가르는 곳이라면 아이도 고단하지만 어른도 고달픕니다.


  떠난 어른 이오덕 님은 어린이를 곁에 두는 마음이었기에 어린이와 함께 노래할 우리말글도 참하게 가꿀 수 있기를 바라셨구나 싶습니다. 모름지기 어른이라면 ‘나이를 먹은 몸’이 아닌 ‘나다운 나’와 ‘새로 태어난 아이’를 나란히 바라봅니다. 나와 너(아이)를 하나로 어깨동무하지 않을 적에는 도무지 어른일 수 없습니다. 나라 곳곳에서 얄궂거나 안타까운 말썽이 왜 불거질까요? 어린이를 곁에 안 두면서 돈팔이·이름팔이·힘팔이를 하기 때문 아닐까요?


  푸른지붕(청와대)도, 벼슬터(국회 및 모든 공공기관)도, 어린이가 언제나 홀가분히 드나들면서 “아줌마는 무슨 일 해?”라든지 “아저씨는 어떤 일 해?” 하고 묻고서 지켜본다면, 어떤 벼슬아치도 허튼짓이나 검은짓을 못 합니다. 우리는 어린이가 못 드나드는 굴레와 담벼락을 세우기 때문에 더 망가지고 더 싸우고 더 갈라치면서 이 모든 수렁을 아이들한테 덤터기처럼 씌운다고 느낍니다.


  들꽃을 품을 줄 알아야 들숲바다를 품고 아끼며 돌봅니다. 작은이와 어린이를 품는 살림일 적에 집과 마을과 나라가 아늑하고 아름답습니다. 살뜰히 읽는 손길로 서로 읽는꽃이 되어 마주합니다. 알뜰히 가꾸는 손길로 저마다 살림꽃이 되어 웃습니다. 좋은글·좋은책이 아닌 사랑글·사랑책을 바라보기에 눈이 밝아요.


ㅍㄹㄴ


《詩論》(오세영 외, 현대문학, 1989.8.20.)

《유미리 戱曲集》(유미리/정진수 옮김, 예음, 1994.7.9.)

- 학원서림

《도둑마을》(장문식, 인간사, 1983.5.20.)

《바람을 헤치고 크는 아이》(박상규, 인간사, 1983.4.30.첫/1983.6.20.재판)

《文藝精神 10 하늘과 땅 사이에》(박재두 엮음, 문예정신사, 1984.9.5.)

- 최춘해 교장 선생님. 조평규 드림

《국어교육의 원리》(김수업, 청하, 1989.5.25.)

《反藝術》(사까자끼 오쯔로오/이철수 옮김, 합동기획, 1983.3.25.)

《英語史》(김석산, 민음사, 1990.6.30.)

《한국 女俗史》(김용숙, 민음사, 1989.9.30.첫/1989.11.10.2벌)

《어깨동무 꽃밭》(정혜진, 아동문예, 1992.8.10.)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달 3 - 루나 코믹스
닛타 아키라 지음, 김지혜 옮김 / ㈜소미미디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2.

책으로 삶읽기 998


《사랑의 달 3》

 닛타 아키라

 김지혜 옮김

 소미미디어

 2024.2.28.



《사랑의 달 3》(닛타 아키라/김지혜 옮김, 소미미디어, 2024)을 읽었다. 뒷걸음을 더 읽어야 할는지 모르겠다. 바야흐로 마구마구 출렁이면서 오락가락하는 짝짓기로 잇는다. 다만, 이리 얽히고 저리 설키는 짝짓기를 하는 까닭을 다들 조금은 느끼기는 하는구나 싶다. 스스로 어떤 마음인지 제대로 밝히지 않으니까 자꾸 딴데로 눈을 돌린다. 눈앞에 있는 사람이 어떤 마음인지 제대로 들으려고 하지 않으니까 더더욱 고개를 돌리면서 딴사람을 찾아보고 싶다. 바람을 피우는 이들은 다른 사람이 멋져 보이기에 팔랑거리지 않는다. 스스로 사랑하지 않기에 휩쓸린다. 내가 나를 사랑하는 길을 걷지 않는 터라, 스스로 어떤 하루인지 말하지 않고, 한집에 있더라도 말을 주고받지 않는 동안, ‘어쩔 길 없다’는 마음을 굳힌다. 맺고 풀 곳에서 맺지도 풀지도 않으니, 이른바 ‘바람 피우기’처럼 보이고, 아무리 바람을 피워도 마음이 텅 비었으니 채울 길이 없다.


