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형제자매



 우리 형제자매들은 밤새 → 우리 언누이는 밤새

 각지에 살던 형제자매들이 모여 → 곳곳에 살던 한집안이 모여

 전부 형제자매로 수용했다 → 다 이웃으로 받아들였다


형제자매(兄弟姉妹) : 남자 형제와 여자 형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한집안에서 태어난 모든 아이를 가리킬 적에는 ‘한배·한동아리·한울·한울타리’나 ‘하나·하나꽃’이나 ‘한터울·함께·같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나란히·나란꽃·나란마을’이나 ‘언니동생·언누이·오누이’라 해도 되어요. ‘집또래·한또래’나 ‘한집·한집안·한집꽃·한지붕·한꽃집’이라 할 만합니다. 때로는 ‘동무·둘·두 사람·또래’나 ‘모두·모조리·몽땅·다·다들’로 나타낼 자리가 있어요. 수수하게 ‘아이·아이들’이나 ‘여러분·여러사람·여럿’으로도 나타냅니다. ‘옆마을·이웃·이웃사람·이웃마을’로 빗대는 자리도 있어요. ㅍㄹㄴ



야생의 형제와 자매들을 관찰해서 그들의 말을 잘 듣고, 항상 그들을 존경과 예의로 대하라

→ 들에 사는 언니동생을 살펴보며 들빛말을 잘 듣고, 늘 들또래를 섬기고 바르게 맞아라

→ 숲메 이웃을 살펴보며 숲말을 잘 듣고, 늘 숲메 이웃을 섬기고 곱게 마주해라

→ 푸른 언누이를 살펴보며 푸른말을 잘 듣고, 늘 섬기고 깎듯이 맞이해라

《벌거숭이 왕자 덜신》(C.W.니콜/서혜숙 옮김, 논장, 2006) 92쪽


꼭 형제자매하고 같이 잠자는 것 같은데

→ 꼭 언누이하고 같이 잠자는 듯한데

→ 꼭 모두하고 같이 잠자는 듯한데

《베로니카, 넌 특별해》(로저 뒤봐젱/김경미 옮김, 비룡소, 2008) 6쪽


친정의 형제자매끼리 소식을 나누고 지내는 조촐한 집도 있다

→ 엄마집 한터울끼리 얘기를 하고 지내는 조촐한 집도 있다

→ 옛집 언니동생끼리 이야기하고 지내는 조촐한 집도 있다

《사람, 참 따뜻하다》(유선진, 지성사, 2009) 92쪽


형제자매 중 유명한 아버지 때문에 가장 힘들어했던 사람이 누구냐고

→ 한집안 가운데 잘난 아버지 때문에 가장 힘든 사람이 누구냐고

→ 한지붕에서 이름난 아버지 때문에 가장 힘든 사람이 누구냐고

《암실 이야기》(귄터 그라스/장희창 옮김, 민음사, 2015) 223쪽


1999년부터 택배를 해온 형제자매와 다름없는 일월물류 식구들이 그 뿌리입니다

→ 1999년부터 짐나래를 해온 한또래와 같은 일월물류 사람들이 이 뿌리입니다

→ 1999년부터 짐날개를 해온 나란꽃과 같은 일월물류 분들이 이 뿌리입니다

《배달 일기》(최진, 한티재, 2016) 1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원격조작



 원격조작이 가능한 시대이다 → 먼손으로 하는 때이다

 보통 원격조작으로 작업한다 → 으레 먼손길로 일한다


원격조작(遠隔操作) : [정보·통신] 먼 곳에서 신호를 보내어 기계 장치를 조작하거나 조종하는 일. 공기압이나 유압을 사용하는 기계적 방법과 유선, 무선에 의한 전기적 방법이 있다 = 리모트컨트롤



  멀리 있으면서 다루거나 움직이곤 합니다. ‘먼손·먼손꽃·먼손길’일 테지요. 멀리 있어도 다 보고서 다룬다는 뜻으로 ‘먼눈·먼꽃·먼보기’나 ‘멀리보다·멀리보기’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ㅍㄹㄴ



원격조작으로 변경해야짓짜

→ 먼보기로 바꿔야짓짜

→ 멀리보기로 돌려야짓짜

《시끌별 녀석들 15》(타카하시 루미코/이승원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 15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3.12.

숨은책 1021


《고전만화시리즈 1 자연의 피리소리 莊子》

 채지충 글·그림

 김낙진 옮김

 눈

 1988.3.27.



