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다르다


겨울에도 여름에도 새는 노래합니다. 이 땅에 겨울새가 찾아들어 아침을 열고, 여름새가 찾아와서 새봄을 일으킵니다. 생각이란, 스스로 새롭게 틔우는 마음에서 깨어나는 씨앗입니다. 날마다 첫발을 떼고, 오늘도 첫선을 보이고, 언제나 첫삽을 찬찬히 뜹니다. 아무래도 생각은 첫씨입니다. 또는 첫싹입니다. 이미 예전에 걸은 길이라지만, 이제 새로가려고 합니다. 벌써 다들 앞서간다지만, 나는 나대로 새로걷기를 누립니다. 너랑 나랑 다른 줄 알면, 둘은 늘 다른꽃이니까, 서로 즐겁게 한걸음 내딛으면서 어깨동무를 할 만합니다. 남다르다고 해서 별쭝나지 않아요. 자아내는 손빛이 딴판일 뿐입니다. 짓는 매무새가 눈에 띌 수 있되, 두런두런 새물결이에요. 빗장을 열어 새바람을 맞이합니다. 빛나는 아침을 맞이하면서 저 높은 구름처럼 마음을 훨훨 띄웁니다. 한꺼번에 다 일굴 수 있을까요? 하루아침에 모두 이루어도 될까요? 첫단추를 꿰듯 새날을 살아갑니다. 첫마당에서 놀듯 새뜻하게 꿈을 그립니다. 한 해 내내 늘 처음으로 나아가는 나들이입니다. 첫코가 어긋나면 실을 풀고서 새로 뜨면 되어요. 첫자락부터 그르쳤으면 반짝 웃으며 다시 마실을 나서요.


ㅅㄴㄹ


새·새길·새롭다·새뜻하다·새로가다·새로걷다·새로짓다·새물결·새너울·새바람·새흐름·생각·슬기·열다·뜨다·띄다·트다·틔우다·남다르다·눈에 띄다·다르다·다른꽃·딴판·또다르다·짓다·지어내다·세우다·자아내다·잣다·이루다·일구다·일으키다·처음·처음길·첫·첫걸음·첫단추·첫마당·첫물·첫밗·첫씨·첫싹·첫발·첫발짝·첫선·첫손·첫삽·첫일·첫코·첫자리·첫자락·첫차림·반짝·번뜩이다·번쩍·별쭝나다·빗장열기·빗장풀기·한걸음 더·한걸음 내딛다·빛깔있다·빛나다·빛있다·빛접다·빛나리 ← 창의, 창의적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12.16.

오늘말. 활잡이


누구나 자리가 있습니다. 지체가 있든, 높낮이로 저 밑에 있든, 다 다르게 살아가는 몫입니다. 높고낮다거나 크고작다고 가리면서 몇몇만 차지하는 곳이라면 누구도 날개를 못 펴요. 벼슬을 거머쥐고서 어깨띠를 휘날리는 이가 많을수록 캄캄한 나라입니다. 감투를 움켜쥐려고 활잡이처럼 여기저기 쏘아대는 이가 늘수록 어두운 고장입니다. 이름이란 이름씨입니다. 다 다르게 태어난 씨앗이면서 숨결입니다. 저마다 이름꽃이고 이름빛입니다. 한자리를 쥐어야 이름나지 않습니다. 팔띠를 드날려야 이름있지 않아요. 모든 나무가 스스로 새롭게 싹터서 일어나고 자라듯, 모든 사람은 다 다른 숨결로서 길꽃으로 피어납니다. 어느 일을 하면서 눈금을 잴 때가 있어요. 위아래를 알맞게 다루면서 놓아야 할 테지요. 이때마다 가만히 생각을 기울여 봐요. 혼자 나래펴는 길인지, 함께 나비로 어울리는 살림인지 짚어 봐요. 굳이 누구를 첫손으로 안 꼽아도 됩니다. 글바치만 글을 쓰거나 붓바치만 그림을 그려야 하지 않아요. 우리는 봄을 나란히 마주하고 겨울을 겹겹이 아우르는 한곳에서 같이 살아갑니다. 언제나 꽃낯으로 노래하고 얘기하면서 길눈을 틔웁니다.


