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97 : 그것 제일 것


그것이 무슨 소리인지 제일 먼저 알아차린 것은 엘프입니다

→ 무슨 소리일까요. 엘프가 가장 먼저 알아차립니다

→ 엘프가 가장 먼저 무슨 소리인지 알아차립니다

《외다리 타조 엘프》(오노키 가쿠/김규태 옮김, 넥서스주니어, 2006) 8쪽


무슨 소리가 날 적에는 “무슨 소리야?” 하고 묻는 우리말씨입니다. “그것이 무슨 소리”처럼 안 씁니다. “제일 먼저 알아차린 것은 엘프입니다”는 ‘것’을 넣는 바람에 글결이 엉성합니다. ‘것’을 털어야지요. “엘프가 가장 먼저 알아차립니다”로 바로잡습니다. ㅍㄹㄴ


제일(第一) : 1. 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 2. 여럿 가운데 가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96 : -ㄴ 만들었


나무는 들판에 시원한 그늘을 만들었습니다

→ 나무는 들판에 그늘을 시원히 내줍니다

→ 나무그늘이 들판을 시원히 덮습니다

→ 나무가 그늘을 베풀어 들판이 시원합니다

《외다리 타조 엘프》(오노키 가쿠/김규태 옮김, 넥서스주니어, 2006) 30쪽


나무는 그늘을 만들지 않습니다. 나무는 그저 그늘을 내어줍니다. 나무는 우거진 가지와 잎으로 그늘을 내지요. 땡볕이 내리쬐는 여름 한낮을 시원히 덮습니다. 나무가 그늘을 베풀기에 들숲마을 어디나 시원합니다. 여름에는 푸른바람을 일으키는 나무입니다. 겨울에는 찬바람을 가리는 나무입니다. 언제나 우리 곁에서 아름드리로 서는 나무입니다.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695 : -의 예리 정확 지적 원고의 부실 부분들


정혜인 님의 예리하고 정확한 지적에 원고의 부실한 부분들을 손볼 수 있었다

→ 어설픈 곳은 정혜인 님이 날카롭고 꼼꼼히 짚었기에 손볼 수 있었다

→ 서툰 곳은 정혜인 님이 매섭게 꼬치꼬치 알려주어서 손볼 수 있었다

《우리말 기본기 다지기》(오경철, 교유서가, 2024) 15쪽


샅샅이 보는 눈길이 날카롭습니다. 아주 작은 데까지 낱낱이 보고 짚으면서 도와줍니다. 옆에서 꼼꼼하게 알려주는 분이 있기에 차근차근 손봅니다. 나는 아직 서툴지만 둘레에서 여러모로 챙겨 줍니다. 때로는 매섭도록 꼬치꼬치 묻는군요. 미처 모르고 지나칠 만하니 얼른 불러서 얘기합니다. 여태 몰랐던 대목이니 새삼스레 배우면서 손질합니다. ㅍㄹㄴ


예리하다(銳利-) : 1. 끝이 뾰족하거나 날이 선 상태에 있다 2. 관찰이나 판단이 정확하고 날카롭다3. 눈매나 시선 따위가 쏘아보는 듯 매섭다 4. 소리가 신경을 거스를 만큼 높고 가늘다 5. 기술이나 재주가 정확하고 치밀하다 6. [북한어] 관계가 조금만 다쳐도 터질 듯이 긴장하다

정확(正確) : 바르고 확실함”을 가리킨다고 해요. ‘확실(確實)’은 “틀림없이 그러함

지적(指摘) : 1. 꼭 집어서 가리킴 2. 허물 따위를 드러내어 폭로함

원고(原稿) : 1. 인쇄하거나 발표하기 위하여 쓴 글이나 그림 따위 2. = 초고

부실(不實) : 1. 몸, 마음, 행동 따위가 튼튼하지 못하고 약함 2. 내용이 실속이 없고 충분하지 못함 3. 믿음성이 적음

부분(部分) : 전체를 이루는 작은 범위. 또는 전체를 몇 개로 나눈 것의 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395 : 수림 호수 안 보트 선남선녀들 초롱