  알아보는 눈이란, 이제까지 몰랐던 눈입니다. 알아보려는 눈이란, 아직 모른다고 받아들이는 눈입니다. 알아가는 눈이란, 즐거우면서 고맙게 배우려는 눈입니다. 알아보지 않는 눈이란, 여태까지도 몰랐고 앞으로도 안 알려는 눈입니다. 안 알아보는 눈이란, 나부터 마음빛을 안 들여다보면서 이웃 마음밭도 안 살피는 눈입니다. 《고전만화시리즈 1 자연의 피리소리 莊子》는 1988년에 나온 한글판입니다. ‘채지충 그림꽃’을 이때부터 옮겼으려나 싶은데, 좀더 일찍 눈여겨보거나 알아챈 분도 있을 테지요. 처음에는 “내가 이곳에 태어난” 줄 알아챕니다. 이윽고 “나를 낳은 어버이”를 알아챕니다. 어느새 “나랑 너(어버이)가 함께 숨을 쉬는 이 별”을 알아챕니다. 그리고 “나랑 너(모든 숨빛)로서 해바람비를 맞아들이는 길”을 알아채고, 이제부터 삶이라는 나날을 알아채요. 사람은 나비를 지켜보면서 배우고, 나비는 사람을 살펴보면서 배웁니다. 누구나 서로 배우고 이야기하는 사이에 문득 사랑을 가르칩니다. 작은씨 한 톨이 깨어나듯 눈을 뜨면서 마음을 틔웁니다.


책자취에 : 1987년 7월 기획을 시작하고, 1987년 11월 편집을 완료하다. 1988년 1월 순서에 따라 제작에 들어가, 1988년 2월 말 인쇄와 모든 과정을 거친 후, 1988년 3월 27일 초판 1쇄를 발행하다.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3.12.

숨은책 1020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음악 1》

 오자와 마리

 박민아 옮김

 서울문화사

 1998.10.20.



  처음 오자와 마리 님 그림꽃이 한글판으로 나오던 무렵에는 알아채지 못 했습니다. 《Pong Pong》하고 《민들레 솜털》부터 알아보았습니다. 결이 곱게 이야기를 풀어내는 붓끝이 있구나 싶어 놀랐습니다. 《니코니코 일기》는 이미 판이 끊겼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음악》도 판이 끊겼더군요. 이윽고 나온 《이치고다 씨 이야기》는 바로바로 장만해서 읽고 둘레에 알리지만, 어느새 판이 끊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읽히기 어려운 ‘착한그림’일 수 있구나 싶은데, 《은빛 숟가락》이 열일곱 자락 끝까지 한글판으로 나와서 반갑더군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음악》은 꽃판(애장본)으로 나올 적에 곧장 건사했습니다. 1998년 첫 한글판을 어렵게 찾아내었습니다. 뒷그림에 혼잣몸으로 딸아이를 업고서 저잣바구니를 잔뜩 팔뚝에 낀 엄마 모습을 담습니다. 요즈음은 이런 엄마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아주 한참 예전 모습입니다. 그림님부터 이렇게 딸아이를 돌본 살림이기에 ‘아이곁에서 살림을 사랑으로 지은 발자국’을 담을 수 있구나 싶어요. 온누리 누구나 어버이라는 자리에 설 적에는 ‘아이곁에서’를 누리면서 사랑을 새롭게 배울 일이라고 느낍니다. 같이 걷고, 같이 얘기하고, 같이 놀고, 같이 하늘바라기를 하면서, 한마음과 한빛으로 한별이 될 적에 비로소 아름누리를 이루겠지요.


#世界でいちばん優しい音樂


“‘행복’. 4학년 3반 노조미. 우리 엄마에겐 결혼식 사진이 없습니다. 결혼식을 올리기 전에 아빠가 죽어버렸기 때문입니다 … 그 대신 집 앞에서 아빠와 같이 찍은 사진이 액자에 넣어져 있습니다. 빨래가 널려 있는 별로 안 멋있는 사진입니다. 게다가 촛점도 잘 안 맞습니다. 하지만 엄마는 그 사진엔 행복이 찍혀져 있다고 제 말은 안 듣습니다. 난 어디 있어, 라고 물으면, 엄마는 자기 원피스 위의 배를 가르키며……” (159, 160쪽)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역사의식



 올바른 역사의식을 기르다 → 올바른 눈길을 기르다

 역사의식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 삶넋이 모자라다고 나무란다

 진정한 역사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 참넋을 틔우는 / 참얼을 가꾸는


역사의식(歷史意識) : 어떠한 사회 현상을 역사적 관점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악하고, 그 변화 과정에 주체적으로 관계를 가지려는 의식



  지나온 발자취나 삶자취를 읽는 눈이란, 어제와 오늘과 모레를 잇는 삶을 헤아릴 줄 아는 매무새라고 여길 만합니다. 오늘을 읽고 가꿀 줄 알기에, 어제를 살피면서 이야기합니다. 오늘을 일구고 돌볼 줄 아니까, 모레를 내다보면서 그립니다. 이런 여러 눈길과 매무새는 ‘삶길·삶꽃·삶소리·삶넋·삶얼·삶빛’이나 ‘살림길·살림꽃·살림넋·살림얼·살림빛’으로나타낼 만합니다. ‘임자넋·임자얼’이나 ‘곧은넋·곧은눈·곧은얼’이라 할 만하고요. ‘바른넋·바른눈·바른얼’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참넋·참눈·참눈길·참눈빛·참얼’이라 할 수 있어요. ㅍㄹㄴ



인간의 문제와 정면대결을 기피한 것은 역사의식의 결여를 반증한다 

→ 사람과 맞닥뜨리지 않으니 살림길을 읽지 못하는 셈이다

→ 사람살이를 마주하지 않기에 삶자취를 모르는 꼴이다

《강운구 사진론》(강운구, 열화당, 2010) 7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