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4. 큰눈



  섣달 첫이레는 큰눈이라는 철눈이다. 나는 해마다 이맘때가 ‘겨울끝’이라고 느낀다. 깊밤이 더 무르익을 동안 더 얼어붙는 듯하더라도 슬슬 취위바람이 바뀌려는 길목이다. 그래서 나는 해마다 첫여름 길목인 긴낮을 앞두고서 여름이 끝난다고 느낀다.


  간밤에 어느 모지리가 총칼을 앞세우려고 했나 보다. 밤이란 꿈을 그리면서 몸을 쉴 때인데, 꿈그림이 아닌 밉그림에 사로잡혔으니, 딱하고 가엾다. 그러면 우리는 밤새 무엇을 하는가? 우리는 밤새 불과 누리길(인터넷)을 다 재우고서 별을 그리는 고요누리로 나아가는가?


  하루글을 쓴다. 잇달아 노래를 쓴다. 네 사람이 우리 보금숲에서 볕바라기랑 별바라기를 한다. 촛불바라기를 하고 몸을 쉬면서 한참 이야기꽃을 지피고서 포근히 눕는다. 저마다 다른 책을 쥐고서 읽는다. 겨울에는 밤새가 어디 있으려나 하고 어림하면서 하늘을 헤아린다. 어제 한 빨래를 개고서, 오늘 새로 한 빨래는 하루 더 집안에서 말린다.


  두바퀴를 고치려면 더 있어야겠지. 그때까지는 시골버스를 타고서 읍내 나래터를 다니기로 한다. 시골은 더 늙어가며 낡아간다. 할매할배도 푸름이도 똑같다. ‘디지털 교과서’가 아니라, 손에 붓종이를 쥐어 주고서, 호미낫을 나란히 쥐어 줄 일이지 싶다. 손수 가꾸고 심고 돌보고 짓고 나누고 노래한다면, 우리는 어디서나 언제나 서로 다르게 하늘님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10. 욕하는 버스



  아침에 서울 성산동에서 부천 원미구청 쪽으로 가는 버스를 탄다. 원미동 마을책집 〈용서점〉으로 마실하는 길이다. 57분을 달리며 넘어가는데, 이동안 버스일꾼은 쉴새없이 막말(욕)을 한다. 이놈은 이렇게 끼어들고 저놈은 저렇게 안 비켜나고 그놈은 그놈이라서 끝없이 막말잔치이다. 흔들리는 버스에서 노래랑 하루글을 쓰는데, 앞자리에 앉던 손님이 하나둘 뒤로 옮겨앉는다. 붓길을 쉴 적마다 버스일꾼 막말소리가 고스란히 찰떡지게 들린다. 언뜻 보아하니 다른 ‘자가용 운전자’가 하나같이 “안 비키(배려심 부족)”고 “건방지(무식운전)”구나 싶다.


  그런데 나는 57분만 이놈 저놈 그놈을 들을 뿐이나, 버스일꾼은 하루 내내 그이 마음과 입과 몸과 눈과 귀를 막말잔지(욕퍼레이드)로 스스로 물들이는 셈이다.


  마을책집 〈용서점〉에서 책을 한 꾸러미 장만한다. 등짐에만 담을 수 없어서, 어제 들른 책집에서 산 책으로 이미 넘쳐서, 책꾸러미를 하나 묶고서 가슴에 안고서 춘의역으로 걸어갔고 ‘가운마을 아닌 센트럴시티’로 전철을 타러 걷는다. 낮밥을 먹으러 가는 원미구청 공무원 여섯이 거님길을 다 차지하면서 주머니에 손 넣고서 어기적어기적 어슬렁어슬렁이어서 찻길로 내려간다. 옆을 에돌아 걷는다. 좁은 골목 왼오른은 벌써 쇳덩이로 줄줄이 잇고 앞에서 뒤에서 새로 쇳덩이가 끊이잖고 달린다.