ㅅㄴㄹ


자리·자위·지체·차지·칸·높낮이·높이·높고낮다·앞뒤·크고작다·눈금·위아래·벼슬·벼슬자리·감투·어깨끈·어깨띠·팔띠·날개·나래·길·길눈·길꽃·-로서·몫·모가치·또아리·손꼽다·첫손·이름·이름길·이름결·이름값·이름띠·이름꽃·이름빛·이름나다·이름있다·이름씨·이름줄·한곳·한자리·꽃이름·꽃낯·아름이름·날개이름·나래이름 ← 지위(地位), 지위고하


활잡이·활꾼·활바치·잘쏘다·쏘다·아름활 ← 명궁, 명사수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개장 할머니 소원우리숲그림책 19
안효림 지음 / 소원나무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12.15.

그림책시렁 1516


《자개장 할머니》

 안효림

 소원나무

 2024.9.30.



  나라살림을 북돋우는 길은 여럿입니다. 먼저, 그동안 일군 모든 살림을 깡그리 내다버리면서 새로 만들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쓰레기를 치우느라 돈벌이가 잔뜩 있고, 모두 새로 들여놓느라 일자리가 엄청납니다. 다음으로, 여태 일군 살림을 알뜰히 사랑하면서 차근차근 손보고 다독이면서 가꾸는 길입니다. 이 길에는 돈벌이는 많지 않을 수 있으나 거의 쓰레기가 없을 뿐 아니라, 오래오래 잇는 살림살이를 돌보는 솜씨를 키울 만합니다. 무엇보다도 아이어른이 슬기롭게 어울리면서 온나라가 오순도순입니다. 《자개장 할머니》는 이제 거의 버림받은 ‘자개칸(반짝이는 조가비를 잘게 썰어서 새롭게 꾸민 옷칸이나 이불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래살림에서 비롯하는 하루를 그린다고 할 텐데, 아이가 “어른이 다 해줘야 해! 나만 못 누리잖아!” 하는 얼거리라서 몹시 아쉽습니다. 예부터 모든 아이는 스스로 놀면서 동무나 또래하고 새롭게 놀이를 짓고 노래했습니다. “해줘!”가 아닙니다. 예부터 모든 어른은 아이한테 다 안 해줬습니다. 아이 스스로 찬찬히 보고 가꾸도록 마당을 내주었어요. 이 그림책은 엄마아빠 이야기는 아예 안 나오다시피 하기에, 이 대목도 아쉽습니다. 그림감을 제대로 살리는 길을 잃은 듯싶습니다.


ㅅㄴㄹ


《자개장 할머니》(안효림, 소원나무, 2024)


불가능의 산을 넘은 우리의 믿음은 사랑

→ 안 될 고개를 넘은 우리 길은 사랑

→ 벅찬 고비를 넘은 우리 삶은 사랑

1쪽


우리 집은 망했다. 큰 물건 하나 챙겨 급하게 이사를 했는데

→ 우리 집 거덜났다. 큰살림 하나 챙겨 바삐 옮기는데

→ 우리 집 끝났다. 큰살림 하나 챙겨 서둘러 옮기는데

3쪽


자개장만 있다면 언제든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 자개칸만 있다면 언제든 다시할 수 있다고 한다

3쪽


친구 데이에 초대를 받아

→ 동무날을 맞아

6쪽


나는 어른이 필요하다. 할머니의, 할머니의, 할머니라도 괜찮으니까 지금 당장 나와야 한다는 말이다

→ 나는 어른을 바란다. 할머니네, 할머니네, 할머니라도 되니까 바로 나와야 한다는 말이다

9쪽


잠깐! 제일 중요한 게 빠졌단다

→ 가만! 알맹이가 빠졌단다

→ 그만! 고갱이가 빠졌단다

→ 기다려! 알짜가 빠졌단다

15쪽


다리가 터질 것 같아요

→ 다리가 터지겠어요

→ 다리가 터지려 해요

→ 다리가 터져요

17쪽


자손 대대를 지켜 주는 보석이오

→ 길이길이 지켜주는 빛돌이오

→ 두고두고 지켜주는 빛살이오

24쪽


내가 좀 바빠지겠지만 그건 괜찮다오

→ 내가 좀 바쁘겠지만 걱정없다오

→ 내가 좀 바쁠 테지만 거뜬하다오

24쪽


옷을 상 위에 펼쳤더니

→ 옷을 자리에 펼치니

→ 옷을 밥자리에 펼치니

28쪽


사랑이 담긴 것들은 함부로 버리는 게 아니란다

→ 사랑이 담기면 함부로 버리지 않는단다

→ 사랑을 담으면 함부로 안 버린단다

37쪽


사랑이 담기면 뭐든 다 귀해지는 법이니까

→ 사랑을 담으면 뭐든 다 빛나니까

→ 사랑을 담으면 뭐든 다 반짝이니까

37쪽


네 엄마가 잘 한 거야

→ 네 엄마가 잘 했어

3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30.