ㅍㄹㄴ


‘있잖아, 후우타. 나는 이코랑 만나면서 후우타로는 채울 수 없는 부분을 채우고 있어. 그걸로 우리 둘이 잘 지낼 수 있다면 좋은 거 아닐까?’ (94쪽)


‘직장이 정해지면 돈이 생기지만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결혼하면 만나는 것조차 어려워지겠지.’ (128쪽)


“이런 나를 찍어서 뭐가 재밌는지도 모르겠고.” “저도 죄송해요. 무신경했죠.” (155쪽)


“후우타는 항상 나를 아래로 보더라?” “뭐? 그럴 리가 없잖아.” “하지만 그렇게 느꼈어.” (174쪽)


‘언제부터였을까, 나도 후우타를 ‘어차피’라고 생각했다. 입 밖으로 내지 않았을 뿐.’ (184쪽)


#戀のツキ #新田章


+


세컨드여도 되니까 사귀어 주세요

→ 덤이어도 되니까 사귀어 주세요

→ 덧달아도 되니까 사귀어 주세요

→ 둘째여도 되니까 사귀어 주세요

3쪽


그걸로 우리 둘이 잘 지낼 수 있다면 좋은 거 아닐까

→ 그렇게 우리 둘이 잘 지낼 수 있다면 되지 않을까

→ 그 길로 우리 둘이 잘 지낼 수 있다면 낫지 않을까

94쪽


학력도 별거 없어요

→ 배움끈도 뭐 없어요

→ 끈도 딱히 없어요

114쪽


그 나이대 여자들은 채용해도 갑자기 아이가 생겨서 그만두는 경우가 많지

→ 그 나이 순이는 뽑아도 갑자기 아이가 생겨서 그만두곤 하지

→ 그 또래 가시내는 받아도 갑자기 아이가 생겨서 그만두곤 하지

114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의 달 2 - 루나 코믹스
닛타 아키라 지음, 김지혜 옮김 / ㈜소미미디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3.2.

책으로 삶읽기 997


《사랑의 달 2》

 닛타 아키라

 김지혜 옮김

 소미미디어

 2024.2.28.



《사랑의 달 2》(닛타 아키라/김지혜 옮김, 소미미디어, 2024)을 곰곰이 읽어 보았다. 고작 서른한 살이라는 나이에 스스로 ‘젊지 않다’고 바라보는 아가씨가 아직 스물이 안 된 사내랑 ‘바람’을 피우는 줄거리인데, 사람은 나이로 치거나 매기거나 따지지 않는다. 적잖은 사람들은 스스로 ‘나이’에 얽매여서 어느 나이에 이르면 ‘늙었다’라든지 ‘이제는 안 탱탱해’ 하고 여기곤 하겠으나, 사람은 나이가 들건 안 들건 마음에 빛살이 없으면 낡을 뿐이다. 나이가 아닌 ‘나’를 바라보기에 ‘날개’를 달고서 난다. ‘나’가 아닌 나이에 얽매이니 ‘낡’는다. 오직 이 하나이다. 책이름은 “사랑의 달”이지만, 그저 “짝짓는 달”을 다루는 줄거리에서 맴돈다.


ㅍㄹㄴ


“와코가 꼭 바람을 피우고 싶다면야 어쩔 수 없고. 하하하.” (45쪽)


‘그걸 깨끗하게 떼어낼 수 있을까? 그 고통을 견딜 수 있을까? 서른하나. 이제 곧 서른둘이 된다. 20대에 비하면 회복력도 떨어졌을 텐데.’ (109쪽)


“후우타는 정말로 와코를 소중히 여겼어? 집안일을 해줘서 고맙다고 한다든가.” “제가 나쁜 거예요?” “지금 후우타가 상처받은 건 와코 때문이야! 나쁜 건 와코지! 하지만 ‘나쁘다’는 결론으로 정리해 버리면 거기서 끝이야!” (162쪽)


#戀のツキ #新田章


+


멈춘 채 점점 가라앉는 배 위에서

→ 멈춘 채 차츰 가라앉는 배에서

164쪽


본인도 멍청한 짓을 했다는 건 알고 있을 거야

→ 스스로 멍청한 짓을 한 줄 알아

→ 그사람도 멍천하게 군 줄 알아

165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