  서울 부산 대구 인천뿐 아니라, 순천 부천 강릉 원주 전주 어디를 가도 “자가용 하늘나라(천국)”인 판이다. 어쩌면 우리는 날마다 찰지게 막말잔치를 누리려고 온골목과 온마을을 이렇게 망가뜨렸을 수 있다.


  걸으며, 전철에서, 시외버스 기다리며 책을 읽는다. 들숲바다를 사랑하건 안 사랑하건 《맛의 달인》을 104걸음까지 읽은 이웃은 몇이나 있을까? 온나라 해수욕장과 매립지를 통째로 바다한테 돌려줄 일인 줄, 더구나 발등에 떨어진 불이 아니라 발등과 종아리와 허벅지에 아랫도리를 죄다 태우는 판인데, 이를 느끼면서 불을 끄려는 이웃은 몇이나 있을까?


  《싸가지 없는 진보》는 2014년에 처음 나왔다는구나. 이 책을 읽으면서 빠순빠돌을 멈춘 이웃은 있을까? 아마 내가 모르는 곳에 아름이웃과 사랑이웃과 꿈이웃이 있으리라 본다. 시골이웃에 숲이웃에 바다이웃도 있을 테지. 늘 아이 곁에 서면서 아이가 알아들을 쉽고 즐거운 말씨로 하루를 노래하는 이웃이 있을 테지.


  나는 노래하고 춤추며 걷는 아저씨로 살아가려고 한다. 착한 아저씨 참한 아저씨 고운 아저씨 숲아저씨 시골아저씨 우리말아저씨 책아저씨 노래아저씨 꿈아저씨 걷는아저씨 사진아저씨 …… 그리고 까칠아저씨로 살림을 지으려고 한다. 고흥으로 돌아간다. 낮에는 새랑 동무하고 밤에는 별바다하고 이웃하는 우리 시골로 돌아간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4.12.9. 특산품



  시골에서 버스를 타든 서울에서 버스에 전철을 타든, 할배할매는 으레 밀치면서 앞으로 끼어든다. 이때에 할배할매한테 “줄서서 탑시다” 하고 말하는 사람을 아직 못 본다. 할배할매는 어떻게 타고내려야 하는가를 듣지도 배우지도 못 하는 얼거리이다.


  어린이와 푸름이와 젊은이는 말을 듣거나 배울까? 한때는 말을 듣거나 배웠되, 갈수록 말을 들어볼 일이 줄고 가르치는 어른도 사라지지 싶다. 목소리를 내는 길은 배우기도 하고 늘기도 하는데, 삼가거나 고쳐야 할 대목은 누가 들려주거나 어디에서 어떻게 배우는 나라일까?


  틀(법)에 어긋나지 않기에 옳거나 바르지 않다. 틀을 맞추니까 바르거나 옳지 않다. 착하고 참하며 곱게 사랑일 적에 비로소 빛나는 사람다이 철든 밝은 삶이다.


  오늘도 또 끼어드는 할배한테 “줄 좀 서서 탑시다. 어르신.” 하고 말한다. “공공장소에서는 소리 끄고 이어폰 씁시다.” 하고 따박따박 말한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그야말로 드문데, 귀찮기도 하고 앙갚음을 할 수도 있기에 모르는 척하기 일쑤이다. 더욱이 사납빼기나 힘깨나 쓴다고 여기는 이와 무리가 마구 군다. 옛말에 "방귀 뀐 놈이 성낸다"고 했다. 끌려내려올 놈팡이가 성내거나 거들먹대는 판이다. 그들은 여태 꾸지람을 못 듣기도 했을 테지만, 꾸짖을 만한 어른이나 스승이나 길잡이를 일찌감치 쳐내거나 없애면서 돈과 이름과 힘과 벼슬에 입(언론)까지 틀어쥐며 콧대가 높다.