《고요한 아침의 나라》

 노르베르트 베버 글·사진/박일영·장정란 옮김, 분도출판사, 2012.5.



새벽에 동광동 길손집에서 나온다. 순천을 거쳐서 고흥으로 돌아간다. 광주에서 숲노래 책숲을 찾아온 이웃님을 고흥읍에서 만난다. 함께 발포바닷가로 건너가서 바닷바람을 쐬면서 이야기를 한다. 광주 어느 푸른배움터에서 고흥까지 와서 바닷놀이를 한다. 아이도 어른(교사)도 그저 물장난을 할 뿐이다. 고즈넉하면서 아름답게 일렁이는 파란바다도 푸른숲도 안 쳐다보거나 못 바라보면서 노닥거린다. 진도 앞바다에서 가라앉은 배가 있어서 아이들한테 ‘잎새뜨기(생존수영)’를 가르친다더니, 이런 노닥짓을 하는 데에 돈을 쓰고 품을 들이나? 딱하다. 불쌍하다. 가엾다. 광주이웃님을 보내고서 집으로 돌아오니 너무 졸려서 곯아떨어진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를 돌아본다. 노르베르트 베버 님이 남긴 열매로 여민 책은 진작부터 나왔으나 눈여겨보는 사람이 적었다. 2012년에 새로 나온 책을 알아볼 눈길은 얼마나 될까? 딱 우리나라 눈썰미만큼 읽히리라 본다. ‘고요아침’이라는 말은 스스로 곱게 살림을 가꿀 줄 알면서 밝게 하루를 열 줄 안다는 뜻이다. 움직임이 없다는 고요아침이 아닌, 먼저 마음부터 푸른숲과 파란하늘을 품으면서 오늘 이곳을 노래할 줄 안다는 뜻이다. 읽지 못하니 잇지 못하고 이야기를 못하고 만다.


#Im Lande Der Morgenstille

#Norbert Weber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29.


《구구》

 고영민 글, 문학동네, 2015.10.28.



〈책과 아이들〉에서 ‘바보눈(바라보고 보살피는 눈)’ 다섯걸음을 편다. ‘부산 어린이청소년 잡지’를 작은이 손길로 조촐하게 펴내는 길을 한참 이야기한다. 우리가 여밀 잡지 이름을 짓는다. 《파란씨·앗》으로 잡는다. 저녁에 보수동 책골목으로 마실을 간다. 어제 미처 장만하지 못 한 몇 가지 책을 장만한다. 부산이웃님한테 건넬 《좋은 사람》(타카하시 신)을 꾸러미로 챙긴다. 《구구》는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꾸러미일까. 이처럼 ‘글만들기’를 해야 ‘문학’이라는 옷을 입고서 ‘문학동네’ 같은 데에서 ‘시집’을 멋스럽게 낼 수 있다면, 이 나라에서 모든 글은 다 죽었다. 그러나 글을 만들지 않고서 일구거나 가꾸거나 여미면서, 무엇보다도 집안일부터 하고 살림살이를 거뜬히 돌아보면서, 이러한 하루를 그때그때 글로 담는 사람이 조곤조곤 수다를 하듯 이야기를 선보인다면, 이 나라는 아직 글이 살아숨쉰다고 본다. 집안일을 하는 하루를 옮기면 된다. 아이를 돌보며 배운 살림을 옮기면 된다. 짝짓기나 살섞기가 아닌, 사랑을 옮기면 된다. 사랑이 없거나 아닌 채 쳇바퀴를 도는 굴레를 갖은 멋을 부리면서 끄적거리는 ‘만들기(공작)’가 문학이라면, 이러한 문학은 어떤 아이한테도 한 자락조차 물려줄 수 없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