수림에 싸인 호수 안에는 밤인데도 보트를 타는 선남선녀들이 빨간 초롱을 달고

→ 숲에 싸인 못에는 밤인데도 배를 타는 사람들이 빨간 촛집을 달고

→ 너른숲에 싸인 못에는 밤에도 배를 타는 곰네가 빨간 촛불집을 달고

《여보, 나의 마누라, 나의 애인》(윤이상, 남해의봄날, 2019) 15쪽


나무가 우거진 곳이기에 ‘숲’인데,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한자말 ‘수림’을 “나무가 우거진 숲”으로 풀이합니다. 뜬금없어요. 숲을 모르거나 등지는 탓에 이처럼 뜻풀이를 합니다. 숲을 알고 사랑하고 품을 적에는 낱말 하나를 사랑으로 푸르게 가려서 쓰게 마련입니다. 새는 못물에 앉아서 가만히 헤엄을 치고, 사람은 못물에 배를 띄워서 물빛과 바람빛과 햇빛을 누립니다. 밤마실을 하면서 촛집을 들고서 배를 젓습니다. 고운 사람들이 밤배를 타면서 두런두런 이야기합니다. ㅍㄹㄴ


수림(樹林) : 나무가 우거진 숲 = 나무숲

호수(湖水) : [지리] 땅이 우묵하게 들어가 물이 괴어 있는 곳. 대체로 못이나 늪보다 훨씬 넓고 깊다

보트(boat) : 1. 노를 젓거나 모터에 의하여 추진하는 서양식의 작은 배 2. [군사] 얕은 수역(水域)에서 인원, 장비 따위의 보급품을 나르는 데에 쓰는 작은 배. 대개 군함에 탑재되어 있다

선남선녀(善男善女) : 1. 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 2. 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3. [불교] 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초롱(-籠) : 촛불이 바람에 꺼지지 않도록 겉에 천 따위를 씌운 등. 주로 촛불을 켜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393 : 위대 왕 당신 인물의 자 소인배 미안


위대한 왕이시여, 당신만 한 인물의 숨통을 끊은 자가 이렇게 하찮은 소인배라 미안하오

→ 훌륭한 임금이여, 그대만 한 분 숨통을 끊은 이가 이렇게 하찮은 놈이라 잘못했소

→ 빼어난 분이여, 그대만 한 사람 숨통을 끊은 이가 이렇게 하찮은 놈팽이라 안됐소

《히스토리에 12》(이와아키 히토시/오경화 옮김, 서울문화사, 2024) 86쪽


한자말 ‘소인배’는 “하찮은 사람”을 가리키기에 “하찮은 소인배”라 하면 겹말입니다. 훌륭하다는 임금을 조그마한 사람이 고꾸라뜨릴 수 있어요. 아무리 작다고 하더라도 곧고 곱게 속빛을 가꾼다면, 허우대만 멀쩡한 임금쯤 가볍게 무너뜨립니다. 빼어나다는 임금님이라지만 작은걸음으로 작은살림을 짓는 작은이가 얼마든지 밀어낼 수 있어요. 거룩하거나 드높다고 자랑하지 않을 줄 안다면, 아니 스스로 살림을 짓는 꿈길을 걸을 줄 안다면, 힘을 자랑하거나 내세우는 우두머리는 언제 어디에서라도 걷어낼 만합니다. 안됐지만 힘꾼은 이제 사라질 노릇입니다. 안쓰럽지만 모든 잘잘못을 다스리면서 꼭두머리는 떠나보낼 일입니다. ㅍㄹㄴ


위대하다(偉大-) : 도량이나 능력, 업적 따위가 뛰어나고 훌륭하다 ≒ 괴연하다(傀然-)·위여하다

왕(王) : 1. = 임금 2. 일정한 분야나 범위 안에서 으뜸이 되는 사람이나 동물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운동] = 장군(將軍)

당신(當身) : 1. 듣는 이를 가리키는 이인칭 대명사. 하오할 자리에 쓴다 2. 부부 사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3. 문어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4. 맞서 싸울 때 상대편을 낮잡아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5. ‘자기’를 아주 높여 이르는 말

인물(人物) : 1. 생김새나 됨됨이로 본 사람 2. 일정한 상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 3. 뛰어난 사람 4. 사람과 물건을 아울러 이르는 말 5. = 인물화

소인배(小人輩) : 마음 씀씀이가 좁고 간사한 사람들이나 그 무리

미안하다(未安-) : 1. 남에게 대하여 마음이 편치 못하고 부끄럽다 2. 겸손히 양해를 구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