  안 웃기는 말인데, “시골 특산품은 텃힘”이지 않을까? 여기에 “돌라먹기”이지 싶다. “서울 특산품은 뻔뻔”에다가 “모르쇠+모지리”일 수 있다. 시골 할배할매는 텃힘을 부리며 새치기가 그들 삶이다. 서울내기는 들숲바다를 잊고 안 배우느라 살림을 모르기에 뻔뻔징어라 할 만하다. 둘 사이에서 아이들은 무얼 볼 수 있을까? 우리는 철들며 늘 스스로 새로 배우는 하루를 지으려는 사람으로 거듭나면서 시골서울 온곳에 사랑씨를 심는 오늘을 살아갈 수 있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8.


《여기까지가 미래입니다》

 황인찬 글, 아시아, 2022.1.28.



고흥걷기를 하는 이웃님이 아침에 우리 책숲으로 마실한다. 둘러앉아서 노래쓰기를 누린다. 문득 마음을 다스려서 손수 이야기를 지으며 논다. 삶이란 늘 놀이라고 본다. 놀이란 언제나 노래라고 여긴다. 노래란 노상 오늘을 살아가는 너랑 나라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어제 고흥에서 서울까지 날아가서 여의도에서 촛불을 든 이웃님이 많았단다. 대단하구나. 간밤에 부릉부릉 달려서 새벽에 돌아오다니. 짧지도 않은 먼길을 다녀오다니. 비록 바로 우두머리를 끌어내리지 못 했다지만, 너울치는 목소리하고 숨결을 하늘로 띄운 보람이 크다고 느낀다. 하나부터 열까지 갈아엎을 때이다. 우두머리(대통령)·벼슬아치(국회의원·시도지사) 몽땅 없이, 들꽃과 나무로 이루는 포근숲으로 나아가는 삶터를 그려 본다. 《여기까지가 미래입니다》를 읽으며 한숨을 지었다. ‘글’이 아닌 ‘문학’이라는 이름을 붙이려면 이토록 꾸며써야 하는가 싶어 씁쓸하다. 우리가 여느 자리에서 짓는 여느 삶이 그대로 나라(정부)에 스민다고 본다. 낳은 아이하고 이웃 아이를 돌본 적이 없는 무리가 힘(권력)·벼슬을 거머쥐기에 나라가 흔들린다면, 아이 곁에 서지 않은 채 붓대만 쥐는 물결이 너무 드세기에 글밭이 하나도 안 알차구나 싶다. 오늘밤도 별이 반짝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12.9.


《낙타굼》

 박기범 글·오승민 그림, 낮은산, 2008.4.10.



오늘까지 마칠 글을 몇 가지 추스르며 밤을 샌다. 이른새벽에 짐을 꾸려서 집을 나서려는데 큰아이가 일어나서 “가요?” 하고 묻는다. “응. 오늘 하루 즐겁고 새롭게 그리면서 누리렴.” 하고 얘기한다. 논두렁을 따라 옆마을로 걷는다. 첫 시골버스를 기다린다. 고흥읍에 닿아 순천으로 건너가고, 서울 가는 시외버스로 갈아탄다. 낡바지는 그만 입으라는 꾸지람을 떠올리면서 바지 한 벌을 장만한다. 이제 〈메종인디아 트래블앤북스〉로 간다. 오늘(12.9.)부터 12.23.까지 ‘책집에 갑니다. 오늘 나를 찾아서’라는 이름으로 보임꽃(사진전시)을 편다. 1999년부터 2011년, 그리고 2014년까지 담은 헌책집 모습을 그러모아서 조촐히 놓았다. 책집에서 책집 이야기를 들려주는 보임꽃을 나눌 수 있기에 반가우면서 고맙다. 《낙타굼》을 되읽었다. 놀림받다가 노래하는 아이가 걸어온 길이란, 글쓴이가 걸어온 어제이면서, 온누리 뭇아이한테 들려주고 싶은 사랑씨앗이라고 느낀다. 어느 아이하고 어느 길잡이는 왜 어느 아이를 놀리고 싶을까? 이러다가 여러 아이하고 어느 길잡이는 스스로 무엇을 하는지 어떻게 알아차리면서 거듭날 수 있을까? 애벌레가 고치를 거쳐서 나비로 나아가듯, 모든 이가 날개돋이를 할 수 있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